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 10주년 기념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제29차 학술대회
대한시대 한국철학자들의 불교철학과 분황 원효 인식
우리 연구소에서는 대한시대(1897~남북통일) 한국철학자들의 불교와 분황 원효(617~686) 인식을 구명하는 학술대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우리의 학문사는 전통학과 수입학과 시비학과 창조학으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기조 발제에서는 이들 인문학의 학문사 중에서 수입학과 시비학의 시대에 살면서 불교철학과 원효철학을 연구한 고형곤(1906~2004), 하이데거와 원효철학의 소통을 모색한 신오현(1938~2021), 데리다와 원효철학의 접점과 통로를 연 김형효(1940~2018) 등 현상학과 불교 인식 및 원효 인식에 대해 개괄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이어 본 학술대회에서는 현주 허영호(1900~1952), 뇌허 김동화(1902~1980), 효성 조명기(1905~1988), 불연 이기영(1922~1996), 보현 박성배(1933~ )의 원효 인식에 대해 조명하게 될 것입니다.
이정우 교수의 기조발제에서 다루는 한국철학자들은 20세기에 국학이 된 서양철학을 먼저 접한 이들입니다. 이들은 서양철학에서 출발했지만 만년에는 모두 동양철학을 돌아보면서 특히 불교철학과 원효철학에 주목했습니다. 이들은 특히 현상학과 불교의 대화를 모색했습니다. 고형곤은 서양철학자로서 하이테거와 선의 통로를 열고자 했고, 신오현은 동양한국철학으로 서양철학을 극복하는 작업에 노력하였으며, 김형효는 동서양 철학을 소통을 추구하며 한국철학의 지평을 확장했습니다.
학술대회의 주제인 대한시대 한국철학자들의 불교철학과 분황 원효 인식에 걸맞게 이들은 20세기의 대표적인 한국철학자이면서 분황 원효 연구에서 전력한 학자들입니다. 현주, 뇌허, 효성, 불연, 보현 등은 모두 분황 원효를 역할모델로 삼은 학자들입니다. 이들은 원효를 주제로 한 논문과 저술들을 지속적으로 간행한 이들이면서도 수행의 면모를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현주, 뇌허, 효성, 보현(박성배)은 출가 이력이 있으며 불연(이기영)은 수도원에 머무르던 카톨릭 수도자인 드 라 발레 푸쌩의 지도로 유학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 연구소는 고중세의 국학이었던 불학과 근세의 국학이었던 성리학 그리고 20세기 이후 국학이 된 서양철학의 문법이 주도하는 철학계의 현실에서 대한시대 한국철학자들의 불교철학과 분황 원효 인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오늘의 한국철학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동서와 남북을 가로지르는 21세기의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에 집중하는 것은 우리 연구소가 추진하는 일련의 프로젝트와도 상통하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나아가 이러한 기획은 원효 사상 연구의 내포를 단단히 하고 외연을 넉넉히 하는 계기도 될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1. 일 시: 2025년 9월 20일 (토) 13:00 ~ 18:40
2. 장 소: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163호 멀티미디어 강의실
3. 주 관: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세계불교학연구소
주제별 발표 소개 ------------------------
(13:00-13:10) 개회사 _ 소장
(13:10-13:50)
기조발제 _ 20세기 한국 철학에서의 현상학과 불교의 대화: 신오현, 고형곤, 김형효 _ 이정우 (소운서원 원장)
제1부: [사 회]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3:50-14:40)
[발 표1] 뇌허 김동화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1 : 김원명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논 평 1 : 김영진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14:40-15:30)
[발 표2] 효성 조명기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2 : 박서연 (만문대장경연구소)
논 평 2 : 이인석 (청동스님, 한마음선원)
(15:30-16:20)
[발 표3] 보현 박성배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5 : 이병욱 (고려대 철학과 외래교수)
논 평 5 : 김영일 (동국대 불교학술원 초빙교수)
휴식 : 20분
제2부 [사 회]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6:40-17:30)
[발 표4] 불연 이기영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4 : 고영섭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논 평 4 : 최건업 (동국대 불교학과 외래교수)
(17:30-18:20)
[발 표5] 현주 허영호의 분황 원효 인식
발 표 3 : 명계환 (동국대 불교학과 외래교수)
논 평 3 : 김은영 (동국대 K학술확산연구소 초빙교수)
(18:20-19:10)
[종합토론] 김태수 (서울대 규장각연구소 연구교수)
(19:10-19:15)
폐회사 _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