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일 개강 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림책체화과정1 첫그림책과정(P)
일시: 3월 6일 ~ 4월 24일 매주 (목) 저녁 7:30-10:00 (Zoom) 8회기
3/29(토) 혹은 4/5(토) 9:30-16:00 (대면)
인원 : 10명 이내
신청 : https://naver.me/GeUv0hDQ 신청중
사전 문의: sheentp@hanmail.net
첫그림책 찾기는 '그림책 몸으로 읽기(Reading Picturebook with Flesh)'
를 통해 찾아지는 뜻밖의 발견의 과정입니다. 대부분의 독자는 그림책 몸으로 읽기를 통해 이전에 그림책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새롭고 경이로운 그림책 "Aha' 체험을 하게 됩니다.
개요
체화인지 기반 그림책 읽기
그림책 몸으로 읽기의 체화
첫 그림책을 통한 자기 이야기 찾기
목표
1. 왜 그림책인지, 그림책에서 무엇을 읽어내야 하는지를 함께 생각하고 경험한다.
2. 그림책을 읽을 때 일어나는 감각운동, 지각적 요소를 체화인지 관점에서 인식한다
3. 첫 그림책 찾기를 통해 자신의 중심내러티브를 발견하고, 다시 읽기를 시도해 본다.
일정
1강 왜 그림책 인가? 그림책에서 무엇을 읽을 것인가?
2강 체화인지와 그림책_몸의 철학: 감각의 회복, 확장, 통합
3강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의 시공간
4강 표상과 그림책: 표상모드와 정서와 감각
5강 기억과 그림책: 불러일으켜 재 경험되게 하는
6강 치유와 그림책: 메타포는 어떻게 당신을 움직이게 하나?
7강 첫 그림책, 몸으로 다시 읽기 1
8강 첫 그림책, 몸으로 다시 읽기 2
* 첫그림책 보고서 제출 시(1회 이내 결석만 인정), 과정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한국독서치료학회 독서심리상담사와 독서심리상담사전문가 자격에 필요한 과목 인정 및 수련 30시간 인정
PDFS 그림책체화과정은
2011년 부터 신혜은 교수가 진행해온 그림책심리학_체화 PDFS과정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그림책 읽기와는 전혀 다른 몸그림책읽기와 쓰기를 표방합니다.
매 단계 그림책체화이론 강의, 집단상담과 워크숍의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림책에 대한 기존 경험이 없는 분도 무방합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그림책 읽기 방식과는 전혀 다른 접근이므로
그림책 연구 혹은 그림책을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참여하려는 분들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림책 새롭게 읽기, 몸으로 다시 읽기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찾고
새로운 내러티브로 나아가려는 분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경이로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
특히 자기 안의 이야기를 찾고자 하시는 분들에게는 자신만의
오래된 몸틀 이야기의 발견과 함께
그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해 갈 힘과 에너지를 얻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신혜은 교수 프로필
성균관대 아동학과 학사 석사 박사, Florida Atlantic University 심리학과 Post-Doc.
그림책체화주의자, 그림책심리학자, 발달심리학자, 그림책 글작가, 독서심리상담사전문가
한국독서치료학회 회장,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 KBBY 부회장, 그림책협회 부회장,
KBBY 장애아동도서추천위원회 실행위원장 역임
현, 경동대학교 교수, 한국문화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체화인지학회 교육이사
지은 그림책으로 조개맨들, 내이름, 비가오면, 나비잠, 마음아 작아지지 마 등
번역 그림책으로 이색다바나나, 내안에내가있다, 가만히 들어주었어, 기억의 끈, 피아노를 쳐줄 게 등
저서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 독서치료, 영유아교수방법, 번역서 발달과학 등
논문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그림책 예술교육: 점그림책 만들기에 관한 예술기반연구(2023)
K-그림책 30년 체계모델접근분석: 장르의 변화와 삶, 관점의 변화(2022)
[그림책, 길을 걷다] 인문 활동 사례 분석: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2020)
독서치료의 뇌과학적 기반을 위한 고찰(2018)
인지, 문화인지, 문화예술의 관계(2017)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윤리강령을 중심으로(2016)
포커싱 몸그림책 예술치유과정에 대한 탐색(2015)
외상후의 현상학, PTSD에서 PTG 까지(2014)
그림책에서의 문화인지: 체화인지의 관점에서(2014)
모두를 위한 그림책,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새로운 문화인지의 관점에서(2014)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2013)
문화인지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체화이론과 발달적 체계접근을 기초로(2013)
그림책 표현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점그림책 만들기(2012)
그림책 치료의 새로운 접근: 그림책 몸으로 읽기와 첫그림책 찾기(2012)
그림책과 삶예술교육(2011)
그림책 번역시 나타나는 제목의 번형과 그이유(2011)
그림책을 통한 행복감에 대한 연구(2009)
The adaptive nature of children's overestimation in a strategic memory task(2007)
내러티브를 통한 세계이해 교육(2006)
아동의 목적론적 사고의 적응적 가치(2006)
아동발달에 대한 진화발달적 관점(2005)
아동의 자기과대평가의 적응적 가치(2005)
영아기 그림책 맥락의 발달적 적합성(2005) 등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