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람 사이가 너무나 좋은 젊은 부부가 있었다.
둘은 잠시도 떨어질 수 없는 잉꼬 부부로 지냈다.
남편은 부인이 보고 싶어 점심시간에도 집에 와서 밥을 먹었다.
하루는 부부간에 키스를 하다가 실수로 부인이 남편의 혀를 깨물었다.
남편은 혀가 너~무 아픈 나머지 자기도 모르게 순식간에 부인의 뺨을 때렸다.
‘부인은 깜짝 놀랐다. 남편의 무의식 습관에 전율이 올라왔다.’
남편은 바로 미안하다고 말했지만 부인 입장에서 뺨을 맞은 일은
절대로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은 일'이 되고 말았다.
이후 남편은 부인에게 수없이 미만하다고 용서를 빌었다.
그렇지만 부인은 ‘남편이 앞으로 이보다 더 큰 일이 생기면 어떤 행동을 할까?’
생각만 해도 두렵고 무서웠다. 결국 두 사람은 헤어졌다.
두 사람의 인연은 여기까지가 된 셈이다.
노자(老子)는
“생각이 쌓이면 말로 표출하게 되고, 말로 표출하면 행동으로 옮기게 되고,
행동이 쌓이면 습관을 이루고, 습관이 쌓이면 성품을 이루고, 성품이 쌓이면
한인생의 운명을 결정한다." (積思成言積言成行積行成習積習成性積性成命)
즉 생각은 행동이 되고 행동은 습관을 만들고, 습관이나 습성은 성품을 만들고,
그리고 그 성품은 인생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습관은 어떤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말하는데, 나쁜 습관이 몸에 배게 되면 쉽게 고치기 어렵다.
그래서 습관을 제2의 천성이라고 한다. 습관은 곧 언행으로 나타내게 되고, 언행은 그 사람의
인격과 품격을 가늠한다.
세상은 쉼없이 인연 따라 변한다.
부부도 이 인연과보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
부부는 억겁의 인연으로 만나게 된 소중한 관계지만 ‘부부인연((因緣)도 유통기한’이 있다.
유통기한 없는 아름다운 삶을 위해 무의식의 나쁜 습관을 스스로 인식하고 잘 다스려야 한다.
좋은 말을 하고, 좋은 행동을 하며 평소 남을 배려하는 아름다운 마음을 써야한다.
<법륜스님 즉문즉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