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3일 열리는 대통령선거가 2주일도 남지않았습니다.
지난 금요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6% 입니다.
이런 일방적인 예상속에서 기자는 12.5백만명의 20-30대 와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이 중료하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투표할 후보를 정하셨나요?
Young voters, Busan may decide election outcome
젊은 유권자들, 부산이 선거 결과를 결정
By Bahk Eun-ji 박은지 기자
Bahk Eun-ji has been with The Korea Times since 2012, building a career across multiple desks. She began at the Business Desk, where sh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figures in Korea's corporate world. Later, she moved to the Politics & City Desk, focusing on education policy and social affairs. She later served as team leader of the digital content team, leading curation efforts on the newspaper’s homepage and reshaping print stories for social media audiences to enhance digital reach. Now back on the Politics Desk, she covers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ith a renewed focus on political developments.
박은지기자는 2012년부터 코리아 타임즈에 입사하여 여러 책상에서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비즈니스 데스크에서 시작하여 한국 기업계의 주요 인사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후 정치 및 도시 데스크로 자리를 옮겨 교육 정책과 사회 문제에 집중했다. 이후 디지털 콘텐츠 팀의 팀장으로 재직하며 신문 홈페이지의 큐레이션 작업을 주도하고 소셜 미디어 시청자를 위한 인쇄물 스토리를 재구성하여 디지털 접근성을 높였다. 이제 정치 데스크로 돌아와 국회와 국방부를 취재하며 정치발전에 대한 새로운 초점을 맞추고 있다.
Published May 19, 2025 4:53 pm KST
Korea Times
2 weeks left until June 3 snap presidential election
6월 3일 임시 대통령 선거까지 2주 남았다
With Korea's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just two weeks away, the path to victory increasingly hinges on the voting trends of two pivotal voting blocs: young adults and residents of the southeastern provinces, which include important urban areas such as Busan and Ulsan.
한국의 6월 3일 대통령 선거가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승리의 길은 점점 더 중요한 두 투표 블록의 투표 동향에 달려 있다: 젊은 층과 부산과 울산과 같은 중요한 도시 지역을 포함한 동남부 지역 주민들이다.
The sharpened focus on these groups underscores the shifting dynamics of the election, revealing a recognition that traditional strongholds and past voting patterns may not guarantee victory. This strategic pivot highlights the growing importance of engaging younger voters and winning over a potentially volatile southeastern electorate.
이러한 그룹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선거의 역학 관계가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텃밭과 과거 투표 패턴이 승리를 보장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전환은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잠재적으로 변동성이 큰 남동부 유권자들을 이기는 것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Recent polls indicate that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candidate Lee Jae-myung holds a commanding national lead. A Realmeter poll of 1,509 adults, conducted from Wednesday to Friday and commissioned by Energy Economic News, found that Lee had 50.2 percent support, followed by People Power Party (PPP) candidate Kim Moon-soo with 35.6 percent and Reform Party candidate Lee Jun-seok at 8.6 percent. The poll had a margin of error of plus or minus 2.5 percentage points at a 95 percent confidence level and was conducted via mobile phone interviews.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압도적인 전국 선두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경제뉴스가 의뢰해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성인 1,5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는 50.2%의 지지율을 보였고, 김문수 국민의힘(PPP) 후보가 35.6%, 이준석 개혁당 후보가 8.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 설문조사는 95% 신뢰 수준에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2.5% 포인트의 오차 범위를 보였으며, 휴대전화 인터뷰를 통해 실시되었다.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 areas where conservative parties traditionally enjoy a commanding lead — the numbers are far more competitive. Gallup Korea polled 1,004 adults from Tuesday to Thursday and found Lee leading Kim by just 2 percentage points — 41 percent to 39 percent — with a margin of error of plus or minus 3.1 percentage points at a 95 percent confidence level.
전통적으로 보수 정당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부산, 울산, 경상남도의 경우 경쟁률이 훨씬 높다. 한국갤럽은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이 후보가 41% 대 39%로 김 후보를 2%포인트 차이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marks a striking shift from previous elections.
이것은 이전 선거들과는 현저한 변화를 나타낸다.
In 2022, then-candidate Yoon Suk Yeol won 58.2 percent of the vote in Busan, while Lee received just 38.1 percent — a gap of more than 20 points. In last year’s legislative elections, the DPK secured only one of the city’s 18 constituencies. Lee’s rise above the 40 percent mark in the region has fueled speculation that the conservative stronghold may be weakening.
2022년 당시 윤석열후보는 부산에서 58.2%의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이 후보는 38.1%에 그쳐 20포인트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지난해 총선에서 민주당은 부산시 18개 선거구 중 단 한 곳만 확보했다.
In Ulsa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losely contested cities in the region, the two major candidates are locked in a statistical tie. The city is notable for its split voting record: in 2022, Lee narrowly defeated Yoon in one district by just 95 votes — one of the slimmest margins in the country. While voters in the southeast remain deeply divided, current polling suggests the electorate may be more fluid than in previous elections.
이 지역에서 가장 치열한 경합을 벌이는 도시 중 하나로 꼽히는 울산에서는 두 주요 후보가 통계적으로 동률을 이루고 있다. 이 도시는 분할 투표 기록으로 유명한데, 2022년에는 한 선거구에서 95표 차이로 윤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겼는데, 이는 전국에서 가장 근소한 차이이다. 동남부 유권자들은 여전히 분열된 상태이지만, 현재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이전 선거보다 유동적일 수 있다.
Voters in their 20s and 30s — totaling 12.49 million nationwide — are also seen as a decisive force. All three major candidates have crafted pledges aimed at winning over younger voters. Lee’s youth platform centers on expanding access to opportunities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with proposals such as government-matched savings accounts, expanded public housing, monthly rent subsidies and job-related incentives like military service credit in public-sector hiring.
전국적으로 총 1,249만 명에 달하는 20~30대 유권자들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세 주요 후보 모두 젊은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공약을 내세웠다. 이명박 후보의 청년 플랫폼은 정부 매칭 저축 계좌 확대, 공공주택 확대, 월세 보조금, 공공부문 채용 시 병역 공제 등 일자리 관련 인센티브 제공 등 기회 접근성 확대와 사회안전망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Kim has campaigned on building what he calls "a nation that grows with its youth and opens doors to the future," proposing tax incentives for companies hiring young people and the revival of large-scale corporate recruitment. His housing pledge includes a program offering up to nine years of rent assistance — three years tied to marriage and the births of a first and second child — and supplying 100,000 homes annually to eligible recipients.
김 후보는 청년 채용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과 대규모 기업 채용 부활을 제안하며 '청년과 함께 성장하고 미래로 문을 여는 국가' 건설을 위한 캠페인을 벌여왔다. 그의 주택공약에는 결혼과 첫째, 둘째 자녀 출산에 연계된 최대 9년간 임대료 지원 프로그램과 자격이 있는 수급자에게 연간 10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Despite these efforts, many young voters remain undecided. Both major candidates have stepped up their outreach — Kim through street rallies and policy forums, and Lee through meetings and discussions with students and first-time voters — but skepticism remains over whether these promises will lead to meaningful change.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젊은 유권자들은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두 주요 후보 모두 거리 집회와 정책 포럼을 통해, 이 후보는 학생 및 초선 유권자들과의 만남과 토론을 통해 지지율을 높이고 있지만, 이러한 약속이 의미 있는 변화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남아 있다.
Although Lee holds a nationwide edge, analysts caution that the race remains highly fluid.
이 후보가 전국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분석가들은 여전히 유동적이라고 경고한다.
The potential influence of so-called “shy conservatives” — voters reluctant to disclose their preferences in surveys — and late shifts in voter sentiment could still determine the outcome.
설문조사에서 선호도를 공개하기를 꺼리는 유권자들인 이른바 '샤이 보수주의자'의 잠재적 영향력과 유권자 심리의 늦은 변화가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Early voting is on May 29 and 30. With the outcome hinging on two of the most dynamic and unpredictable constituencies, the final stretch of the campaign is likely to be decisive.
사전 투표는 5월 29일과 30일에 진행된다. 가장 역동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두 선거구에 결과가 달려 있기 때문에 캠페인의 마지막 전개가 결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Further details are available on the National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s website.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조사심의위원회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Youngvoters젊은유권자 #Busan/Ulsan/Southeast부산/울산/동남부 #Electionoutcome선거결과 #Fluidelectorate유동적인유권자 #Youthpledges청년공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