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명리학의 문제점과 새로운 명리학
명리학은 음양이라는 두 축을 모두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명리학은 음(陰)을 무시하고 양(陽) 중심으로 된 오행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오행 기준은 두 다리가 아닌 한 다리로 걷는 것과 같아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습니다.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땜질식으로 수많은 이론을 만들어냈지만, 오히려 더 혼란을 가중(加重)시켰습니다. 지장간, 형충파해, 십간론, 허자론 등도 그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모든 문제는 오행이 아닌 천간 지지 중심으로 공부하면 해결될 문제였습니다.
『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에서는 천간과 지지 중심으로 『새로운 12운성 이론』, 『새로운 12신살 이론』, 그리고 『육친의 재해석』 등 기존 명리학과는 다른 명리학 이론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명리학 이론은 어느 한 개인의 경험, 추측, 상상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 그리고 아침, 낮, 저녁, 밤의 변화가 바로 자연의 법칙입니다.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자는 일이 자연의 법칙입니다.
지구 공전과 자전에 기반한 이 자연의 법칙은 수십억 년 동안 변함없이 지켜져 왔습니다. 자연의 법칙은 간단하고 단순합니다. 왜냐하면 인간뿐만 아니라 동식물, 심지어는 무생물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지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법칙을 거역하는 대가는 건강 손실, 사업 실패, 인간관계 악화 등으로 나타납니다.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시리즈 소개
이 책은 수업용 교재로 기획되었습니다. 새로운 명리학 이론을 접한 분들이 기존 명리학 이론이 무엇인지 몰라 답답해하고, 기존 명리학에 몰두한 분들이 새로운 명리학 이론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기존 명리학 이론을 소개하면서 새로운 명리학 이론을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수업할 예정입니다.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을 받거나 인터넷 동영상을 통해 두 이론의 차이를 비교하고 어느 쪽이 더 학문적이고 이성적이고 논리적인지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새로 정리하는 수업용 교재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시리즈는 다음과 같습니다.
1권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일주론): 60갑자를 통해 음양과 천간, 지지에 대해 자세히 수업합니다. 물상(物象)도 함께 알아봅니다.
2권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천간론): 천간과 천간 즉 천간끼리 관계를 다루는 “기존 십간론”을 통해 새로운 명리학 이론을 수업합니다.
3권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지지론): 지지와 지지끼리 관계를 다루며 천간을 통제하는 지지의 중요성을 알아봅니다.
4권 『천간 지지에 답이 있다』 (형충파해와 신살론): “새로운 12신살”을 통해 기존 형충파해나 기존 12신살 그리고 수많은 신살 등의 한계를 알아봅니다.
인터넷에서 유튜브나 홈페이지 “나이스사주명리”를 검색하면 더 많은 명리학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7월부터 위 교재를 사용하여 수업할 예정입니다.
(신설동) 2025년 7월 5일(토) 프로술사 사주풀이반 개강 안내
첫댓글 올해 7월은 유난히 기다려지네요 ㅋ 늘 자연의 법 음양기준 천간지지로 체계적인 명리공부 할 수 있게 해주셔서 ~ 늘 고맙고 감사합니다~ 나이스 ~♡
기존 명리의 문제점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비교 정리해 주시니
다시 없을 귀한 학습의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더불어서
명리라는 미로에서
답을 찾지 못하고
헤매는 사람들에게
미로 탈출의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노고가 너무 크셨고
깊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