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봉학 지음 | 영혼의숲 | 2020년 1월 6일 출간
● 260쪽
시인의 말
제1장 시낭송의 이론과 이해
시낭송을 공부하기 전에 12
1. 시낭송의 역사 12
2. 시낭송이란 13
3. 시낭송가의 명칭은 언제부터 생겼는가? 13
4. 시낭송은 왜 암송을 하는가? 14
5. 시낭송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 14
6. 좋은 시낭송이란 어떤 것인가 15
7. 낭송시를 고르는 방법 17
8. 시낭송에서의 발음 18
9. 문장 띄어 읽기 19
10. 시낭송의 리듬 20
11. 시낭송의 속도 21
12. 시낭송과 자세 22
13. 시낭송과 목소리 23
14. 시낭송과 동작 23
15. 시의 ‘행과 연’ 처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24
16. 연음과 여음과 토음의 효과적인 이용 방법 26 더보기
![]() | |||||||
| |||||||
![]() |
황봉학(지은이)의 말
시인이 알려주는 실전 시낭송 솔루션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보다도 시인이 많은 나라이며 시집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나라이고 시인의 등단제도가 있는 나라이며 시낭송가라는 명칭이 사용 되고 있는 나라이다.
어쩌면 이러한 제도 자체가 시의 발전과 시낭송의 발전을 가져 올 것 같아 보이지만 실상은 시는 시인만이 쓰는 것이며 시낭송은 시낭송가 만이 하는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시는 시를 사랑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쓰고 발표할 수 있어야 하며 시낭송 또한 누구나 암송하고 즐길 수 있는 노래 같은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교재는 필자가 시낭송 교육 현장에서 체험한 내용을 토대로 집필한 실기 위주의 교재가 될 것이며, 시낭송을 함에 있어 낭송자와 낭송지도자와 낭송대회의 심사위원 모두에게 시낭송의 기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누가 시낭송을 함부로 하는가?
누가 시낭송을 함부로 가르치는가?
누가 시낭송 심사를 함부로 하는가?
누가 시낭송 심사위원을 함부로 위촉하는가?
위의 질문은 필자가 시낭송 교육을 하면서 또 시낭송대회 심사를 하면서 항상 가졌던 의문 상황이다.
시를 낭송할 때 시를 이해하려는 노력도 없이 선배 혹은 지도교수의 지침대로 앵무새처럼 따라 하기 낭송이 대부분이었고, 대회의 심사위원은 문학단체의 장이거나 시인이 대부분이고 시낭송을 전문적으로 연구 하거나 교육을 받은 심사위원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았다.
발음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행과 연’을 지키지 않아 시인의 의도와 다른 뜻으로 시가 낭송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 교재는 그에 대한 답을 주기 위하여 시낭송대회에서 가장 많이 낭송되는 시 중에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시들을 골라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엮었다.
기존 발행된 시낭송 교재가 시낭송대회를 소개하거나 시란 무엇인가? 시낭송이란 무엇인가? 등으로 인터넷을 검색하면 다 나오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면 이 교재는 시 한 편 한 편을 분석하면서 실제 시낭송에서 부딪히는 발음이나 행과 연을 구분하는 방법과 띄어 읽기와 쉬어 가기 등에 대한 방법을 알려 줄 것이다.
그리고 필자가 시낭송 지도자들이 만든 교재를 보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부분은 원본을 무시한 시의 선택이었다. 시낭송 교재를 만들면서 인터넷에서 옮겨온 행과 연이 안 맞고 오탈자와 낱말의 오류가 있는 시를 그대로 교재에 실은 것이었다.
이 교재에 실린 원문은 철저하게 검증을 하여 낭송의 실제에 쓸 수 있도록 선별하여 선택을 하였다.
한 편 한 편을 연습하면서 따라 가다보면 자연적으로 시낭송을 이해하고 낭송에 자신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모쪼록 본 교재가 시낭송에 대한 의문점을 풀어주고 시낭송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 교재를 출판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고 도와주신 ‘도서출판 영혼의 숲’ 시인 허광빈 대표님과 시의 원본 확보와 교정을 함께 도와준 엄정옥 시인과 김동희 낭송가와 이숙희 사무국장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교보문고 : 시낭송 교본 : 시인이 만든 시낭송 솔루션
첫댓글 황봉학시인님의 시낭송교본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알라딘에서 한 권 구매신청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