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대한민국 한 바퀴 1-3 /인천~경기(2025. 01.)
서해랑길은 소래포구변 해오름호수공원(소래해오름전망대)에서 소래포구를 건너가면서 인천 구간을 마감하고 시흥시 구간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서해랑길 93코스가 된다. 소래포구에서 1박한 후 제2일째 여정을 이어갔다.
* 제2일 : 2025. 01. 20. (월)
* 서해랑길 93코스 : 조선 시대의 군사 요충지였던 지역으로 현재는 항구와 횟집, 관광지구가 조성되었다. 수인선 협궤열차가 다니던 철교는 인도교인 '소래철교'로 변했고, 대규모 염전을 활용해 갯벌과 염생식물 등을 복원하고 생태교육관 등을 조성한 '소래습지생태공원' 등을 만날 수 있다.
- 늠내길 2코스에 이어 월곶과 오이도까지(2018. 09.) : 오름! 오르미! | 073) 늠내길 2코스에 이어 월곶과 오이도까지 / 경기 시흥(2018. 09.) - Daum 카페
- 꿈이 이뤄지는 곳(2022. 11.) : 오름! 오르미! | 139-2) 꿈이 이뤄지는 곳 / 경기 시흥(2022. 11.) - Daum 카페
소래포구에서 출발해 제1목표지는 서해 바다를 볼 수 있는 전망대를 비롯해 조력문화관, 조각공원 등이 조성된 '시화나래조력공원'이었다. 그런데 안개와 미세먼지(?)로 인해 시계가 나빠 통과하고 방아머리 인근에서 아침을 해결한 후 구봉도에 도착했다.
- 방아머리 : 구봉염전 쪽에 있는 서의산으로부터 바다로 길게 뻗어 나간 끝 지점으로 디딜방아의 방아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71년 제작된 대부도 지도에는 한문으로 방아 찧을 ‘용(舂)’자를 써서 용두포(舂頭浦)로 표기되어 있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 서해랑길 92코스 : 안산의 대표적인 드라이브 코스 시화(시흥~화성)방조제를 걷는 길로 방조제 끝 위치한 오이도에서 풍부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코스로 16.0km이다. 퇴역 경비함을 활용해 만든 곳으로 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한 '오이도함상전망대'와 오이도의 랜드마크 '오이도빨강등대', '시화나래조력공원'에서 25층 높이의 '달전망대'를 만날 수 있다.
- 영흥도(2017. 08.) : 오름! 오르미! | 034) 영흥도 - 섬인지 육지인지 / 인천 옹진 - Daum 카페
- 다시 찾은 영흥도(2017. 09.) : 오름! 오르미! | 034-1) 영흥도 - 다시 찾은 영흥도 / 인천 옹진 - Daum 카페
* 서해랑길 91코스 : 대부해솔길에 포함되는 코스로 바다 전망과 어우러진 낙조가 일품이 코스로 15.2km이다. 섬마을 곳곳에서 다양한 체험과, 푸짐한 조개구이와 너른 갯벌을 즐길 수 있고, 특히 바다 전망과 원형 조형물 사이로 떨어지는 낙조가 절경인 '구봉도낙조전망대'가 일품이다.
- 대부해솔길 1코스(2018. 11.) : 오름! 오르미! | 086) 대부해솔길 1코스 / 경기 안산(2018. 11.) - Daum 카페
서해랑 91코스 일부 구간(종현어촌체험마을 입구~낙조전망대 왕복, 약 4.2km)을 거닌 후 다음 행선지는 '탄도항~전곡항'을 거쳐 제부도였다. 그런데 예상 시각보다 늦어지면서 모두 통과해 '평택시흥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를 넘나들어 왜목마을에 안착했다.
* 서해랑길 90코스 : 청정갯벌과 바다 위 바위섬으로 모습을 감추는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코스로 16.0km이다.
* 서해랑길 89코스 : 서해 어민들의 삶과 갯벌 체험이 가능한 관광지 전곡항 일대를 지나는 코스로 18.6km이다. 누에섬을 오가는 입구이자 노을 명소로 유명한 '탄도항'과 요트 마리나와 수산시장이 있는 '전곡항(마리나)' 등을 만날 수 있다.
* 서해랑길 88코스 : 하루 두 번 열리는 제부도로 향하는 바닷길을 마주할 수 있는 코스로 17.6km이다. 서해 바다와 갯벌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다.
* 서해랑길 87코스 : 미공군 폭격장으로 사용된 흔적을 통해 역사적 아픔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코스로 18.1km이다. 궁평낙조로 불릴 만큼 노을이 아름다운 항구 '궁평항'과 평화역사관이 있는 '매항리마을'과 등이 있다.
- 제부도(2018. 12.) : 오름! 오르미! | 088) 화성 실크로드 제비꼬리길 / 경기 화성(2018. 12.) - Daum 카페
- 다시 찾은 제부도(2022. 08.) : 오름! 오르미! | 040-1) 다시 찾아간 제부도 / 경기 화성(2022. 08.) - Daum 카페
* 서해랑길 86코스 : 화성과 평택의 경계를 짓는 남양호로 향하는 코스로 14.1km이다. 산업단지와 농촌마을, 방조제 주변을 걷는다.
- 평택항 / 덕숭산 산행 (2011. 11.) : 오름! 오르미! | 067) 덕숭산 - 불법이 온 천하에 두루 펼치니 - Daum 카페
* 서해랑길 85코스 : 평택호의 맑은 물에 깃든 역사와 문화를 만날 수 있는 코스로 22.7km이다. 전통예술의 육성을 목적으로 개관한 '한국소리터'와 다양한 조형물과 포토존으로 조성된 호반공원 '평택호예술공원' 등을 만난다.
* 서해랑길 84코스 : 근대 산업의 발전으로 생성된 아산만방조제와 간척지 위에 생성된 조요한 농촌 풍경을 마주할 수 있는 코스로 17.7km이다.
* 서해랑길 83코스 : 서해바다 첫머리에 자리 잡은 삽교호 일대를 걷는 길로서 함상공원, 해양테마과학관 등 볼거리와 놀거리가 풍부한 코스로 14.9km이다.
- 행담도 휴게소(2022. 08.) : 오름! 오르미! | 201) 안면도 여기저기 / 충남 태안(2022. 08.) - Daum 카페
- 삽교호 함상공원 : 대양을 호령하던 우리의 자랑스런 군함이 명예로운 퇴역과 함께 삽교호 함상공원에 해군과 해병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이색적인 공간이 조성되었다. 해군·해병의 주제별 전시관, 함정 내·외부, 항공기 등이 전시되어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바다에 대한 동경과 해군·해병의 친밀감을 느끼게 하고 있으며, 3D 영상관, 게임센터, 카니발프라자, 실내 위락시설 등은 잠시나마 모든 것을 잊고 재미있는 동심의 세계로 빠져들어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삽교호 함상공원만의 색다른 휴식공간인 함상카페는 삶에 즐거움과 풍요로움을 주고 있다.
-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 서해랑길 82코스 : 바다를 메운 땅 위에 오순도순 모여있는 마을과 마을을 잇는 코스로 14.3km이다.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웅장함을 자랑을 자랑하는 서해대교로 이어진다.
* 서해랑길 81코스 : 간척지를 개발하여 농경지를 늘려 식량 증산을 이루고자 추진된 개발사업의 현장을 마주할 수 있는 코스로 21.2km이다. 석문방조제가 축조되면서 생겨난 거대한 담수호 '석문호'와 뱅어포로 잘 알려진 당진의 명물 실치회가 유명한 '장고항' 등을 만난다.
왜목마을에 들러 잠깐 휴식을 취하면서 '새빛왜목' 포토존에서 촬영의 시간도 가졌다. 왜목마을을 나와 대호방조제~도비도항을 거쳐 삼길포항(서해랑길 83코스)에서 점심(선상에서 우럭을 구입하고 식당으로 이동해 회와 매운탕)을 해결한 후 상경길에 올라 삽교호 함상공원(서해랑길 83코스)에서 대한민국 한 바퀴 제1탄의 여정을 마감했다.
* 서해랑길 80코스 : 바다가 시작되는 길목에서 만나는 싱싱한 바다의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코스로 17.3km이다. 서해에서 일출을 볼 수 있는 '왜목마을', 대산읍 화곡리의 바닷길을 잇는 '대호방조제', 좌대 낚시터가 있는 '도비도항' 등을 만난다.
- 왜목마을 : 곶(串)처럼 위로 툭 튀어나와 양쪽이 바다에 안겨 있다. 서해땅에서 해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는 이유다. 땅의 모양이 가느다란 왜가리 목을 닮아 왜목마을이라고도 하고 누워있는 사람의 목을 뜻하는 와목(臥木)에서 유래했다고도 전해진다. 해가 뜨고 지는 곳, 충남 당진 왜목마을에선 이 두 가지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 서산의 북쪽 관문, 삼길포항(三吉浦港) : 서산의 북쪽 관문으로 통하는 삼길포항은 서산9경(서산구경) 중 제9경으로, 해발 200m 국사봉에서 내려다보이는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삼길포 선상 횟집에서 갓 잡은 싱싱한 자연산 회를 맛볼 수도 있다. 바다 위에 떠있는 유람선과 어선, 푸른 하늘과 바다사이를 가르는 갈매기, 365일 바다를 지키는 빨간 등대 등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매년 삼길포 우럭축제, 삼길산 아라메길 걷기행사, 독살축제 등 다양한 행사와 체험거리 먹거리가 다양하다.
- '서산시청 홈페이지' 참조
- 왜목마을 마을길 따라서(2017. 05.) : 오름! 오르미! | 041) 왜목마을 마을길 따라서 / 충남 당진 - Daum 카페
- 대한민국 명품섬 난지도(2017. 05.) 오름! 오르미! | 032) 대한민국 명품섬 7 - 난지도 / 충남 당진 - Daum 카페
대한민국 한 바퀴 제1탄은 1박 2일 여정으로 공덕역에서 출발해 김포(일산대교 입구)~강화~인천~화성을 거쳐 당진(삼길포항)까지 그 거리는 어림잡아 400km, 제한된 시간에 가볼 곳은 많아 다소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추억을 소환하고 때론 처음 가보는 곳을 접할 수 있음은 기대 이상이었다. 그 여정은 다음과 같다.
* 제1일(2025. 01. 19.)
1. DMZ 평화의 길 4코스(김포 / 일산대교 입구)~3~2코스(김포)→1코스(강화 / 강화평화전망대)
2. 서해랑길 103코스(강화 / 강화평화전망대)~100코스(강화)→99코스(김포)→98~93코스(인천 / 소래포구)
* 제2일(2025. 01. 20.)
1. 서행랑길 93코스(인천 / 소래포구)~92코스(시흥)→91~89코스(안산)→88~87코스(화성)→86~85코스(평택)
→84코스(아산)→83~80코스(당진 / 삼길포항)
2025년 이후의 나의 인생의 목표 중 하나는 '코리아둘렛길 4,500km' 걷기(현실적으로 불가) 대신에 차량을 이용해 가능하면 그 길(또는 그 길과 가까이에 연결된 도로)을 달려보는 것이다. 서울을 출발한 발길은 언제 어떻게 어떤 상황으로 마무리될지 모르지만 그런대로 의미있는 도전임은 분명한 것 같다. 개인사로 인해 동행 못한 오뚝이님은 출발지(공덕역) 도착 즈음에 만나 소주(막걸리)잔을 기울이면서 '도전, 대한민국 한 바퀴 제1탄 평가회를 이어가면서 제2탄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이틀동안 안전 운행으로 여정의 즐거움을 더해주신 문주란님을 비롯한 오르미님들 모두모두 노고가 많았습니다. 제2탄을 기다립니다.
(2025. 0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