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의 진화
우리 모두가 깨어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인류 전체가 더 높은 차원의 의식을 얻으려면 인간의 뇌가 더높은 수준으로 진화해야 한다. 영원한 의식과 달리, 인간의 고차원 의식은 생물학적 기반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의식과 무의식, 고차원의 의식이 뇌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뇌 이론 모델을 정립할 수 있다면,
이 개념들을 훨씬 더 확실히 이해할 것이다.
그러니 우선 뇌의 진화 과정부터 살펴보자.
★ 뇌의 진화의 세 단계
미국의 뇌 과학자 폴 매클린은 뇌의 구조와 진화에 관하여 제시한 이론이 바로 삼위일체 뇌 이론이다.
우리는 실제로 세 개의 뇌를 갖고 있다. 파충류 뇌 위에 포유류 뇌가, 그 위에 인간의 뇌가 층층이 위치하고 이 세 개의 뇌는 각각 진화의 주요 세 단계에 해당된다.
가장 오래된 뇌는 파충류 뇌다. 인류와 어류, 파충류가 공유하는 뇌로서 척수, 뇌간, 중뇌, 시상하부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욕구는 생식 및 자기 보존과 관계가 있으므로 파충류 뇌는 혈압,
혈액 순환, 호흡, 먹이 섭취, 소화, 성적 행동과 분노 행동을 담당한다.
파충류 뇌보다 훨씬 더 나중에 진화한 뇌 구조물은 변연계이다.
인류와 포유류가 공유하는 뇌로서 편도체,
해마. 중격으로 이루어진다.
이 포유류 뇌는 정서와 기억 (해마)에 관여하며 다양한 감정(편도체)이 일차적으로 생겨나는 곳이다.
이 두 가지 뇌의 맨 위에 신피질이 있다.
신피질은 가장 최근에 진화한 뇌 구조물로서 약 1,000억 개의 뉴런(뇌세포)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되었다.
이 거대한 신피질이 진화하면서 다양한 인지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은 사고하고 분석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심리학자 아서 야노프에 따르면 서로 연견된 이 세 개의 뇌 ㅡ뇌간. 변연계. 신피질 ㅡ에 우리가 '생존하려는 마음'. '느끼는 마음'. '사고하는 마음' 이라고 부르는 것이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차원이 다른 세 개의 의식을 갖고 있으며, 각 의식은 수억 년 동안 진화해온 특정 뇌 구조물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인간의 두개골에는 개별적인 세 개의 뇌가 존재하고 각각의 뇌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고유 능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세 개의 뇌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항상 협력하지 않는다.
가장 높은 수준의 구조물, 즉 신피질은 하위 수준의 뇌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이것은 정상이다. 하지만 정서적 폭력처럼 하위 수준의 변연계가 상위수준의 뇌를 '완전히 장악' 하는 경우를 우리는 자주 목격한다.
★옛날의 인간 ㅡ우뇌인간
ESP 능력이 높다.
언어는 없고 좌뇌가 거의 발달되지 않았다.
★현재의 인간 ㅡㅡㅡㅡㅡ 좌뇌인간
언어.이성이 발달. 대신에 우뇌의 기능을 잀어버렸다. 좌뇌가 우뇌의 기능의 기능을 억제해 버린다.
★진화된 인간ㅡ좌.우의 균형이 잡힌 인간
좌우의 뇌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우뇌의 기능을 억제하고 좌뇌의 힘이 사라진다.
◆ 자신은 어떤 뇌의 강한 소유자인가?
1) 생존하려는 마음인 포충류(뇌간ㅡ 동물적 욕구ㅡ 먹이섭취.성적 행동) 뇌 인가
2) 느끼는 마음인 포유류(변연계ㅡ욕망의 뇌ㅡ희로애락의 감정적(편도체) 인간) 뇌 인가
3) 사고하는 마음인 인간의 뇌(신피질ㅡ이성적(理性的의 뇌ㅡ합리적 사고의 뇌)인가
4) 고차원 의식뇌인 우뇌형인가ㅡ (직관적 뇌와 자비와 사랑의 뇌)
{다음은 ;>두개의 뇌, 두 개의 마음>;계속}
첫댓글 기철입니다 선생님 언제 저를 다시 제자로 받아주실겁니까
언제 수업 진행할지 모릅니다.
지금은 대구에서 수업과는 전혀 다릅니다.
초보자 대상 수업은 아닙니다.
티벳밀교 수행은 상당한 수행력이 있어야 합니다.
대구에서 찾아보세요.
기쳘씨 수준에 맞는 공부를하세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