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 뇌에 자극을 주고, 2. 반복을 하고, 3. mirror neurons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Saturday is English Only Day !!#SEOD
뇌과학에서의 학습과 몰입
*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 temporal summation: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같은 자극이 반복되면 적은 자극으로도 시냅스 발화가 일어나는 것 - 피드백이 빠르면 시냅스 발화가 활발해져 몰입도를 쉽게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
; 게임이나 스포츠활동에 쉽게 몰입 이 되는 이유는 피드백이 빨라서 시냅스의 시간적 가중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인데,
이 개념은 1초도 쉬지 않고 계속 공부하는 활동이 몰 입도를 올리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증명함.
* 시냅스의 ‘공간적 가중spatial summation: 다른 곳에서 오는 여러 개의 시냅스 입력들이 하나의 신경세포에 동시에 입력되면 개개의 자극이 작더라도 시냅스 발화가 일어나게함
- 몰입도가 높을수록 몰입하기가 쉽고 몰입도가 낮을수록 몰입 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일단 몰입 도를 올리면 높은 몰입 상태를 가능한 한 오래 유지하는 것이 좋음.
; 공부하는 과목을 수시로 바 꾸지 말고 한 과목을 오래 해야 몰입에 유리한것이다
- 영어공부하면서 일본어, 중국어, 자격증 공부하는 것은 몰입에 유리하지 않다는 해석.
** 일단 몰입도가 올라가면 공부하는 것이 그다지 힘들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며 학습 효율도 올라감 (무적 다음 까페의 취업수기란을 찬찬히 읽어보면 이해됨 ; 영어 공부 몰입이 가져온 극대화 된 취업, 학업 결과)
** 단기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변환시키는 5가지 학습 촉진
1. 뇌에 있는 ‘타고난 학습프로그램이 있다. (innate learning program)
전두엽에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모방 하는 ‘거울 뉴런mirror neurons’ 이 있어서 언어 습득이나 연장 사용 기술 을 상대적으로 빨리 학습된다
2. 경험 이나 학습을 반복할수록 장기기억으로의 변환이 촉진됨. 반복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유도하고, 다른 뉴런과의 연결을 약화시키거나 강화시켜 새로운 장기기억을 형성한다. 따라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내용은 반복해서 학습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3. 우리의 감정을 각성시키는 경험, 즉 자극적인 경험을 더 잘 기억함. 흥분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유도하고, 관련된 뉴런 간의 연접 부위를 강화시킨다. 그래서 지루한 내용보다는 재미있거나 평범하지 않거나 놀랄 만한 내용이면 기억을 잘하는 것 이다.
4. 탄수화물의 섭취가 장기기억 형성을 촉진. 아침을 거르거나 심한 다이어트를 하면 장기기억을 형성 하는 데 필요한 뇌 포도당 대사가 억제되어 학습에 불리
5. 충분한 수면이 장기기억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환되는 과정은 잠자는 동안 해마라는 부위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열심히 공부한 후 잠을 자는 것은 공짜로 공부하는 셈이다.
열심히 공부하다가 자는 선잠이나, 밤에 자는 깊은 잠은 학습의 연장이다.
억지로 잠을 줄여서 공부! 하는 것은 장기 기억의 관점에서 보면 대단히 비효율적이다
1. 우리 뇌에 자극을 주고, 2. 반복을 하고, 3. mirror neurons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Saturday is English Only Day !!#SE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