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중반의 코리아 타임즈 칼럼니스트 이선호 선생님의 글입니다.
필자는 어디에 기든 본인이 최연장자라고 말합니다.
그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의미 있는 일을 하는 것, 황혼기를 즐기는 데 새롭고 도움이 되는 일을 배우는 것,
지인과 이웃에게 유용한 일에 기여하는 것을 3가지 삶의 원칙으로 말합니다.
이선호님을 본받고 싶습니다.
Wherever I go, I am the oldest
어디를 가든 내가 최연장자
By Lee Sun-ho
The writer (wkexim@naver.com) is a freelance columnist living in Seoul.
이선호
작가(wkexim@naver.com )는 서울에 거주하는 프리랜서 칼럼니스트이다.
Posted : 2025-03-06 15:10 Updated : 2025-03-06 15:10
Korea Times
As an ordinary octogenarian in my mid-80s, I often feel like the eldest in any group I join, whether it's for social gatherings or part of my daily routine in the city.
80대 중반의 평범한 팔십대인 나는 사교모임이든 도시에서의 일상생활이든 어떤 그룹에 가입하든 종종 최연장자로 느껴진다.
Like an early bird, I go to the Well & Fitness health club across from my residence in Gangnam District, Seoul, around 5 a.m. for energizing gym exercises, followed by hot water bathing. There I cannot find any members who are older than me. The club members are undoubtedly physically healthier and appear fresher and more attractive than I am, as well as my fellow octogenarians.
이른 아침 5시쯤 서울 강남구에 있는 집 맞은편 웰앤피트니스 헬스클럽에 가서 헬스장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고, 이어서 온수 목욕을 한다. 그곳에서는 니보다 나이가 많은 회원을 찾을 수 없다. 동호회 회원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신체적으로 더 건강하고 니뿐만 아니라 나보다 더 신선하고 매력적으로 보인다.
Among the many regular opinion column contributors to The Korea Times, I believe I may be one of the eldest. Younger columnists, whether man or woman, Korean or foreign, seem to possess much broader scope of knowledge, more in-dep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better, more up-to-date writing skills than I have. The generational gap between younger people and octogenarians can be compared to the shift from personal computers (since 1984) to smartphones (since 2009) or from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ince 2009) to the "brain-robot" interface breakthrough in AI (since 2012).
코리아 타임즈의 많은 정기 오피니언 칼럼 기고자 중 저는 제가 가장 나이 많은 칼럼니스트 중 한 명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인이든 외국인이든 남성이든 젊은 칼럼니스트는 나보다 훨씬 더 넓은 지식 범위, 더 심도 있는 전문 지식, 더 나은 최신 글쓰기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 같다. 젊은 층과 팔순 세대의 세대 차이는 1984년 이후 개인용 컴퓨터에서 스마트폰(2009년 이후)으로, 무선 인터넷 통신(2009년 이후)에서 AI의 '뇌-로봇' 인터페이스 혁신(2012년 이후)으로 이동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I remember that even 20 years ago, after retiring from my main career, I was often the eldest in any top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 participated in. Whether appointed to a professional committee of a public institution, serving as an outside director for private companies, or attending formal meetings of my former employees' associations, I was automatically chosen as the steering committee chair, board meeting presider or toastmaster, respectively, due to my seniority.
20년전만 해도 본업에서 은퇴한 후에는 참여했던 최고경영진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나이가 많았던 기억이 난다. 공공기관 전문위원회에 임명되든, 민간기업 사외이사로 활동하든, 전 직원 협회의 공식회의에 참석하든 연공서열에 따라 운영위원장, 이사회 의장 또는 토스트마스터로 각각 자동 선출되었다.
As of 2023, the life expectancy of Korean octogenarians was 83.5 years (80.1 years for men and 86.4 years for women), according to recent official statistics. This means my age is already above the average lifespan, marking the final stage of my life’s journey.
최근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 80대의 기대수명은 83.5세(남성 80.1세, 여성 86.4세)였다. 이는 내 나이가 이미 평균수명을 넘어섰다는 것을 의미하며, 내 인생의 마지막 여정을 의미한다.
I have concluded that I should learn from younger generations, whose AI-based skills are far superior to those of ordinary octogenarians like myself. Aging is inevitable and accepted as a natural phenomenon, as older individuals tend to become more agreeable and conscientious. However, any frailty due to medical conditions or reduced health can be prevented by an individual's resolute mindset and precautionary actions, even as the centenarian era approaches.
나는 AI 기반 기술이 나와 같은 일반 팔순세대보다 훨씬 뛰어난 젊은 세대에게 배워야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노년층은 더 친근하고 양심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노화는 피할 수 없으며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의료조건이나 건강저하로 인한 허약은 100세 시대가 다가와도 개인의 결단력 있는 마음가짐과 예방 조치로 예방할 수 있다.
I treat each day as if it were my last normal day, yet remind myself that I’m not too old to move around. I believe that everything I practice should be done in the present and that this ongoing sense of fulfillment will eventually pass, sooner or later. My three guiding principles at my octogenarian ag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o do something meaningful that leads in a positive direction, to learn something new and helpful for enjoying my twilight years and to contribute something useful to my acquaintances and neighbors. I often murmur to myself, "Pay as I go, as long as I can still stroll on foot by myself."
나는 매일이 마지막 평범한 날인 것처럼 대하지만, 움직이기에 너무 나이가 많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킨다. 내가 하는 모든 연습은 현재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 지속적인 성취감은 조만간 지나갈 것이라고 믿는다. 팔순 나이에 나의 세 가지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의미 있는 일을 하는 것, 황혼기를 즐기는 데 새롭고 도움이 되는 일을 배우는 것, 지인과 이웃에게 유용한 일을 기여하는 것이다. 나는 종종 혼잣말로 "혼자서 내발로 걸을 수 있는 한 가는 곳에서 돈을 내자."라고 중얼거린다.
#Octogenarian팔십대 #Eldest최연장자 #Generationalgap세대차이 #Lifeexpectancy기대수명 #AI-basedskillsAI기반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