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진행 |
․시청각 자료(비디오, ppt, 인쇄물 등)를 활용한 강의식. ․수강생(개인 또는 그룹)이 직접 발표하는 발표식으로도 진행시킬 수 있음. |
성적처리 |
․학교당국이 제시하는 평가방법에 의거해서 중간고사 25/100, 기말고사 25/100, 과제 30/100, 출석 20/100 의 합산으로 산출. ․수업시간에 좋은 질문 등으로 기여한 수강생에게 별도의 가산점 부여함. ․시험 시, 부정행위 적발되면 해당점수 0점 처리함. |
성적산출 및 평가 |
․시험평가는 수업내용의 숙지 및 창의적인 해석 여부. ․과제평가는 주제의 선정 및 과제수행의 성실도 여부. ․출석평가는 결석 1회 2점 감점, 지각 1회 1점 감점 및 지각 2회는 결석 1회로 간주, 결석점수 감점 9점을 초과하면 성적은 F로 처리. |
과제 및 발표문 |
․중간과제 : 수업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심화학습 후 제출. 기일엄수! 기말과제 : 전시회 관람 후 감상문 제출. 기일엄수! ․단, 발표를 할 경우 과제는 면제. ․과제는 직접 손으로 쓴 것만 인정(만년필 사용) ․과제 맨 앞에 ‘과제수행의 변’을 기술하며, 맨 마지막에 참고문헌을 기입. ․참고한 서적, 인터넷 사이트는 맨 뒷장에 상세히 기입. ․발표문은 발표양식에 따라 작성해야 함. |
결석을 출석으로 인정받으려면 |
․증빙서류와 함께 교무처에서 발행하는 ‘공결증’을 통해서만 해결함을 원칙으로 함! ․공결증을 받고, 결석한 수업내용을 A4용지 1장에 정리, 제출. ․단, 모든 결석이 출석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니 유의바람! |
정정기간의 수강신청자 처리 |
․원칙적으로 불허함! ․정정기간 이전 수업에 대해 결석 처리함! ․단, 결석한 수업내용을 A4용지 1장에 정리, 제출하면 출석으로 인정. |
수업카페 |
․cafe.daum.net/karts, 카페이름: /fine-arts ․수업의 공지사항, 유인물 배포 등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해 회원으로 등록하기 바람! |
■ 수업의 주제 및 내용
주 날짜 |
주 제 |
수 업 내 용 |
교재 쪽 |
참고자료 쪽 |
1 |
미술이란 무엇인가? ① |
․교과목 소개 및 수강생 유의사항 전달 ․미술의 용어 및 개념 ․예술의 분류 속 미술의 위치 |
1강 |
담당교수 유인물 ①pp.9-23 ②pp.6-7 |
2 |
미술이란 무엇인가? ② |
․미술, 그 시각성의 우위 - 시는 눈먼 회화요, 회화는 눈 뜬 시! |
2강 |
④pp.77-90 ⑤pp.11-35 ⑥pp.48-63 ⑦pp.128-153 |
3 |
미술이란 무엇인가? ③ |
․양식으로 살펴 본 미술의 역사 - 양식의 개념 및 미술의 양식적 전개
|
3강 4강 |
②pp.9-11 ③pp.9-34 |
4 |
미술 속 미술탐방 ① |
․미술 속 미술주제의 역사적 전개 ① - 정물화, 풍경화의 미술적 의의
|
5강 |
⑧pp.143-160 ⑨pp.38-46 ⑩pp.104-149 |
5 |
미술 속 미술탐방 ② |
․미술 속 미술주제의 역사적 전개 ② - 예술과 외설의 경계, 누드의 미술적 의의
|
6강 |
⑪pp.9-38 ⑫pp.239-260 |
6 |
미술 속 미술탐방 ③ |
․미술 속 미술주제의 역사적 전개 ③ - 화가들의 자기고백, 자화상의 미술사적 접근
|
7강 |
⑬pp.11-18 ⑭pp.166-167 |
7 |
현대미술의 이해 ① |
․현대, 현대미술의 개념 및 범위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대미술의 역사적 전개 ① - 모더니즘 미술의 지형도 그리기 |
8강 4강 |
⑮pp.21-46 pp.7-14 pp.7-39 pp.27-50 |
8 |
|
중 간 고 사 |
|
과제마감 기일엄수 |
9 |
현대미술의 이해 ② |
․현대미술의 역사적 전개 ② -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지형도 살피기
|
9강 10강 |
pp.3-25 pp.213-230 ㉲pp.6-7 |
10 |
현대미술의 이해 ③ |
․현대미술의 현대성 ① - 대중문화의 대중적 반영, 팝아트의 현대적 의의
|
11강 |
㉮pp.13-21 ㉯pp.22-44 |
11 |
현대미술의 이해 ④ |
․현대미술의 현대성 ② - 미술 속 여성이미지, 페미니즘미술의 현대적 의의
|
12강 |
㉰pp.120-121 ㉱pp.11-26 |
12 |
한국미술 탐방 ① |
․한국미술의 역사적 접근과 양식적 이해 - 한국인의 조형의지와 미의식 |
|
담당교수 유인물 ㉳pp.14-41 ㉴pp.101-152 |
13 |
한국미술 탐방 ② |
․한국전통미술에 나타난 이중의 미 - 청자의 아취와 분청사기의 소박미
|
13강 |
㉵pp.267-288 |
14 |
한국미술 탐방 ③ |
․한국전통미술에 나타난 근대적 정신 - 서민들과 함께 한 그림, 풍속화와 민화
|
14강 |
㉶pp.10-70 ㉷pp.11-41 |
15 |
북한미술 탐방 |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양식의 특성 ․이데올로기 미술로서 조선화
|
15강 |
㉸pp.35-73 ㉹pp.76-174 |
16 |
종합토의 및 시험 |
․미술, 아는 기쁨 보이는 즐거움! 학 기 말 고 사 |
|
과제마감 기일엄수 |
■ 교 재 : 이승건, 『미술특강』, 미술문화, 2010
■ 참고문헌 :
①김춘일․박남희 편역,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6
②Parramón, 김광우 역, 『미술양식의 역사』, 미술문화, 1999
③A.Hauser, 백낙청 외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고대․중세), 창작과비평사, 1976
④A. Blunt, 조향순 역,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론, 미진사, 1990
⑤N. Pevsner, 편집부 역, 미술아카데미의 역사, 다민, 1992
⑥이승건, 「‘ut pictura poesis' 속 회화의 토포스(topos)-시각 이미지에 대한 미학적 단상(斷想)」, 경희대학교 현대미술연구소 편, 『현대미술연구』제8호, 2005
⑦지순임, 「시와 회화-송대를 중심으로」, 지순임 외, 『고전미학연구』, 민음사, 1992
⑧칸바야시 츠네미츠, 김승희 역, 예술학 핸드북, 지성의 샘, 1993
⑨엘케 폰 라치스프스키, 노성두 역, 원근법아, 너 참 사랑스럽구나, 금호문화, 1998
⑩W. 로울랜드, 최민 역, 동서미술론, 열화당, 1992
⑪K. 클라크, 이재호 역, 누드의 미술사, 열화당, 1995
⑫조지 레빈스키, 누드 사진의 역사, 하서, 1990
⑬조선미, 화가와 자화상, 예경, 1995
⑭가나아트 편집부, 알고 나면 미술박사, 가나아트, 1996
⑮M. 칼리니스쿠, 이영철 외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 1993
노버트 린튼, 윤난지 역, 20세기의 미술, 예경, 1993
진휘연,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브랜든 테일러, 김수기 외 역,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리얼리즘, 시각과 언어, 1993
R. 야피냐네시, 이소영 역, 포스트모더니즘, 이두, 1995
송미숙,「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 김욱동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청하, 1991
㉮존 A. 워커, 정진국 역, 『대중매체시대의 예술』, 열화당, 1994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1995
㉰A. 왓킨스, 이소영 역, 『페미니즘』, 이두, 1997
․캐롤린 코스마이어, 신혜경 역, 『페미니즘 미학 입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9
㉱N. 브루드 & M.D. 개러드, 호승희 역, 『미술과 페미니즘』, 동문선, 1994
㉲크리스티나 하베를리크, 안인희 역, 『20세기 건축』, 해냄, 2002
․정무환 역, 『한권으로 읽는 20세기 디자인』, 시공아트, 2009
․김민수, 『모던디자인 비평: 포스트모던, 해체의 이해』, 안그라픽스, 1994
㉳안휘준, 『한국의 미술과 문화』, 시공사, 2000
㉴조요한, 『한국미의 조명』, 열화당, 1999
㉵김원룡 감수,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이태호, 『풍속화』(하나), 대원사, 1995
㉷김철순, 『한국민화논고』, 예경, 1991
㉸존 버거, 김채현 역, 『사회주의 리얼리즘』, 열화당, 1996
㉹이일․서성록 공저, 『북한의 미술』, 고려원, 1990
․헤럴드 오스본 편, 한국미술연구소 역, 『옥스포드 미술사전』, 시공사, 2002
․캐롤 스트릭랜드, 김호경 역, 『클릭, 서양미술사』, 예경, 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