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방지는 하천, 강 정비사업중 샛강이나 습지를 조성해야 녹조를 막을수 있다
녹조를 막기 위해서는 생활하수를 충분히 정화하고 영양염류가 바다나 호수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또 강이나 호숫가에 정화식물인 추수식물(부들, 창포, 갈대), 부엽식물(연꽃, 수련, 마름)등을 심어 이미 유입된 영양염류를 흡수· 제거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있는 사실이다
하천정비의 문제점
1. 물이 흐르는 곳에 수생식물 식생분포가 너무 적다
(하천정비시 물이 흐르는 곳에 수생식물를 식재를 하지 않음)
2. 지금까지 하천을 정비하면서 하천에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놓은 것이 모두 고수부지(둔치)에 식재하였기에 수질을 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수생식물은 물이 흐르는 곳에 심어야 물속에 있는 질소, 인과 같은 양양물질을 수생식물이 흡수, 제거 할수 있는데 지금까지 하천정비나 4대강 사업이나 준설을 하면서 물이 흐르는곳에 수생식물을 복원하지 않았기에 하천, 호소, 강등에 극심한 녹조발생이 된다고 본다
(수생식물 없는 샛강)
3. 하천. 호수, 강을 정비를 하면서 많은 량의 야자섬유자재가 투입된 것이 또한 문제일수도 있다 야자섬유자재는 친환경소재다 그러나 이것이 썩는과정에서 유기물이 다량 발생하여 부영화 현상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본다
(하천 복원 사업에 사용하는 야자섬유 식생 자재및 침전시 물색갈 변화)
샛강을 살려야 녹조를 막을수 있다
1. 하천 정비로 없어신 샛강을 살려야 한다 옛날 우리 선조들은 지혜로워 마을공동으로 사용하는 빨래터나 가정 우물에서 버려지는 물들은 모두 샛강이라는 미나리 밭이나 연꽃이 심어저 있는 곳을 통하여 하천이나 호소로 방류 시켰음
2. 하천이나 호소에 유입되는 물을 습지를 조성하여 수생식물(식물체의 전체나 일부가 물속에서 생육하는 식물. 식물체의 대부분이 물속에 있는 침수 식물, 잎이나 식물체의 대부분이 수면에 떠 있는 부수 식물, 식물체의 상부가 대기 중에 나와 있는 정수식물로 구분된다.)을 식재한다
3. 하천정비로 물이 흐르는 곳에 없어진 습지를 다시 조성해야 한다 즉 물이 흐르는 물속에 수생 식물을 식재하여야 한다
4. 갈수기나 가믐 현상과 농번기 물 사용으로 수심차이가 심하여도 인공적이 습지를 만들어 수생식물이 살수있는 환경 조성
5. 부엽식물과 같은 잎이 큰 식물을 식재하여 수온이 오르는 것을 방지(녹조는 수심이 낮은 곳에서부터 발생하여 바람이나 유속에 따라 이동)
6. 친환경 소재라 하여 사후문제 검토 없이 사용하는 것을 자재해야 한다
(유속이 있는 물속에 식재를 하여야 녹조의 원인인 질소, 인
성분을 강으로 유입을 막을수 있음)
(흙을 용기에 담아 수중에 띄워 습지 기능을 가진 인공습지
연,수련과 같이 질소, 인 정화를 가장 잘하는 다양한 수생식물을 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