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 | •개회 |
10:00~10:10 | •개회사: 김동민(동양철학연구회 회장,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환영사: 김도일(성균관대 유학동양한국철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장, 유교문화연구소장) |
<세션1> •사회: 김종석(성균관대) |
10:10~10:25 | 【발표1】 주역의 이야기 혹은 말[辭]의 시간성 연구 | •발표: 고윤숙(성균관대) |
10:25~10:40 | 【발표2】 『역전』의 상(象) 미학으로 본 시뮬라크르 시대 | •발표: 이순영(성균관대) |
10:40~11:10 | 【발표1】, 【발표2】 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이오륜(성균관대) |
11:10~11:25 | 【발표3】 진부량(陳傅良)의 춘추학(春7秋學) 경문 해석 특징에 관한 고찰 - 『춘추후전(春秋後傳)』을 중심으로- | •발표: 장상량(성균관대) |
11:25~11:40 | 【발표4】 정약용 인성론의 도덕적 책임 논변 탐구 | •발표: 정호암(서울시립대) |
11:40~12:10 | 【발표3】, 【발표4】 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함윤식(성균관대) |
12:10~13:00 | •점심식사 |
<세션2> •사회: 박지훈(서영대) |
13:00~13:15 | 【발표5】 분황 원효의 중관과 변관의 연구 - 『중변분별론소』를 중심으로 | •발표: 정지원(동국대) |
13:15~13:30 | 【발표6】 분황 원효의 발심수행장 연구 | •발표: 오민석(동국대) |
13:30~14:00 | 【발표5】, 【발표6】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유용빈(서울대) |
14:00~14:15 | 【발표7】 분황 원효의 일심 이문 삼대 인식 - 『대승기신론별기』와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 | •발표: 윤하연(동국대) |
14:15~14:30 | 【발표8】 불교 화엄 성기설의 조명 - 상즉상입과 불기의 관점을 중심으로 | •발표: 이동원(동국대) |
14:30~15:00 | 【발표7】, 【발표8】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박인석(동국대) |
15:00~15:10 | 휴식 |
<세션3> •사회: 길훈섭(성균관대) |
15:10~15:25 | 【발표9】 안무가 장혜림의 무용 작품 <제(祭)>에 담긴 한국미 - 현대 한국예술의 자연주의- | •발표: 서유리(성균관대) |
15:25~15:40 | 【발표10】 『한창려집(韓昌黎集)』을 통해 본 유교적 사회복지관 | •발표: 길민규(성균관대) |
15:40~16:10 | 【발표9】, 【발표10】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김재경(조선대) |
16:10~16:25 | 【발표11】전도된 플라톤주의로서의 니체 철학과 행복의 문제 | •발표: 최지헌(건국대) |
16:25~16:40 | 【발표12】 AI와 사랑할 수 있을까? – 맹자의 仁과 愛를 중심으로 | •발표: 이나영(충북대) |
16:40~16:55 | 【발표13】 맹자에 나타난 방심(放心)과 구방심(求放心)의 문제 | •발표: 하승원(조선대) |
16:55~16:40 | 【발표11】, 【발표12】, 【발표13】에 대한 토론 및 답변 | •토론: 이장희(경인교대) |
16:40~17:00 | 휴식 |
17:00~18:00 | •종합토론 | •좌장: 정상봉(건국대) 안재호(중앙대) |
18:00 | •폐회사: 김동민(동양철학연구회 회장,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