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대한민국 한 바퀴 1-1 / 경기~인천(2025. 01.)
대한민국(大韓民國)은 '한국(韓國)' 또는 '남한(South Korea)'으로 줄여 부른다.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와 3,2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은 1953년 휴전협정 이후 만들어진 휴전선과 비무장지대를 경계로 북한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은 동해와 남해를 넘어 일본에 면하며, 서쪽에는 서해를 넘어 중국에 면한다. 중국, 일본 등과 함께 동아시아에 속하는 국가다. 행정구역은 1개 특별시(서울특별시), 1개의 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6개 광역시(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3개의 특별자치도(강원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5개의 특례시(수원, 용인, 고양, 창원, 화성), 6개 도로 이루어져 있다.
1999년 4월에 퇴근길의 우연한 대화는 제주오름 산행에 초점이 맞춰졌고, 4년이 지난 2003년 6월에 드디어 제주오름 368을 완답(등)했다. 이어 제주섬 곳곳을 찾아나선 '걸어서 제주 속으로(1. 해안길 따라서 2. 한라산을 넘어서 3. 중산간도로를 따라서 4. 평화로와 번영로를 따라서 5. 지방도로를 따라서 6. 일주도로를 따라서 7. 제주섬 종주 8. 들길 따라서 9. 마을길(고샅길) 따라서)'는 오름 산행과는 다른 멋과 흥미를 유발하는 촉매가 되기도 했다.
제주섬에서 한반도로의 시선 바뀜, 2004년 8월에 육지부 첫 산행이었던 무등산은 한라산과는 그 분위기가 사뭇 달랐기에 당시 국립공원의 산들은 꼭 올라야겠다는 다짐에서 산림청 선정 '대한민국 100대 명산'으로 그 목표가 수정되어 10년이란 세월이 지난 2013년 11월에 드디어 황석산에서 그 대미를 장식할 수 있었다. 당시 '산행기'에서는 산의 이미지를 '여유, 건강, 치유, 배려'라 피력하기도 했다.
- 무등산 : 오름! 오르미! | 002) 무등산 - 보길도에서 무등산까지 - Daum 카페
- 황석산 : 오름! 오르미! | 100) 황석산 - 대한민국 100대 명산 그 100번째 - Daum 카페
명산을 찾아가다보니 자연스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성한 명품길들을 접할 수 있었다. 100대 명산 산행에 이은 지자체별 '명품길' 걷기는 2011년 1월에 부산 남구에 조성한 '이기대길(광안리해수욕장~오륙도공원)'이 처음이었다. 이후 기회가 닿을 때마다 거닐었던 팔도강산의 길들에 대한 감회는 지역별로 '대한민국 명품길 걷기'에 담아놓고 있다.
- 이기대길 : 오름! 오르미! | 01) 이기대길(광안리해수욕장~오륙도공원) / 부산 남구 - Daum 카페
이 와중에 '코리아둘레길' 전 구간 완성 뉴스가 전해왔다. 팔도강산 해안 쪽에서 가끔 만났던 그 길들, 4,500km를 거닒은 여건과 상황이 사실상 불가라서 '코리아둘레길' 걷기 대신에 그 길을 기준삼아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주요 지점별 관광과 걷기를 병행함도 의미있을 것 같다는 판단에 이를 '대한민국 한 바퀴'라 명명했다. 그 길 그곳에서는 이전에 거닐었던 여럿 상황들을 소환하면서 '추억의 장'을 엮어보려고 한다.
* 마침내 완성된 코리아둘레길, DMZ 평화의 길을 따라가다 : 대한민국 대표 걷기 여행길 ‘코리아둘레길’의 4,500km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코리아둘레길’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행정안전부, 통일부, 국방부, 농림축산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부처 간 통합 프로젝트이다. ‘대한민국을 재발견하며 함께 걷는 길’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여러 부처가 한반도 외곽을 하나로 연결하는 약 4,500km의 초장거리 걷기 여행길 ‘코리아둘레길’을 조성했다.
2009년부터 시작된 ‘코리아둘레길’은 2016년 동해의 해파랑길, 2020년 남해의 남파랑길, 2022년 서해의 서해랑길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마침내 2024년 9월 23일, 마지막 구간인 DMZ 평화의 길 개통으로 ‘코리아둘레길’이 완성됐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24. 10. 15.)
◇ 제1탄 : DMZ 평화의 길 4코스~1코스 / 서해랑길 103코스~서해랑길 80코스
* 제1일 : 2025. 01. 19. (일)
출발지인 공덕역에는 오름오르미들의 명예오르미 3명(뜨레비, 문주란, 삿갓)과 오르미 2명(다랑쉬, 지미)이 도착해 문주란님의 차량을 이용해 DMZ 평화의 길 4코스 중간 지점인 일산대교로 출발했다. DMZ 평화의 길 탐방은 4코스~1코스를 예정했다.
* DMZ 평화의 길 : 한반도의 마지막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DMZ 일대를 따라 구축한 총 35개 코스, 510km의 걷기여행길이다. DMZ 초입인 민간인통제선 인근에 자리한 최전방 마을, 전적지, 평야와 강, 산악 지형을 지나며 한반도 중부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고, 평화와 통일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길인데 자유롭게 방문 가능한 횡단 노선과 투어 예약 후 방문 가능한 테마노선으로 나누고 있다.
- '두루누비'에서
* DMZ 평화의 길 4코스 : 전류리포구에서 고양종합운동장까지 15.2km 이다. 이곳에서는 '하동천 생태탐방로, 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 등 김포의 생태관광지를 만날 수 있다. 한강 하구를 조망할 수 있는 일산대교를 지나 고양시로 들어서는 구간이다. 일산대교 건너가기는 훗날로 미뤘고, 한강 하구를 따라 4코스 출발지 전류리포구에 도착했다.
- 전류리(2017. 01.) : 오름! 오르미! | 서울 간 김에~ - Daum 카페
* DMZ 평화의 길 3코스 : 전류리포구에서 김포평야를 지나 애기봉 입구까지 16.7km이다. 김포평야의 탁 트인 농로와 한강의 철책 사잇길을 걷는 길로서 겨울철에는 재두루미 등 철새 관찰 가능하다. 이 구간은 2016년 11월에 김포에 거주하는 손자(녀)들과 함께 거닐었던 구간이라서 걷기는 생략, 하성면을 가로질러 애기봉생태공원에 도착해 생태공원 탐방으로 대신했다.
- 평화누리길 3코스(2016. 11.) : 오름! 오르미! | 034) 평화누리길 3코스를 걷다 / 경기 김포 - Daum 카페
* 애기봉(愛妓峰) :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와 월곶면 조강리의 경계에 있는 높이 154m의 야산으로 쑥갓처럼 생겼다하여 ‘쑥갓머리산’으로 불리던 곳이다. 쑥갓머리산이 ‘애기봉(愛妓峰)’으로 불리게 된 것은 평안감사와 애기의 애틋한 설화에서 시작되었다. 병자호란 때 기녀인 ‘애기’가 사모하던 평안감사와 함께 피난길에 올랐다. 그러나 감사는 청나라 오랑캐에 붙잡혀 북으로 끌려가고 애기는 홀로 조강을 건넜다. 이후 애기는 날마다 쑥갓머리산 꼭대기에 올라 북녘을 바라보며 평안감사를 그리워하다 ‘님이 제일 잘 보이는 봉우리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긴 채 슬픔 속에 생을 마감한다.
1966년 애기봉을 방문한 故 박정희 대통령은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던 애기의 한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실향민의 한과 같다고 하여 ‘애기봉’이라는 친필 휘호를 내렸다. 154고지인 애기봉은 한국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군사요충지이기도 하여, 공원 안에는 당시 해병대 용사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해병대 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1978년에 설치되어 노후화된 기존의 애기봉 전망대를 철거하고, 평화생태전시관, 조강전망대, 생태탐방로를 조성하며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으로 새롭게 단장했다.
- 애기봉평화생태공원 : 애기봉평화생태공원
- 애기봉(2010. 08.) : 오름! 오르미! | 014) 애기봉 외 - 가족들과 함께 - Daum 카페
- 애기봉(2014. 01.) : 오름! 오르미! | 2013년 정기총회 외 - Daum 카페
- 애기봉(2021. 11.) : 오름! 오르미! | 안보 09) 다시 찾아간 애기봉(평화생태공원) / 경기 김포(2021. 11.) - Daum 카페
애기봉평화생태공원 탐방을 마치고 2코스 구간은 예전의 문수산 산행으로 대신했고, 문수산 입구에서 강화대교를 건너 점심은 강화풍물시장에서 해결했다. 1코스 종착지(출발지)인 강화평화전망대까지의 이동은 1코스와는 일부 구간이 다소 다를 수밖에 없었다.
* DMZ 평화의 길 2코스 : 애기봉 입구를 출발하여 문수산성 남문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7.8km이다. 한강 너머 북한을 조망할 수 있는 길로 문수산을 오르는 등산로를 비롯해 숲을 지나게 된다.
- 문수산 산행(2018. 02.) : 오름! 오르미! | 031) 문수산 - 김포에서 가장 높은 산 / 경기 김포 - Daum 카페
* DMZ 평화의 길 1코스 : 김포 문수산성 남문에서 연미정을 지나 강화평화전망대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15.9km이다. 강화도의 북동쪽 해안선을 따라 걸으며 휴전선에 해당하는 한강하구 중립수역과 북한을 조망할 수 있다.
- 강화평화전망대(2012. 07.) : 오름! 오르미! | 023) 제적봉 외 - 6.25 전쟁 휴전 59돌을 맞아 - Daum 카페
- 강화평화전망대(2016. 05.) : 오름! 오르미! | 안보 03) 강화평화전망대에서 / 인천 강화 - Daum 카페
겨울답지 않은 포근함은 최상이었지만 안개가 시계에 제한이라 애기봉(평화생태공원)과 제적봉(강화평화전망대)에서 북녘땅을 또렷하게 볼 수 없음이 못내 아쉬웠다. 그렇지만 낯익은 장소인데다 오랜 세월동안 고락(苦樂)을 함께 한 동료들과의 여정이기에 추억 소환에는 제격이었다. DMZ 평화의 길 4~1코스 탐방을 마감하고, 서해랑길을 103코스를 이어갔다.
(2025. 01. 19.)
첫댓글 이번 대한민국 한 바퀴 여행길 시작에 함께 하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지미님, 명예오르미님들과 함께한 1박2일은 앞으로의 삶에 좋은 에너지가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