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 바로미터 모세혈관
-끈적해진 피, 모세혈관부터 막아서 온몸에 합병증 불러

우리 몸의 대부분의 질병들과 건강하지 않은 증상들이 모세혈관 건강에서 비롯된다는 사실.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세혈관 건강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새의 털처럼 가는 혈관이라는 뜻의 모세혈관(毛細血管). 온몸의 조직에 그물 모양으로 퍼져 있는 매우 가는 혈관이다. 직경은 약 1/100mm로 머리카락의 약 1/10 굵기이며 전체 모세혈관의 개수는 약 100억 개다. 전체 길이는 9만 9,000km 정도로 지구 두 바퀴 반을 돌 수 있는 길이라고 알려져 있다. 모세혈관은 혈관 중에서도 가장 예민한 혈관이다. 모세혈관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큰 혈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또 모세혈관의 이상 상태가 해소되지 않으면 결국 큰 혈관에 문제를 일으켜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심장마비, 중풍 등 생명과 직결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무를 예로 들면 큰 혈관은 기둥이나 가지에 해당하고 모세혈관은 아주 작은 잔가지나 이파리라고 할 수 있다. 큰 혈관이 굵은 뿌리라면 모세혈관은 잔뿌리라고 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나무의 이파리나 잔가지에 문제가 생기고 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굵은 가지가 썩어간다. 또 잔뿌리가 많지 않으면 땅속 수분과 영양분을 제대로 빨아들이지 못해 나무가 말라가거나 영양실조로 죽게 된다. 모세혈관은 우리의 온몸을 둘러싸고 있으며 전체 혈관의 98%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혈액의 통로이자 물질 교환의 현장이 바로 모세혈관이다. 동맥과 정맥 사이에 위치해 생명 활동의 바탕이 되는 움직임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우리 몸의 최대 장기라고 할 수 있다.
CHECK 체크리스트
□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 숱이 적어지며 흰머리가 갑자기 많아졌다.
□ 얼굴색이 나쁘고 피부가 거칠어졌다.
□ 혈관이 도드라지고 쉽게 멍이 들며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 눈이 건조하고 침침하며 눈물이 나고 눈곱이 많이 낀다.
□ 입이 마르고 혓바늘이 자주 나고 치주염이 있다. 입 냄새가 난다.
□ 이명(귀울림)이 있고 귓불에 세로 주름이 많아졌다.
□ 코피가 자주 나고 콧물이 자주 흐른다.
□ 두통, 어깨 결림, 목 결림, 요통, 무릎 통증이 있다.
□ 건망증이 심해지고 갑자기 화가 나거나 우울해지고 의욕이 없다.
□ 깊게 잠들지 못하고 한밤중이나 이른 새벽에 잠에서 깬다.
□ 더부룩함, 위통, 복부팽만이 생겼다.
□ 술에 약해졌다.
□ 가슴이 두근거리고 부정맥, 현기증, 고혈압이 생겼다.
□ 감기에 잘 걸리고 쉽게 피곤해진다.
□ 치질, 빈뇨가 있고 질이 건조하다.
□ 손발이 차고 저리며 부종이 생기고 발바닥이 욱신욱신 아프다.
□ 손톱이 하얗고 얇아졌으며 세로줄이 생기고 울퉁불퉁하다.
□ 생리통, 생리불순, 갱년기장애, 발기부전이 나타난다.
체크 항목이 많으면 많을수록 모세혈관이 손상됐다는 증거다.
모세혈관은 나이와 함께 노화하고 손상된다. 건강한 모세혈관의 내피세포는 1,000일을 주기로 교체된다. 그러나 40대가 지나면서 죽어가는 세포가 늘기 시작하고 60대에는 모세혈관의 수가 40% 정도 감소한다고 한다. 또 우리가 흔히 생활습관병이라고 하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도 모세혈관 손상의 중요한 원인이다. 당질 이상이 계속되면 혈관 세포가 망가지거나 모세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의 물질이 점점 축적돼 혈관의 탄력이 없어진다. 이러한 증상이 이어지다 결국 혈관은 있지만 혈액이 흐르지 않는 유령 혈관이 되는 것이다.
자율신경과 호르몬의 불균형도 모세혈관의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이 된다. 자율신경은 혈관을 지배하며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므로 자율신경의 균형이 무너지면 모세혈관의 움직임도 악화돼 각 호르몬을 관련 기관에 적절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모세혈관이 노화하고 손상돼 개수가 줄어들면 굵은 혈관 세포에 산소와 영양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불필요한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하지 못해 몸속에 쌓이게 된다. 그 결과 우리 몸 각 부분에 다양한 질병과 증상이 생기는 것이다.
모세혈관이 하는 일
1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낸다
우리가 호흡할 때 들이마신 공기는 폐로 들어간다. 폐의 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한다. 우리 몸속 세포들은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데, 이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세포와 혈액 사이에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바로 모세혈관이다. 우리 몸의 모세혈관에서 혈액 중의 산소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고 세포 속의 이산화탄소는 혈관으로 들어가는 교환이 일어나는 것이다.
2 영양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내보낸다
우리 몸속으로 들어간 음식물은 소화기관에서 분해돼 영양소가 된다. 이 영양소들은 위장 점막 주름에 있는 모세혈관의 혈액 속으로 흡수돼 몸 전체로 운반되고, 세포 주변을 둘러싼 모세혈관을 통해 영양소가 각 세포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은 또다시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 속으로 회수되고 간이나 신장의 모세혈관으로 이동해 이곳에서 여과된 노폐물이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3 면역 물질을 파견해 몸을 보호한다
모세혈관은 감염된 부위 등 필요한 장소로 면역 세포(백혈구)를 보내 바이러스나 세균과 싸우도록 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근처에 있는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도 외부의 적에 대항하는 성분을 분비해 우리 몸을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보호한다.
4 호르몬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우리 몸이 필요한 정보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데, 이 호르몬의 운반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모세혈관이다. 우리 몸 전체에 그물망 형태로 분포된 모세혈관은 한마디로 우리 몸의 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다.
5 체온 조절을 담당한다
우리 몸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 역시 모세혈관의 중요한 기능. 열을 밖으로 배출해야 할 때는 피부 가장 가까이에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돼 혈액량을 증가시키며 피부 표면의 온도를 높인다. 모낭과 땀샘이 열려 땀이 나고 피부를 통해 열이 방출된다. 반대로 체온이 내려가면 피부 근처의 모세혈관이 수축돼 피부 표면의 혈액량이 줄어들고 온도가 낮아져 체내의 열이 방출되지 않으면서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결국 모세혈관 순환 장애로 인해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노폐물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암까지 유발할 수 있다.
내 몸의 신호
피부 ; 수분과 영양분, 혈액, 산소를 공급하는 피부 모세혈관에 이상이 생기면 피부 노화가 일어난다.
뇌 ; 뇌에 신선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뇌 모세혈관이 손상되거나 노화되면 치매, 건망증, 어지럼증이 발생한다.
폐 ;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 배출 역할을 하는 모세혈관이 손상되면 숨이 차고 호흡곤란, 청색증 등이 나타난다.
콩팥 ;콩팥 모세혈관은 소변을 통해 독성 물질을 배출한다. 이 모세혈관이 손상되면 해독 능력 저하와 요독증, 부종이 생긴다.
심장 근육 ; 신선한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심장 근육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면 심장마비가 생길 수 있다.
간 ;간 모세혈관의 역할은 해독 작용이므로 이 모세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해독 능력이 저하된다.
장 점막 ; 장 점막의 모세혈관은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한다.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영양 결핍을 가져온다. 위장의 경우 더부룩함, 위장염, 위궤양 등이 발생하고 장은 변비나 치질에 걸릴 수 있다.
팔다리와 손발 ;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팔다리와 손발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면 수족냉증, 괴사를 불러온다.
거의 모든 만성병은 모세혈관이 원인
대부분의 성인병은 모세혈관 건강과 관련이 깊은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당뇨병. 고혈당 상태가 장시간 지속된다는 것은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액 속 당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몸속 모세혈관에서 당이 제대로 대사되지 않아 모세혈관의 내피세포가 손상을 입는 상태가 이어지면 여러 장기의 모세혈관이 점차 죽어가는 것이다. 당뇨병이 위험한 것은 자각 증상 없이 진행되고 합병증이 크다는 것.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몸속 모세혈관에 막대한 부담을 주게 돼 모든 장기가 서서히 병들기 시작한다. 당뇨성 신장병은 고혈당 상태로 인해 사구체의 모세혈관이 손상을 입어 여과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해 생긴다. 정상적으로 소변을 만들지 못하고, 몸에 필요한 것까지 배출하거나 혈액 속에 노폐물이 쌓여 다양한 신장 장애가 생긴다.
고혈당이 망막 모세혈관을 손상해 변형되거나 막혀 출혈을 일으켜 생기는 합병증이 당뇨성 망막증(녹내장.황반변성 등). 망막에 산소가 전달되지 않아 산소 결핍 상태에 빠지고 서서히 망막을 잃게 되며 실명에 이른다. 당뇨성 신경 장애는 가장 많이 빠르게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온몸의 말초신경은 모세혈관에서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받는데, 고혈당으로 손상된 모세혈관으로 인해 영양소와 산소가 부족해져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것이다. 다리나 손이 따끔거리는 통증과 저림으로 시작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감각이 둔해지며, 상처로 인한 세균 감염이 일어나고 세포가 괴사돼 절단을 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약과 인슐린을 적절히 사용해 혈당을 조절하면서 모세혈관을 건강하게 하는 식습관, 운동법, 생활 습관 개선 등의 방법으로 건강을 되찾아야 한다.
<모세혈관, 건강의 핵심 젊음의 비결:네고로히데유키 지음> 인용
※ 정혈요법과 모세혈관
우리 몸속의 혈관은 크게 분류하면 동맥.정맥.그리고 모세혈관으로 나뉘어진다.
동맥과 정맥은 혈액을 운반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우리온몸을 구성하고있는 세포와 연결되어서 직접적인 대사활동(영양과 산소공급. 노폐물과 독소 수거)을 담당하는 것은 혈관의 98%를 차지하고 온몸에 분포되어있는 모세혈관이다.
그런데 모세혈관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10/ ∼ 1/100 정도로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인으로 탁해지고 끈적해진 혈액이 가장 먼저 정체되고 막혀서 굳어지기 시작한다. 모세혈관이 막히면 혈액공급이 중단됨으로 그 주변세포에 영양과 산소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세포기능이 쇠퇴해지고 백혈구의 기능이 약해져서 각종 세균을 막아내지 못하게 되어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혈액이 끈적하게나마 흐르는 상태에서는 투약이나 주사 등의 효과가 있으나 끈적한 피가 모세혈관을 막고 굳어버린 상태가 오래되면 투약이나 주사 등으로 약제가 투여되어도 세포까지 전달이 이루어지기 힘들므로 효과가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침 뜸, 온열치료 등도 오래동안 막혀 굳어진 상태의 모세혈관속의 혈전을 온전하게 제거하는 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근본 치료에는 효과가 한계적일 수 밖에 없다.

현대의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음에도 대부분의 만성 병(성인병,대사질환.난치성 자가면역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모세혈관 속의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정혈요법이 만성 난치성 질환을 회복시키는데 놀라운 효력을 나타내는 이유는 바로 모세혈관 속에 오랫동안 굳어있는 혈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모세혈관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이미 막힌지 오래되어 기능 이 상실되어버린 모세혈관 속의 혈전을 제거하여 건강을 회복하는 방법으로는 정혈보다 더 효율적인 것이 없다는 것을 수 많은 임상경험으로 알 수 있다.

분당 베데스다연수원장
첫댓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격려해주심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번 찾어 뵙겠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