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전기를 인위적으로 일으키는 방법의 기본모델
1. 척추신전 호흡방식
○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하는 경우
-먼저 사전 근력테스트를 한다.
허리에 힘을 최대한 뺀 채로 윗몸을 의자 뒤쪽으로 100-120각도로 눕힌 상태에서 최소한의 허리힘을 이용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힘을 유지하는 가운데(의자등받이에 기대지 않고), 윗몸을 천천히 일으키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힘이 소요되는지에 대한 근력의 정도를 판별한다.
-판별이 잘 안될 때에는 반복하여 확인한다.
- 척추신전호흡을 한 후에 사후 근력테스트는 사전 테스트와 동일한 요령으로 하여 사전 사후의 근력 정도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 A타입 '등살밀어올리기"
양손바닥을 포개어 하복부를 살짝 감싼다.---> 천천히 숨을 코로5-6초간 들이쉬는 동시에 복근과 광배근(넓은 등근)의 힘으로 척추를 아주 부드럽게 위로 밀어 올리며 고개를 앞으로 당겨 숙인다.---> 숨을 자연스럽게 내쉰다.---> 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인체전기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1회의 호흡이 끝난 후에는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하면서 다음 차례를 기다리거나, 혹은 복식호흡을 3-4회 하거나,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는 목운동과 등근육을 상하로 수차례 오르내리는 유연성 운동을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척추신전호흡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B타입 "허리비틀기"
양손바닥을 포개어 하복부를 살짝 감싼다.---> 천천히 숨을 코로 5-6초간 들이 쉬는 동시에 고개와 윗몸을 정면에서 왼쪽이나 오른쪽의 한쪽방향으로 천천히 돌려서 척추와 허리를 비튼다.---> 숨을 천천히 내쉬는 동시에 고개와 윗몸을 정면의 원위치로 돌아온다.---> 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 1회의 호흡이 끝난 후에는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하면서 다음 차례를 기다리거나, 혹은 복식호흡을 3-4회 하거나,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는 목운동과 등근육을 상하로 수차례 오르내리는 유연성 운동을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척추신전호흡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C타입 "고개숙이기"
양손은 무릎을 짚고서 척추가 앞으로 당기도록 고개와 윗몸을 앞으로 숙인다.---> 숨을 코로 천천히 5-6초간 들이쉰다.---> 고개와 윗몸을 일으키면서 숨을 천천히 내쉰다.--->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 1회의 호흡이 끝난 후에는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하면서 다음 차례를 기다리거나, 혹은 복식호흡을 3-4회 하거나,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는 목운동과 등근육을 상하로 수차례 오르내리는 유연성 운동을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척추신전호흡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자리에 드러누운 상태에서 하는 경우
-먼저 사전 근력테스트를 한다.
자리에 드러누운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힘이 들 때에는 양다리 들어올리기를 하는데, 우선 양다리를 똑바로 뻗은 채 허리와 허벅지에 힘을 최대한 뺀 상태에서 양다리를 최소한의 힘을 이용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힘을 유지하여 양다리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힘이 소요되는지를 판별한다. 판별이 잘 안될 때에는 반복하여 확인한다.
- 척추신전호흡을 한 후에 사후 근력테스트는 사전 테스트와 동일한 요령으로 하여 사전 사후의 근력 정도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 A타입 "척추비틀기"
양다리를 똑바로 뻗어 드러누운 채로 바닥에 닿은 발뒤꿈치에 가하는 힘을 축으로 척추를 좌우로 각각 1회 비틀면서 숨을 들이쉰다. 이때에 양팔꿈치로 바닥에 대고 몸을 지탱한다---> 숨을 천천히 내쉰다.---> 위의 방법으로 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인체전기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계속하거나 복식호흡을 3-4회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척추신전호흡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B타입 "괄약근조이기"
양다리 사이를 30-40cm 정도 벌린 채로 괄약근에 힘을 강하게 가하는 동시에 숨을 들이쉰다.---> 숨을 천천히 내쉰다.---> 위의 방법으로 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인체전기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계속하거나 복식호흡을 3-4회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척추신전호흡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자세에 구애없이 하는 경우
사전 사후 근력테스트를 비교하여 인체전기의 발전여부를 확인한다.
▪ 척추압축하기
마치 기합을 넣듯이 팔다리와 어깨 등 온몸에 힘을 주는 동시에 순간적으로 척추에 힘을 가한다. 이때에는 기합소리를 질러도 무관하다.
2. 두개골 진동방식
○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하는 경우
근력테스트는 위의 척추신전호흡을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 비강진동
입술은 다물고 입천장은 낮추어 구강과 인후강을 최대한 좁히면서 코 전체에 힘을 주어 약간 위로 치켜 올려 콧구멍을 넓히는 반동으로 비강입구가 좁혀진 상태에서는 우선 들숨으로 일정한 호흡량을 유지한 후에 날숨으로 길게 내쉬는 동시에 ‘응’ 혹은 ‘음’하는 콧소리로 비강을 진동한다.---> 숨을 들이쉬며 일상적인 호흡을 유지한다.---> 위의 방법으로 사후 근력테스트를 한다--->1회의 호흡이 끝난 후에는 일상적인 편안한 호흡을 하면서 다음 차례를 기다리거나, 혹은 복식호흡을 3-4회 하거나, 고개를 좌우로 움직이는 목운동과 등근육을 상하로 수차례 오르내리는 유연성 운동을 하는 등으로 20-30초 경과된 후에 2회째 두개골진동을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한다(초보는 3-4세트 반복하며, 숙련자는 초과무관)
* 인후강 진동으로도 가능하나 이때에는 입을 크게 벌린 후에 날숨에 의한 인후강 진동으로 '허 허 허' 혹은 '하 하 하' 하는 목소리와 동시에 진동을 유도한다.
※ 인체전기는 모두 "한 호흡"에 의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