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놀치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
사람중심 K-Therapy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
3년전 시작하려던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을 드디어 시작합니다. 몸과 마음이 맑아지며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천하무적이 되듯한 기분으로 푸놀치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을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늦은 듯 하지만 지금이 가장 빠른 순간이라는 말이 생각이 납니다.
이 과정은 1~2년(사람들의 성장과정이 다 차이가 다르듯이) 과정입니다. 이 과정 지도를 받으신 분들이 소정의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다른 분들을 지도하고 양성하는 단계로 나아가려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나에게서 너, 우리 가까운 주변으로 사회 전체로 지구촌 전체로 푸놀치 마음소풍이 퍼지기를 희망합니다. K-Therapy인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에서 인문사회, 경제, 복지문화 등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과정을 걸쳐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와 연결해 통합적인 공부를 하게 됩니다. 전세계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로움으로 안내하는 지도자(촉진자) 되기, 궁극적으로 삶을 건강하게 회복시키며 영성으로 안내하는 삶의 영성예술가로 거듭나는 건강하고 아름다운 물결이 퍼져나가기를 소망하며 희망합니다.
영성은 학자들 마다 다르게 말을 하지만 저는 교통사고후 긴 어둠의 터널을 통과하고 나니 이렇게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우리 삶의 모든 수준을 포함하는 것이 영성이며, 가장 넓은 의미에서 마음의 움직임에 관한 모든 것" 이라고요.
삶속에서 음식을 먹으며 이미 우리 안에 주어진 영성을 함께 탐색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점ㆍ하나를 찍으며 세상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변화시키는데 선한 영향력을 나누고자 하는 나, 너, 우리가 되고자 하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삶의 식탁에서 하루5분 잠시 멈추어 사색하며 영성을 회복하고, 푸놀치 예술을 통해 내면의 자각, 사랑, 치유, 사명으로 이끄는 최고지도자 교수진을 양성하는 과정입니다.
부제: "밥상 위의 심리학으로 삶의 철학, 예술적 치유성과 영성을 통합하여,
지구촌을 건강하고 평화로운 삶으로 이끄는 푸놀치 최고지도자 양성과정"
★ 과정 개요
* 기간: 12개월 (주 1회, 월 4~6회 수업), 개인별 맞춤 과정, 1년 후 자신에게 맞는 책 쓰기
* 대상: 전화통화후 입학 확정
1) 푸드표현상담 전문강사, 마스터강사, 지부장 이상 우선 접수, 국내, 국외에서 푸놀치 교수로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자
2) 각 기관, 학교 등 기업 리더를 육성하여 퍼실리테이터로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자
3) 인문사회, 복지 관련 선한 영향력을 나누는 일에 관심있는 자 등
* 구성: 감각-감정-관계-회복-영성 순환형 커리큘럼
* 목표: 개인 치유 → 가족 회복 → 공동체 확산 → 사회적 변화 유도
★ 문의 및 신청 : 김지유 Tel. 010-7479-8276, 김민용 010-7479-3082
* 구글폼에서 신청 : https://forms.gle/maQqY3nNF5bMHn5Y7
내안의 행복을 여는곳 행복일기
041-335-0977 / 0979
■ 세부 진행 내용 ■
뇌과학 요소 및 뇌가소성 실천루틴 (핵심주제를 뇌과학)
1(6월): 정체성과 삶의 방향 찾기(자신에게 맞는 생명정보 발화하기)
1주차 뇌과학 주제: 전전두엽과 자기인식 – 나를 바라보는 뇌의 거울
2주차: 자서전적 기억과 해마 – 삶의 곡선과 의미 기억
3주차: 자아 정체성과 시냅스 강화 – 내가 살아야 할 이유의 뉴런 연결
4주차: 감정과 색의 상징 – 감각 표현으로 뇌파 안정화
2(7월): 감각으로 DNA 생명정보를 깨우는 뇌(맞춤형 치료, 푸놀치)
1주차: 감각 입력과 시상 – 오감은 뇌를 깨우는 통로
2주차: 후각과 편도체 – 향기 자극으로 정서 안정 촉진
3주차: 감각-감정 연결 시냅스 – 감정표현이 뇌 연결을 살린다
4주차: 미각 자극과 긍정회로 – 음식 감각이 세로토닌을 자극함
3(8월): 자기돌봄과 관계회복
1주차: 전측 대상피질과 자기공감 – 자기돌봄은 회복의 시작
2주차: 감정공유와 거울뉴런 – 타인의 감정과 나의 뇌 연결성
3주차: 스트레스 호르몬과 코르티솔 조절 – 감정조절의 뇌 훈련
4주차: 애착과 옥시토신 – 공동체 감정은 회복탄력성을 높인다
4(9월): 창의성 확장과 문제해결력
1주차: 전두엽과 창의적 사고 – 자유로운 연결이 창의성을 부른다
2주차: 디폴트모드네트워크(DMN) – 쉼과 상상 속에서 떠오르는 해답
3주차: 시냅스 가지치기와 뉴런 성장 – 낡은 생각을 정리하는 뇌의 정원
4주차: 음식과 창의성 – 감각 조합으로 뇌 연결성 확장
5(10월): 감정 회복과 회복탄력성
1주차: 감정 레지스터와 편도체 – 감정 인식은 첫 회복의 열쇠
2주차: 자율신경계와 긴장 이완 – 푸놀치 표현으로 안정 신호 주기
3주차: 미러링 뉴런과 공감적 회복 – 타인의 감정도 회복의 자극이 된다
4주차: 반복과 루틴 – 감정 회복 회로를 강화하는 실천 루틴
6(11월): 공동체 리더십 훈련
1주차: 공감 회로와 전두엽 – 리더는 공감의 뇌를 훈련한다
2주차: 대화와 청각처리 영역 – 비폭력 대화는 감정소통의 신경 통로
3주차: 포용력과 자제력 – 감정 자제는 전전두엽 훈련 결과
4주차: 소속감과 사회적 유대 – 옥시토신과 공동체 감정 강화
7(12월): 사람중심 상담기술 습득(스스로를 치료하는 뇌)
1주차: 경청과 청각 피질 – 말보다 듣는 뇌가 상담의 핵심
2주차: 감정거울과 감정 공명 – 듣는 뇌와 표현하는 뇌의 협업
3주차: 공감중추와 상담 신뢰 – 뇌는 진심을 감지한다
4주차: 문제해결 회로 – 상담자는 해결을 돕는 뇌 자극자
8(2026. 1월): 트라우마 회복과 전환(외상후성장, 재성형)
1주차: 편도체와 트라우마 저장 – 상처받은 뇌가 느끼는 재자극
2주차: 감정 정화와 전두엽 통합 – 표현을 통해 상처는 변형된다
3주차: 내러티브와 좌뇌-우뇌 통합 – 이야기로 치유하는 두뇌 구조
4주차: 감정 안전지대 – 안전한 표현 공간이 뇌의 회복을 부른다
9(2026. 2월): 통합예술 실습(제3의학, 자연밥상)
1주차: 다중감각 통합 – 감각융합이 뇌 연결을 촉진
2주차: 예술과 시냅스 형성 – 창작은 뉴런의 잔치(신경가소성)
3주차: 움직임과 운동 피질 – 표현이 곧 뇌의 움직임
4주차: 통합 퍼포먼스 – 뇌 전체가 협력하는 공감극장
10(2026. 3월): 식탁위의 영성과 마음의 평화
1주차: 명상과 세로토닌 – 침묵과 고요가 뇌파를 안정(편안밥상)
2주차: 감사 표현과 도파민 – 감사는 뇌 보상 회로를 활성화(셀프치료, 腦)
3주차: 기도와 연결감 – 나보다 큰 존재와 연결될 때 뇌의 안정성 증가
4주차: 사랑의 표현과 뇌 – 따뜻한 표현은 뇌를 치유한다(평화밥상)
11(2026. 4월): 사회변화와 힐링리더십
1주차: 의미 있는 기여와 보람 – 도파민과 성취감의 뇌 회로
2주차: 사회 감정과 미러링 – 타인의 아픔에 감응하는 뇌 훈련
3주차: 사회적 책임감과 전두엽 활성화 – 책임은 뇌의 조직력을 높인다
4주차: 변화실천과 반복 루틴 – 신념은 시냅스를 강화하는 반복에서
12(2026. 5월): 삶을 예술로 완성하기(기억은 늘 현재)
1주차: 기억 통합과 감정 정리 – 연대기는 해마를 자극한다(Here & Now)
2주차: 사명 선언과 전두엽 목표화 – 목표는 뇌를 훈련하는 GPS
3주차: 나눔과 보상 시스템 – 타인 기여는 뇌 보상의 정점
4주차: 감사와 긍정적 회상 – 삶을 마무리하는 치유의 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