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웠던 사명대사(四溟大師)의 구국 의지를 기리기 위해 선조 대왕은 다음과 같은 명을 내렸다. “사명대사의 고향에 전각을 세우고 그 곳에 스님의 진영을 봉안하여 훗날까지 스님의 충혼을 모시도록 하라” 때문에 사명대사의 출생지인 경남 밀양군 무안리에 그의 사당이 세워지고 그의 영안이 봉정 되었으며, 선조는 이 사당을 표충사(表忠祠)라고 사액 하고는 말했다. “표충사 주변을 어지럽히거나 신성시하지 않는 자는 누구나 엄한 벌로 다스리도록 하라.” 그로부터 관료들은 말할 것도 없고 백성들은 모두 그 사당 앞을 지날 때는 항상 경건한 마음으로 참배를 올렸다. 그러는 중에 1백여 년의 세월이 흘러 사당이 퇴락하자 사명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 선사가 표충사를 중수하는 동시에 스님의 공적을 기리는 「표충비」를 세웠다. 때는 영조 14년(1738년)이었으며, 남붕 선사는 비로 사용할 돌을 구하기 위해 경상도 경산까지 가는 수고를 했다. 높이3.9m, 폭97cm, 두께70cm인 크기의 돌을 구해 온 남붕 스님은 당시의 정승이었던 이익현 에게 비문을 써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자 이익현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원래 승려의 부탁으로 글 짓는 것을 즐기지 않는다. 하지만 대사님의 사정이 간절하여 물리치기 어려워 특례로 글을 짓는 것입니다.” 그는 배불숭유 정책으로 불교를 탄압헸던 당시의 정승이었지만 누구보다도 나라를 사랑했던 사명대사의 마음을 외면할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표충비가 세워지고 나서 다시 백 년 후인 조선의 24대 왕 헌종 5년(1839년), 사명대사의 8대 법손인 월파(月坡) 선사가 표충사(祠)를 밀양 영정사(靈井寺)로 옮기고 절 이름을 표충사(表忠寺)로 바꾸었다. 따라서 사명대사의 고향에는 표충비만 남아 있게 되었다. 지방 문화재 15호로 지정되어 지난날의 역사를 말해 주고 있는 이 비석은 현재 몸체에 금이 간 상태로 비가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비석에 금이 간 것은 일제 때였다. 사명대사의 이름만 들어도 두려워하던 일본인들이 흉계를 꾸몄다. “저 비석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져, 사명대사의 귀신이 담겨진 것 같으니 대책을 세워야겠소.” “나도 동감이요. 저 비석 옆에다 담배 창고를 새로 짓기로 합시다. 그러면 담배가 뿜는 독기로 인해 사명대사의 혈맥이 끊어질 거요.” 그렇게 하여 일본인들은 비석 옆에다 창고를 짓기 시작했다. 그런데 창고가 다 지어져 담배를 운반 해다가 쌓던 날이었다. 비석이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몸부림 치기 시작하더니 이윽고 ‘쫘악’하고 소리를 내면서 금이 갔다. 일본인들은 표충비를 두려워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물론 임진왜란 때 왜군을 물리친 용맹스러운 승장의 비이기 때문이라는 점도 있었으나 나라에 큰 변이 생길 때는 비석에서 땀이 흐른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었다. 비석이 세워진 후 나라에 큰 일이 생기기 전에 땀을 흘렸다는 첫 기록은 갑오경장(1894년)이 일어나기 7일 전으로 되어 있다. 비석이 있는 곳 앞을 지나가던 한 아낙네가 문득 보기 그 때는 날씨가 차가운 겨울이었는데 비석의 몸체에서 땀이 흐르듯 물기가 어려 있었다. 그래서 매우 이상하게 생각하며 집에 돌아오자마자 남편에게 그 이야기를 했고 남편은 자기들만 알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그 같은 사실을 관가에 알렸다는 것이다. 그 때 비석이 흘린 땀의 양은 3말 1되나 되었다고 한다. 그 후 군지(郡誌)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표충비는 경술(庚戌)합방, 기미독립만세 운동, 6.25동란, 4.19학생의거, 5.16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모두 6번 땀을 흘렸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땀을 흘린 때는 기미년 만세 사건 때와 5.16혁명 때였다. 기미년 만세 사건 때는 19일 동안에 걸쳐 5말 7되를, 5.16혁명 때는 5일 동안에 5말 7되를 흘렸다. 군의 공식적인 기록은 없으나 육영수 여사가 서거한 다음 날에도 비석은 땀을 흘렸다고 한다. 이처럼 나라에 중대한 일이 생길 때면 땀을 흘리는 모습을 보여 예고해 주었기에 마을 사람들은 그 같은 영험을 인정하며 대소사에 있어서 준비하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다. 비석은 6.25동란 때는 전쟁이 일어나기 25일 전부터 3말 8되나 되는 땀을 흘렸다고 한다. 산강리의 한 주민인 이(李)씨라는 사람은 6.25동란 때를 회고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표충비가 땀을 흘린다는 소문이 나돌자 우리 동네 주민들은 ‘아무래도 무슨 변이 생길 조짐이다’ 면서 양식과 비상약품을 준비했지요.” 또 사명당 추모회의 한 회원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마을 사람들은 이 표충비에 사명대사의 구국충혼이 어려 있다고 믿고 있지요. 매년 봄과 가을이 되면 이 비석을 보려고 많은 관광객이 들르는데 그 때마다 주민들은 사명대사의 호국정신을 자랑하면서 비석 앞으로 그들을 안내하지요.” 비석이 땀을 흘리는 모습은 사람이 땀을 흘리는 모습과 똑같다고 한다. 앞 이마에 맺힌 땀방울이 두 뺨으로 흘러내리는 것처럼 비석 전후면의 위쪽에서 솟은 땀이 비문의 글귀 사이를 타고 흘러내린다는 것이다. 마을의 한 촌로 한 분은, “외지 사람들은 과학적으로 따져 보려고 하지만 비석이 땀을 흘리는 모습을 몇 번이나 목격한 우리들은 사명대사의 충혼이 어려 있지 않다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며 “62년 장마 때는 보리가 썩어 나갈 지경이 되었는데도 비석에는 습기가 조금도 차지않았었다.”는 신비한 이야기를 덧붙였다.
서종 예봉사
구달법주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