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행일정(새만금방조제 대각산 2025년 9월 28일, 일요일) ♧
▷당일 차량 이동 계획
[07:50] 첨단 우리은행사거리(양산동 방향)
[08:00] 양산동 광주은행사거리 식자재마트 건너
[08:10] 양산동 행정복지센터(구, 양산동 주민센터)
[08:15] 양산 저수지
[08:20] 운암동 문예회관 후문(고속도로 방향)
[08:30] 각화동 농수산물 도매시장(그린장례식장 건너)
[*****] 휴게소 경유
[10:00] 신시도 산행기점 도착(125km, 1시간 30분 소요 예정)
[10:00~13:00] 산행시간 3시간 제공(휴식 포함)
[13:00] 미니해수욕장 집결
[17:30] (예정) 광주 도착
[코스정보] 신시도 주차장~ 미니해수욕장 코스, (5.0km)
▷A코스:신시도주차장→월령봉→방조제→대각산→미니(몽돌)해수욕장(3시간 소요)
▷B코스:미니(몽돌)해수욕장→대각산→미니(몽돌)해수욕장(자유시간)
네비게이션 주소 : 시점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산 4-23
종점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산 4-23
(산행지도)
(코스개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에 있었던 섬인 신시도는 동경 128° 34′, 북위 35° 47′에 위치하며, 고군산군도 24개 섬 중 가장 큰 섬이었으나, 2010년 이후 새만금 방조제(1991년~2010년)에 의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신시도의 북쪽에는 야미도와 비응도, 남쪽에는 비안도, 동쪽은 새만금 내부, 서쪽에는 무녀도, 선유도, 대장도, 관리도가 있다. 2010년 새만금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북쪽의 비응도 및 야미도 그리고 남쪽으로는 가력도 및 부안군 변산면과 연결되었다. 비응도까지는 14km이며, 새만금 방조제의 부안쪽 방향에는 신시배수갑문이 있다.
행정구역으로는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이다. 면적은 4.25㎢이고, 해안선 길이는 16.5km이었다. 섬에는 월영산(198m), 대각산(187m), 앞산(122m), 노적봉 등이 있는데, 월영산은 고군산군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대각산에는 2004년에 세운 전망대가 있다. 신시도는 원래 심리(深里) 또는 신치(新峙)로 불리우다가, 일제강점기 때 신시도로 개칭하였다.
지질은 백악기(白堊紀) 말 산성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2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남서쪽 해안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있으며, 이곳에는 소규모의 간석지 이내에서 농경지로 조성된 곳도 있다. 1월 평균기온은 -0.1℃, 8월 평균기온은 25.0℃, 연강수량은 1,028mm이다.
신시도 근해(近海)에는 멸치, 바지락, 주꾸미 등이 어획되며, 갯 양식업이 활발하다. 어항과 해수욕장은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에는 갯벌이 발달해 있다. 그리고 남서쪽 해안에는 소무포의 염전도 있다. 신시도의 동쪽에는 새만금 방조제(국도 77호선)와 신시배수갑문, 신시광장, 국도 77호선에 따라주도로가 이어지는 국도 4호선의 교차점인 신시 사거리, 신시도항, 해변군 파출소, 휴게소 등이 있다. 서쪽은 대장도로가 이어지는 4번 국도는 섬 북쪽의 월영산과 대각산 사이의 협곡을 따라 본섬에 위치한다. 한편, 해변에는 신시도휴게소, 보건 진료소(保健診療所), 휴양림, 해수욕장, 군부대, 군 최일선의 신병 등도 있다. 그리고 대각산 정상부에는 신시도 자연휴양림이 있다. 4번 국도는 서쪽의 고군산대교를 통하여 무녀도 및 선유도와 연결된다. 신시도는 신시대의 고도 최일선의 근세의 유학자로던 간재 전우 선생이 거주하였다.
■ 문의처 :
▷회장(김형진) 010-4535-4677
▷부회장(손석문) 010-3612-7300
▷부회장(설미숙) 010-8567-0864
▷산행대장(봉성권) 010-2065-4783
▷산행대장(박종진) 010-8633-9430
▷산행대장(박장훈) 010-3623-3216
▷총무(김연숙) 010-5663-3404
▷총무(김오진) 010-9181-3013
▷카페(송순애) 010-4524-0555
▷버스운행 박래복 : 010-9453-6641 (보훈고속관광)
▷ 차량번호 : 광주73 바 1274
■ 참가비 : 금40,000원(입장료등 부대비 전액 포함)
중식제공(살이 통통 오른 꽃게 제공합니다.)
선입금처 : 국민은행 79200101270153 김X숙
■ 기타 :
▷우의, 비상용 여벌옷(방한복), 비상금, 목욕준비물등
■ 산행시 주의점
1.[속도]경쟁하지 않고 자기 체력에 맞게 적당한 속도로 걷는다.
2.[체온]적정한 체온 관리로 체력소모를 줄인다.
3.[행동식]산행중에는 적당한 수분과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행동식
(견과류, 초콜렛, 사탕, 영양갱, 육포, 과일 등)을 중간 중간 틈틈히 섭취해 주면 좋다.
4.[오름길]오름길에는 보폭을 줄이고 가슴을 활짝 펴고 걷는다.
5.[내림길]내림길에는 경사면과 비례하여 무릎을 구부리고 걷는다.
6.[급내림길]경사진 내림길에서는 등산화 바닥 전체가 지면에 닫도록 딛는다.
7.[배낭]배낭은 가벼운 것을 아래로 무거운 것은 위로 넣어 꾸린다.
8.[배낭]배낭끈은 보행시 배낭 및 내용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조인다.
9.[배낭]배낭의 지퍼가 열어지지 않도록 하려면 지퍼 손잡이가 중앙보다는 한쪽으로 치우치게 위치
시켜야 한다.
10.[유인물]출발 전 배포한 유인물은 꼭 지참하여 산행코스 및 일정을 참고하며,
비상시에는 연락망을 활용한다.
□상기 일정은 당일 사정이나 기상에 따라 변동 또는 취소 될 수도 있으며, 변동이나 취소시 예약자에 한하여 문자로 통지해 드립니다.
□예약 취소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목요일 오후까지 카페나 문자로 의사를 반드시 통보해 주셔야 합니다.
□본 산악회는 비영리 단체로서 산행시 발생하는 신체 및 재산상의 손해는 산악회와 무관하고 어떠한 책임도 없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산행지 사진 미리보기)
(좌석배치도_45인석)
기 사 | 좌 석 | 통 로 | 보조석 | 좌 석 | |||||
1 | 김미선 | 2 | 송순애 | 3 | 김연숙1 | 4 | 정지아 | ||
양 산 | 첨 단 | 양 산 | 첨 단 | ||||||
5 | 백미화 | 6 | 오종선 | 7 | 송진례 | 8 | 김혜정 | ||
문 예 | 문 예 | 각 화 | 첨 단 | ||||||
9 | 채윤경 | 10 | 김오진 | 11 | 조연희 | 12 | 박춘미 | ||
각 화 | 각 화 | 첨 단 | 첨 단 | ||||||
13 | 이정열 | 14 | 이정재 | 15 | 고관순 | 16 | 김연숙2 | ||
양 산 | 양 산 | 문 예 | 문 예 | ||||||
17 | 오정주1 | 18 | 천은숙2 | 19 | 천은주3 | 20 | 고은미4 | ||
첨 단 | 첨 단 | 첨 단 | 첨 단 | ||||||
21 | 신지선 | 22 | 신은숙(데렐라 | +1 | 김형진 | 23 | 한상님 | 24 | 이명자 |
첨 단 | 첨 단 | 첨 단 | 첨 단 | ||||||
25 | 장혜진 | 26 | 신나영 | +2 | 박종진 | 27 | 이유심 | 28 | 조미애 |
첨 단 | 양 산 | 문 예 | |||||||
29 | 임정아 | 30 | 정용우 | +3 | 김광수 | 31 | 방희복1 | 32 | 방희복2 |
양 산 | 문 예 | 문 예 | |||||||
33 | 박정용 | 34 | 박성태 | +4 | 김규형 | 35 | 김의수1 | 36 | 김의수2 |
문 예 | 양 산 | 양 산 | 양 산 (코카) | 양 산(코카) | |||||
37 | 조기용 | 38 | 김진일 | +5 | 39 | 홍소영 | 40 | 신달자 | |
양 산 | 양 산 | 양 산 | 양 산 | ||||||
41 | 최봉림 | 42 | 조길호 | 43 | 윤희창 | 44 | 봉성권 | 45 | 정기중 |
양 산 | 양 산 | 양 산 | 양 산 | 각 화 | |||||
( 자가용 5인승 ) | |||||||||
-1 | 손석문 | -2 | 김명희1 | -3 | 김명희2 | -4 | 강어숙1 | -5 | 강어숙2 |
문 예 | 양 산 | 양 산 | 문 예 | 문 예 | |||||
-6 | 허행수 | -7 | -8 | -9 | -10 | ||||
양 산 |
첫댓글 ㅎㅎ 인자 대기석이 아니고 자가용 5인석이네.....
벌초 땜시 불참 입니다.
김의수외 1인 총2인 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