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름의 칸나
허상문
그 여름에도 칸나는 피었다. 폭염과 장마가 유난히 심했던 여름이었지만 정원의 뒤란에서 칸나는 화염처럼 불타올랐다. 칸나의 표정과 몸짓은 언제나 단호하고 비정하다. 뜨거운 햇살에 맞서 도도하게 서 있던 칸나는 가까이 접근해도 좀처럼 옆자리를 내어주지 않는다. 그러면서 사람들의 헐벗고 영세한 가슴에도 칸나가 피었느나고 물어 온다.
여름 내내 가는 곳마다 사람들은 폭염으로 견딜 수 없다고 아우성이었다. 기상이변이라 불리는 이런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이야기한다. 지난겨울 어렵사리 찾아갔던 남극 지역 파타고니아의 주민들도 빙하에서 얼음이 녹아내리는 속도가 해마다 심각하다고 전했다. 지구가 갈수록 재앙의 위기를 향해 치닫고 있다는 불길한 예감은 단순히 가상이변에 의한 것만이 아니다. 지구 곳곳에서는 전쟁과 질병, 기아와 자연재해가 어둠의 그림자를 짙게 드리우고 있다.
어른들이 일으킨 무모한 전쟁의 거리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는 아이들, 세계를 공포로 휩쓸었지만 별써 망각의 강 저편으로 가버린 '코로나19', 계속된 가뭄과 기아에 허덕이며 영양실조로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 녹아내리는 설원에서 갈 곳을 잃고 헤매는 북극곰들이 당면한 위기와 미래를 모두 알고 있다는 듯 칸나는 더욱 도발적인 붉은 생명력으로 피어 있었다.
세상이 과학기술과 자본에 힘입어 더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가는 듯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간은 정신과 영혼을 도외시하고 물질적 .육체적
탐욕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한여름에 칸나가 붉은 몸짓으로 이 세상에 대한 적의를 드러내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도덕적 숭고'(칸트)의 감정이 갈수록 사라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승고란 인간을 인간일 수 있게 하는 마지막 자기 긍정을 뜻하는 것이다. 이런 감정이 사라지면서 이 세상과 인간에 대한 자기부정과 자포자기의 심정은 갈수록 깊어 간다. 무모한 인간들이 지구 곳곳에서 저지르는 폭력과 파괴로 인해 아름다운 자연은 망가지고 인간이 서로를 위해 지녀야 할 사랑과 공생의 마음은 사라져 간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고리처럼 연결되어 있으니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생각은 없어져 가고 있다.
칸나가 지닌 아름다움은 나를 끌어당겨 감각하고 생각하게 하는 포획의 힘이다. 칸나를 바라보는 것은 사물이라는 존재를 정지된 눈으로 응시 하는 일이며, 그 고유성만을 고집하지 않고 타자의 생명을 수용하는 힘으로 인해 가능하다. 한 생명에 대한 진정한 체험은 사물의 경험을 초월하는 타자성에 대한 긍정에 의한 것이다. 긍정의 시선은 사물에의 단순한 관찰에 의존하지 않는다. 타자를 실체로 바라보는 것은 '무엇-되기'(들뢰즈)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을 생산하고자 하는 무한한 가능성의 장소로 인도한다. 한 생명체에 대한 항상성은 독립적인 마음으로 누군가에게로 열리는 자세를 의미한다. 이런 시간에 개체는 타자의 관점을 자기 삶으로 구축하는 창의적 단계에 이르게 된다.
칸나를 바라보면서 삶의 경험을 구성하는 존재들에 관해 생각한다. 그 존재는 공간이나 명료한 구조로 환원되지 않는다. 나를 일으키는 것은 내면에 과거라는 이름으로 축적된 무수한 시간의 힘에 의해서이다. 세계 속에 던져진 '나'는 이미 낯선 생명이고 존재이며 타자이다. 주체는 나와 타자 혹은 과거와 현재의 연결이라는 외피를 안고 새로운 관계 맺기를 이룬다. 달리 표현하자면, 나는 어떻게 세상과 타자를 사랑할 것인가. 여름의 상처인 칸나와 칸나의 흉터로 남은 꽃을 어떻게 품어 안을 것인가. 뻐꾸기 울음이 처량해시기 시작하는 여름밤, 세상에서 버려진 것들은 모두 붉은 빛깔을 띠며 함께 울고 있었다. 여름은 여름대로, 칸나는 칸나대로, 나는 나대로, 지금 모두 어디서 어떤 시간을 보내고 있느냐고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