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부터 발간해 온 『산림문화전집』을 이제 총 25권으로 완간합니다. 민족문화 각 장르에 깃든 숲의 흔적을 발굴하여 정리한 이 기록물을 완성하기까지 연인원 185명이 참여하였으며 총 8,800여 쪽을 편집하였고 총 22,500권을 발간하였습니다.
매년 발간한 전집은 산림청과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의 소속 기관, 언론사, 도서관, 학회, 대학교, 농림고, 산림 현장 활동가 및 일반 국민에게 배포하여 우리 숲의 의미와 가치, 중요성을 홍보하였습니다.
우리 숲의 문화를 기록문화유산으로 완간함으로써 후손들에게 전승할 수 있게 되었기에 더욱 기쁩니다. 장기간에 걸쳐 지원해 주신 산림청과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 큰 감사를 드립니다. 전집 발간은 개청 이래 민간 지원 최대 사업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심포지엄에 여러분을 초청하오니 축하와 기쁨을 함께 나누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10월 중추
(사)숲과문화연구회 회장 임주훈 올림
프로그램
❍ 주제: 민족문화 속 우리 숲의 가치와 의미, 전승 방안
❍ 목적: 『 산림문화전집』의 의미·가치 · 중요성 홍보와 활용 방안 모색 (동대문구 회기로 57)
❍ 제공: 기념품, 전집
❍ 일정: 2025년 11월 20일(목요일), 12:00~19:00
❍ 장소: 국립산림과학원 국제회의실 (23~25권), 만찬(사전 예약, 국립산림과학원 식당)
❍ 프로그램
순서 | 시간 | 내용/제목 | 담당자 |
등록 | 12:00~13:10 | 등록 | 연구회(사회 이천용 박사) |
국민의례 | 13:10~13:40 | 개회사, 축사, 환영사 등 | 연구회(회장, 청장, 과학원장) |
경과보고 | 13:40~13:50 | 『산림문화전집』 발간과정 보고 | 연구회(박봉우 교수) |
전집공개 | 13:50~14:00 | 완간 전집 세트 오픈 세레모니 | 산림청장, 연구회장, 필진 대표, 출판사 대표, 회원대표 등 |
주제발표 | 14:00~14:30 | 숲, 산·강·해 순환시스템의 영양원 | 전경수(서울대 인류학과) |
14:30~15:00 | 숲과 함께 한 공동체와 민속의 세계 | 임재해(전 안동대 인문문화학부) |
15:00~15:30 | 남한산성에서 찾은 두 개의 발견 | 김경애(財 숲과 나눔) |
15:30~16:00 | 산림문화정책 현황과 미래 | 송준호(산림청 산림복지국장) |
휴식 | 16:00~16:30 | 다과·떡·담소 나눔 브레이크 | 다함께 |
종합토론 | 16:30~17:10 | 『산림문화전집』의 평가: 의미, 가치와 역할, 활용 방안 | 김기원(좌장), 김양진(한겨레), 김수일(국립산림과학원 부장), 황성태(한국산림복지진흥원 부원장) |
마무리 | 17:10~17:20 | 마무리 및 안내(기념품 배포) | 연구회장, 회원 |
기념만찬 | 17:30~19:00 | 산림과학원 식당(행사장 내) | 참가자(사전 예약 필수) |
❍ 주관: 숲과문화연구회·국립산림과학원, 후원: 산림청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문의/접수: 숲과문화연구회 사무실: 02-745-4811(청량리 미주상가 A-421호)
※ 참가하실 분은 반드시 신청하시고 만찬을 사전 예약하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