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건강/광명의학 월례 건강세미나] 피내침요법의 원리와 응용
일시: 10월 18일 오후 3시부터 6시
장소: 광명헌 ㅡ 원주시 단강리 718(조구랭이길 27)
주제: 일상생활 속 통증 관리, 피내침요법의 이해와 활용
강사: 박선식 (광명건강 광명의학 대표)
1. 피내침요법(皮內鍼療法)이란?
피내침요법은 피부 내(皮內), 즉 피하에 아주 작고 짧은 침(피내침, Intradermal Needle)을 자입하고,
반창고 등으로 고정하여 장시간(수 시간~수 일) 동안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는 치료법입니다.
피내침의 특징: 길이 2~8mm 정도로 매우 작고 짧아 피부 표피층(피내)에만 살짝 들어가도록 시술됩니다.
시술의 장점:
지속적인 자극 : 일반 침 치료처럼 침을 뽑지 않고 피부에 부착하여 장시간 경혈이나 압통점을 자극합니다.
통증 및 생활의 편리성 : 통증이 적어 소아에게도 사용 가능하며, 일상생활(샤워, 운동 등)에 큰 무리가 없습니다.
2. 피내침요법의 주요 원리 및 효과
피내침요법은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 침술의 기본 원리를 응용하여, 질환 부위의 순환 개선과 통증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1) 주요 작용 원리
⊙지속적인 경혈 자극 : 피내침을 특정 경혈이나 통증 부위(아시혈)에 부착하여 장시간 미세한 자극을 줍니다.
이는 기혈(氣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경락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국소적인 염증 및 혈액 순환 개선 유도 :
침의 자입은 미세한 자극을 일으켜 통증 부위 주변에 염증 반응의 조기 해소를 돕고, 혈액 및 림프 순환을 촉진시킵니다.
☞이를 통해 통증 유발 물질이나 노폐물의 배출을 돕고 손상된 조직의 회복 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신경계 조절 (원격치료 원리 응용):
신경이 밀집된 피부층에 자극을 주어 통증 신호 전달을 억제하거나 조절함으로써 진통 효과를 나타냅니다.
일부 피내침 이론에서는 통증 부위가 아닌 원격 경혈에 시술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원격치료의 효과도 설명합니다.
(2) 기대 효과 및 주요 응용 분야(구분 : 기대 효과 , 응용 질환, 및 증상)
- 통증 관리 : 만성 및 급성 통증 완화, 근육 이완 근골격계 통증 (허리, 목, 어깨, 무릎 등), 만성 두통, 관절염
- 순환 개선 : 기혈 순환 촉진, 부종 감소, 조직 회복 가속 스포츠 손상, 염좌, 피로 회복, 손발 저림
- 내과적 응용 : 특정 경혈 자극을 통한 자율신경계 조절 소화불량, 스트레스성 질환, 수면 장애 등 보조 치료
- 소아과 응용 : 통증이 적고 부담이 적음 소아 경기, 소화기 계통 문제 등
3. 피내침요법의 실제 시술 및 주의사항
(1) 시술 과정의 이해
- 진단 및 혈자리 선정 : 환자의 증상과 압통점을 확인하여 피내침을 놓을 경혈 또는 아시혈(가장 아픈 곳)을 선정합니다.
- 피내침 자입 : 소독 후 멸균된 피내침을 피부 표피층에 평행하게 또는 사선으로 살짝 자입합니다.
- 고정 및 유침 : 의료용 반창고나 테이프를 사용하여 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이 상태로 보통 2~3일 정도 유지합니다.
- 제거: 시술자가 지정한 기간이 지나면 스스로 제거하거나 다음 내원 시 제거합니다.
(2) 시술 및 관리 시 주의사항
- 청결 유지 : 침을 부착한 부위는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샤워는 가능하지만, 때를 밀거나 장시간 물에 불리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이상 반응 시 대처 : 드물게 부착 부위의 가려움, 발적(붉어짐), 통증 심화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즉시 침을 제거하고 의료진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 금기증 확인 : 특정 피부 질환, 출혈 경향이 심한 환자, 심각한 감염 상태 등에는 시술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4. 세미나 참가자 실기사항
(1) 오장육부 경락학적 전신진단과 방광경 유혈치료법
(2) 발끝 정혈진단과 유혈모혈 피내침법
(3) 피내침 기본방 : 복부 호산 1호, 독맥의 요혈별 통치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