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한국의 새만금신공항 건설 계획이 전 지구적으로 중요한 수라갯벌을 위협하고 있다는 서한이 실렸습니다. 서한 전문 번역본과 원문을 올립니다. 함께 보아주시고, 많은 분들이 새만금신공항의 문제와 수라갯벌의 중요성에 공감할 수 있도록 널리널리 공유 부탁드립니다!!!🙏
"공항 계획이 한국의 갯벌을 위협한다!“
대한민국 만경강 유역의 수라갯벌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연안 매립 계획 중 하나로 부터 살아남았다. 신공항 계획이 지금 이 중요한 생태적 피난처를 위협하고 있다. 2025년부터 2029년까지로 계획된 이 공항 건설은 수라갯벌이 부양하는 생물다양성과 사회경제적 활동의 비가역적인 손실을 가져올 것이다.
수라갯벌이 위치해있는 매립 지역인 새만금은 과거에는 광활한 유역 생태계였다. 새만금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서 핵심 기착지로 기능했고, 매년 최소한 33만 개체의 도요물떼새를 부양했다. 그러나 간척, 매립 및 이와 관계된 각종 건설사업은 새만금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를 붕괴시켰다. 이처럼 심각한 환경 위기 중에도, 수라갯벌은 여전히 멸종 위기의 동식물, 특히 철새들을 부양해 왔는데, 이 중에는 59종의 국가 법정 보호종과 27종의 지구적으로 위기에 처한 종들이 포함된다.
신공항 계획은 사회경제적 이익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계획은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었기 때문에 예상 이익이 환경 위험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줄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군산공항은 신공항 예정지에서 1.3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고 이용객 부족으로 저사용되는 곳이라, 신공항의 필요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한다. 게다가,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수라갯벌의 보존 가치가 확인되었고, 조류서식지 근처의 다른 공항과 마찬가지로 수라갯벌에서의 조류충돌이 심각한 항공 안전 위험을 야기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한국 갯벌의 절반은 2021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는데, 이 개발계획은 한국 갯벌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를 국제 사회에 납득시키기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을 깎아내리게 될 것이다. 수라갯벌은 세계유산 구역에서 단 7km 떨어져 있다. 한국 정부는 또한 2022 UN 생물다양성 협약(COP15)에서 2030년까지 지구적 생물다양성 손실을 중단시키고 멸종위기종의 멸종을 막기 위한 긴급 행동을 취하기로 약속한 188개국 중 하나이다. 정당화될 수 없는 또 하나의 공항을 만들기 위해 수라갯벌을 희생시키는 것은 환경 보전을 약속한 한국의 결의를 의심하게 만든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철저하고 독립적인 타당성, 환경영향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공항 계획을 멈추어야만 한다. 유네스코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세계유산의 온전성에 대한 공항의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과학 전문가들은 대안들을 제시하여 보존을 촉진하고, 수라갯벌의 대체불가능한 사회경제적, 생태적 가치를 드러내야 한다. 생물다양성협약 등의 기구는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생태파괴적이고 위험한 개발 계획들을 멈출 국제법적 메커니즘을 개발해야 한다. 수라갯벌의 위중한 현 상황은, 종종 개발 우선주의에 밀려 손상되고 마는, 정부의 선의에 의지하는 주류적 보전 패러다임에 문제를 제기한다. 그리고 최근 수십년간 한국 및 전세계에서 소멸의 운명에 처해온 수많은 갯벌을 대변한다. (번역: 김나희_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 홍보국장)
"Airport plan imperils South Korea’s tidal flat“
Sura, a tidal flat in the Mangyeong estuary in South Korea, has survived one of the world’s largest coastal reclamation projects. Now, a proposed airport threatens this critical refuge. The airport’s construction, planned to take place between 2025 and 2029, would lead to an irreversible loss of the biodiversity and sociocultural activities that Sura supports.
The reclamation site in which Sura is located, Saemangeum, was once a vast estuarine ecosystem. Saemangeum served as a key stopover along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supporting at least 330,000 shorebirds annually. However, the construction related to the reclamation project disrupted its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mid this environmental upheaval, Sura still supports endangered flora and fauna, especially migratory birds, including 59 nationally protected species and 27 globally threatened species.
The airport proposal claims socioeconomic benefits, but the plan was exempted from the preliminary feasibility assessment, so no evidence is available to demonstrate that the anticipated benefits outweigh the environmental risks. Gunsan Airport is located about 1.3 km from the proposed site and is underused, putting the need for a new airport in question. Moreov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confirm the conservation value of Sura and indicate that bird strikes would pose substantial aviation safety risks, as they do at other airports near bird habitats.
This development would undercu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fforts to convin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ir tidal flats, half of which were designated a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2021. Sura is only 7 km away from the heritage site location. The country was also among the 188 nations at the 2022 UN Biodiversity Conference (COP15) that committed to halt global biodiversity loss by 2030 and to take urgent actions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endangered species. Sacrificing Sura to create another unjustifiable airport would put the country’s commitment to environmental goals in question.
To resolve this controvers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pause the airport project until a thorough and independent feasi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review has been conducted. UNESCO and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should assess the impact of the airport on the integrity of heritage properties. Scientific experts should provide alternatives that promote conservation and demonstrate the irreplaceable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value of Sura. Organizations such as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hould develop international legal mechanisms to stop ecologically destructive and risky projects of this kind. The dire situation in Sura challenges mainstream conservation paradigms that rely on government goodwill, which is often compromised by competing development priorities, and highlights the fate of countless tidal flats lost in South Korea and globally in recent deca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