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러 음악 들으며 산행기 보기 https://youtu.be/lub9L8v-_ec
(대구)수성구 덕원고~범물동, 3山3峰3展望臺3奇岩
▣ 2023. 3.24. 금. 흐림. 13~17℃. 미세먼지 나쁨
- 산어귀회원 6명(무상/육구당/더덕/해오름/핵대장/의산)
- 대중교통(버스). ₩60,500 (버스2,500+하산식58,000)
▣ 총거리 : 12.5km (나의 실행거리)
- oruxmaps 도상거리 : 11.22km
▣ 총시간 : 5시간 (07:50~12:50)
- 山·峰·臺·岩 확인과 봄꽃 賞春觀像 및 조망 등 포함
▣ 통과 주요지점
◯ ‘덕원고등학교 건너’ 버스정류장 (수성구 욱수동387)
- 불광사,덕원고앞(집합)-들머리(산불초소/안내도)-삼거리右
◯ ☗192m전망대(데크계단左)-벤치쉼터1-벤치쉼터2-
- 범바위(상단☗375m전망대/사각데크)-(등로左)의자바위
◯ ▲유건산(453m/정상표지목/삼각점,대구458)-(마마8653)
◯ 헬기장-구멍바위-지형도상 ▲474m봉(무표식/내관봉?)-
◯ ▲망월산(518m/쉼터/마마5791/이정목/정상표지 부착)-
◯ 지형도상 ▲467m봉(쉼터)-▲524m봉(이정목/마마5695)-
◯ ▲진밭골봉(519m/만보정/산불초소/정상표지 부착)右꺾
◯ ▲깃대봉(554m/이정목/정상표지 부착)-거북바위
- ▲587m봉(‘비슬대덕단맥’표기된 이정목/마마5738)-
◯ ▲대덕산(504m/정상석2/이정목/표지부착)-반공포병학교탑
- 헬기장-◬삼각점(대구341)-Y삼거리(마마5830)左-목계단-
◯ 지형도상 ▲462m봉-☗449m전망대-☗441m전망대-
-알바위-▲296m봉(산불초소)-(목계단)-복명초교정문
- “신가네토장집”식당(범물동1321-7)(종착/산행종료)
▣ 후기
◯ 3.23(목)은 산어귀산악회 핵대장 주관의 김천100대명산
(난함산 등)산행이나 기히 혼자서 진행하였던 코스.
- 체력관리상 어디든 산행코자 접근이 용이한 근교산을
찾던 중, 개별산으로는 여러번 갔던 산봉이나 한꺼번에
단일코스로 엮어 산행키로 함.
- 그러나 당일 전국적 강우로 하루 늦춰 비가 그친 24일로.
미세먼지 나쁨으로 산행내내 마스크 착용으로 숨가쁨.
◯ 하산날머리인 복명초등학교 앞에서 귀가버스정류장 사이의
“신가네토장집”에서 가자미정식(청국장포함/1인 10,000)과
맥주로 하산식후 귀가착(14:35).
- 조기 귀가에 놀라면서도 반가워하는 모습에 행복감.
▣ 실제산행 기록트랙 gps파일
▲불광사 전경. ▼덕원고등학교 정문앞에 모여 함께 출발 (무상님과 육구당님은 사직단에서 따로 올라옴)
입산들머리. 우측 야자매트 산길로
다시 우측 오르막으로 유건산 방향으로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상 별표와 해발192m가 표기된 전망대 지점의 전망바위이나 나무에 가려 전망미흡. ▼더 오른 쉼터
▲지형도상 범바위 거암. 범바위 상단의 전망데크가 보인다. 등로 좌측의 지형도상 표기된 의자바위▼
범바위 상단의 "375m전망대"의 전망데크에서 조망. 조망도와 현지 전경과 비교
▲오늘 산행은 봄 꽃놀이 상춘산행이다. 산행내내 진달래꽃과 함께한다. ▼쉼터벤치 바로 앞의 삼각점이 보인다.
구멍바위(透투)
▲지형도상 474m봉. 어느 지도에선 여기를 아래동네 이름을 따 내관봉이라고(?). 시그날부착. ▼가야할 망월산 조망
▲한폭의 동양화 같은 소나무와 바위. 그리고 등로 우측의 기거암▼
넓은 공터의 망월산엔 아무런 표식이 없어 정상표지 부착과 사진
육구당님은 동창회모임으로 12시까지 가야한다며 여기서 하산. 약속있슴에도 여기까지 오심에 감사드립니다.
▲마마5785표목이 있는 삼거리봉에서 좌측으로 가면 다시 쉼터를 지난다▼.
▲국가지점번호 5729와 5721지점을 지나 오르면 만보정으로 잘 알려진 진밭골봉▼
▲진밭골봉 산불초소 우측으로 돌아 대덕산 방향으로 틀어가면 둔덕 위의 묵삼각점▼
국지원지형도상 깃대봉(554m)에는 아무런 표식이 없고 지점번호판만 있어서 정상표지 부착과 사진
거북바위
▲▼억새밭의 둔덕정상부 마마5758 지점은 지형도상 587m봉으로 비슬지맥-대덕단맥이라고 쓰여있다.
▲등로 우측의 바위에 올라가봐도 앞에 가야할 대덕산이 우뚝솟아있다.
아뿔사! 고도표기가 잘못되었다. 어쩌나~. 604m인데 933이 어떻게 쓰여졌는지 후답자님들이 대충보기를 기대해 본다.
정상석이 2개나 있는 대덕산(대덕봉)을 지나면 반공포병학교기념탑
▲헬기장을 지나면 ▼삼각점이 재설되어 종전에는 여기를 대덕산 정상으로 여기지 않았는지.
Y삼거리에선 우측은 대구스타디움, 좌측 계단아래로 복명초등학교 표기방향으로 내려가기전 조망
저기 아래 흰색 바위부분은 462m암봉이고 그 뒤로 전망대,그 아래로 마루금능선따라 쭈욱 내려갈 것이다.
▲무상님과 의산의 호연지기. 지형도상 462m암봉에서 ▼욱수골 조망
등로 우측의 전망바위는 지형도상 별표와 449m가 표기된 전망대다.
▲지형도상 다시 441m전망대. ▼삼덕동 TC와 건너 지산 긔리고 두리봉(부대건물)과 멀리 형제봉까지 조망
▲알바위. 지형도에도 이름이 올려져 있다. ▼송전탑도 지나고.
지형도상 296m봉의 산불감시초소
무신계로서는 높은 정3품 당상관인 절충장군의 묘역을 보고 계단따라 산행날머리로 내린다.
▲복명초등학교앞으로 하산하여 ▼해오름님이 잘 안다는 식당에서 하산식. 생각보다 내부가 깨끗하고 식사도 정갈하다.
▲귀가길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건너 버스정류장길의 벚꽃과 ▼귀가시 심우당(尋友堂)의 홍매화와 사과꽃봉우리
오늘도 무한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