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놀치아카데미
아 나 바 람 교수 도전 하세요.
아 아낌없이
나 나누고
바 바꿔가는
람 사람들 이라는 의미가 담긴
한글 앞머리글.
아나바는 히브리어의 자세를 낮추다 라는 의미가 담긴 겸손이라는 뜻의 단어.
람 은 思濫. 한자어로 창의적 생각이 넘친다는 의미를 담은 우리말 사람.
두가지 의미를 가진 새로운 단어로 그 의미를 더하면
'겸손한 자세로 세상을 변화시키며 바꿔가는 사람들'을 의미함
이과정은 그동안 세상에 있던 코칭, 리더십 등의 프로그램에 푸놀치 뇌과학을 융합해 재미있고 혁신적인 아레떼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추후 세상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변화시키는데 선한 영향력을 나누고자 하는 단체로 자리잡으며, 각 기관, 기업, 학교 등 전세계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됩니다.
저는 최근에 각자에게 맞는 맞춤형 힐링 리더십과 아례떼적 리더십을 공부중입니다.
아례떼(ἀρετή)는 고대 그리스어로 '탁월성' 또는 '덕성'을 의미하며, 단순히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보다 ‘자신의 본질에 맞게 최선을 다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래서 아례떼적 리더십이란, 단순한 성과 중심의 리더가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본성과 사명을 자각하고, 공동체 전체의 선을 위해 도덕적 탁월성을 실천하는 리더십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자기인식(Self-awareness):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인지하고, 내면의 성장에 헌신합니다.
2. 도덕적 기준(Moral Excellence): 정직, 정의, 용기, 절제 등 고대 그리스의 주요 덕목을 실천합니다.
3. 공동체 중심(Community-centered):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조화를 우선합니다.
4. 끊임없는 수련(Phronesis): 실천적 지혜(phronesis)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판단과 행동을 추구합니다.
5. 영적 또는 철학적 목적성: 삶과 리더십의 방향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더 나은 인간 존재로 진화하고자 합니다.
즉, 아례떼적 리더십은 ‘좋은 삶’을 실현하는 리더십으로
제가 삶의 치유예술로 실천하고 있는 푸놀치 ‘사람 중심 힐링 리더십’과도 깊은 철학적 맥락에서 통한다고 봅니다.
저는 이 개념을 푸놀치 영성훈련이나 리더십 교육에 접목해 보려고 프로그램을 구성해 전세계로 나가가는 최고지도자 교수진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이과정은 뇌과학에 근거하여
아래의 기술된 다양한 주제들을 학습하지만 기존에 선생님들께서
강의하시며 더 알고싶거나 궁금한 부분을 서로 의논하여 맞춤형
지도를 하게 됩니다.
교수진은 저를 포함해 국내의 다양한 인사를 모실 예정입니다.
최고지도자 과정 1기
사람중심 K-Therapy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
3년전 시작하려던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을 드디어 시작합니다. 몸과 마음이 맑아지며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천하무적이 되듯한 기분으로 푸놀치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을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늦은 듯 하지만 지금이 가장 빠른 순간이라는 말이 생각이 납니다.
이 과정은 1~2년(사람들의 성장과정이 다 차이가 다르듯이) 과정입니다. 이 과정 지도를 받으신 분들이 소정의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다른 분들을 지도하고 양성하는 단계로 나아가려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나에게서 너, 우리 가까운 주변으로 사회 전체로 지구촌 전체로 푸놀치 마음소풍이 퍼지기를 희망합니다. K-Therapy인 푸놀치PuNolChi 아카데미 최고지도자 과정에서 인문사회, 경제, 복지문화 등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과정을 걸쳐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와 연결해 통합적인 공부를 하게 됩니다. 전세계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로움으로 안내하는 지도자(촉진자) 되기, 궁극적으로 삶을 건강하게 회복시키며 영성으로 안내하는 삶의 영성예술가로 거듭나는 건강하고 아름다운 물결이 퍼져나가기를 소망하며 희망합니다.
영성은 학자들 마다 다르게 말을 하지만 저는 교통사고후 긴 어둠의 터널을 통과하고 나니 이렇게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우리 삶의 모든 수준을 포함하는 것이 영성이며, 가장 넓은 의미에서 마음의 움직임에 관한 모든 것" 이라고요.
삶속에서 음식을 먹으며 이미 우리 안에 주어진 영성을 함께 탐색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점ㆍ하나를 찍으며 세상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변화시키는데 선한 영향력을 나누고자 하는 나, 너, 우리가 되고자 하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삶의 식탁에서 하루5분 잠시 멈추어 사색하며 영성을 회복하고, 푸놀치 예술을 통해 내면의 자각, 사랑, 치유, 사명으로 이끄는 최고지도자 교수진을 양성하는 과정입니다.
부제: "밥상 위의 심리학으로 삶의 철학, 예술적 치유성과 영성을 통합하여, 지구촌을 건강하고 평화로운 삶으로 이끄는 푸놀치 최고지도자 양성과정"
★ 과정 개요
* 기간: 총 24개월 (주 1회, 월 4~6회 수업), 개인별 맞춤 과정, 1년 후 자신에게 맞는 책 2권, 자문화기술지 소논문 쓰기
* 대상: 전화통화후 입학 확정
1) 푸드표현상담 전문강사, 마스터강사, 지부장 이상 우선 접수, 국내, 국외에서 푸놀치 교수로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자
2) 각 기관, 학교 등 기업 리더를 육성하여 퍼실리테이터로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자
3) 인문사회, 복지 관련 선한 영향력을 나누는 일에 관심있는 자 등
* 구성: 감각-감정-관계-회복-영성 순환형 커리큘럼
* 목표: 개인 치유 → 가족 회복 → 공동체 확산 → 사회적 변화 유도
★ 교육비
* 6개월 단위 70만원
* 1년단위 120만원
* 2년 200만원
계좌: 기업은행
329 017316 03 017 김지유
< 1년뒤부터 1학기 교육비는 100만원 상향예정 임,
광고지에는 지면상 일부만 명시 >
★ 문의 및 신청 :
김지유 Tel. 010-7479-8276,
김민용 010-7479-3082
* 구글폼에서 신청 : https://forms.gle/maQqY3nNF5bMHn5Y7
내안의 행복을 여는곳 행복일기
041-335-0977 / 0979
■ 세부 진행 내용 ■
뇌과학 요소 및 뇌가소성 실천루틴 (핵심주제를 뇌과학과 융합한 안내)
=> 강의 ppt제공
1(6월): 정체성과 삶의 방향 찾기(자신에게 맞는 생명정보 발화하기)
1주차 뇌과학 주제: 전전두엽과 자기인식 – 나를 바라보는 뇌의 거울
2주차: 자서전적 기억과 해마 – 삶의 곡선과 의미 기억
3주차: 자아 정체성과 시냅스 강화 – 내가 살아야 할 이유의 뉴런 연결
4주차: 감정과 색의 상징 – 감각 표현으로 뇌파 안정화
=>자살예방, 생명존중
2(7월): 감각으로 DNA 생명정보를 깨우는 뇌(맞춤형 치료, 푸놀치)
1주차: 감각 입력과 시상 – 오감은 뇌를 깨우는 통로
2주차: 후각과 편도체 – 향기 자극으로 정서 안정 촉진
3주차: 감각-감정 연결 시냅스 – 감정표현이 뇌 연결을 살린다
4주차: 미각 자극과 긍정회로 – 음식 감각이 세로토닌을 자극함
=>스트레스 완화, 편안(편도체 안정)밥상
3(8월): 자기돌봄과 관계회복
1주차: 전측 대상피질과 자기공감 – 자기돌봄은 회복의 시작
2주차: 감정공유와 거울뉴런 – 타인의 감정과 나의 뇌 연결성
3주차: 스트레스 호르몬과 코르티솔 조절 – 감정조절의 뇌 훈련
4주차: 애착과 옥시토신 – 공동체 감정은 회복탄력성을 높인다
=> 관계회복 코치
4(9월): 창의성 확장과 문제해결력
1주차: 전두엽과 창의적 사고 – 자유로운 연결이 창의성을 부른다
2주차: 디폴트모드네트워크(DMN) – 쉼과 상상 속에서 떠오르는 해답
3주차: 시냅스 가지치기와 뉴런 성장 – 낡은 생각을 정리하는 뇌의 정원
4주차: 음식과 창의성 – 감각 조합으로 뇌 연결성 확장
=> 창의융합코치 되기
5(10월): 감정 회복과 회복탄력성
1주차: 감정 레지스터와 편도체 – 감정 인식은 첫 회복의 열쇠
2주차: 자율신경계와 긴장 이완 – 푸놀치 표현으로 안정 신호 주기
3주차: 미러링 뉴런과 공감적 회복 – 타인의 감정도 회복의 자극이 된다
4주차: 반복과 루틴 – 감정 회복 회로를 강화하는 실천 루틴
=> 감수성 리더 되기
6(11월): 공동체 리더십 훈련
1주차: 공감 회로와 전두엽 – 리더는 공감의 뇌를 훈련한다
2주차: 대화와 청각처리 영역 – 비폭력 대화는 감정소통의 신경 통로
3주차: 포용력과 자제력 – 감정 자제는 전전두엽 훈련 결과
4주차: 소속감과 사회적 유대 – 옥시토신과 공동체 감정 강화
=> 탁월한 아레떼 리더로
7(12월): 사람중심 상담기술 습득(스스로를 치료하는 뇌)
1주차: 경청과 청각 피질 – 말보다 듣는 뇌가 상담의 핵심
2주차: 감정거울과 감정 공명 – 듣는 뇌와 표현하는 뇌의 협업
3주차: 공감중추와 상담 신뢰 – 뇌는 진심을 감지한다
4주차: 문제해결 회로 – 상담자는 해결을 돕는 뇌 자극자
=> 푸드표현 뇌상담 전문가
8(2026. 1월): 트라우마 회복과 전환(외상후성장, 재성형)
1주차: 편도체와 트라우마 저장 – 상처받은 뇌가 느끼는 재자극
2주차: 감정 정화와 전두엽 통합 – 표현을 통해 상처는 변형된다
3주차: 내러티브와 좌뇌-우뇌 통합 – 이야기로 치유하는 두뇌 구조
4주차: 감정 안전지대 – 안전한 표현 공간이 뇌의 회복을 부른다
=> 트라우마 치유전문가
9(2026. 2월): 통합예술 실습(제3의학, 자연밥상)
1주차: 다중감각 통합 – 감각융합이 뇌 연결을 촉진
2주차: 예술과 시냅스 형성 – 창작은 뉴런의 잔치(신경가소성)
3주차: 움직임과 운동 피질 – 표현이 곧 뇌의 움직임
4주차: 통합 퍼포먼스 – 뇌 전체가 협력하는 공감극장
=> 치매예방 전문가
10(2026. 3월): 식탁위의 영성과 마음의 평화
1주차: 명상과 세로토닌 – 침묵과 고요가 뇌파를 안정(편안밥상)
2주차: 감사 표현과 도파민 – 감사는 뇌 보상 회로를 활성화(셀프치료, 腦)
3주차: 기도와 연결감 – 나보다 큰 존재와 연결될 때 뇌의 안정성 증가
4주차: 사랑의 표현과 뇌 – 따뜻한 표현은 뇌를 치유한다(평화밥상)
=> 밥상위의 영성가
11(2026. 4월): 사회변화와 힐링리더십
1주차: 의미 있는 기여와 보람 – 도파민과 성취감의 뇌 회로
2주차: 사회 감정과 미러링 – 타인의 아픔에 감응하는 뇌 훈련
3주차: 사회적 책임감과 전두엽 활성화 – 책임은 뇌의 조직력을 높인다
4주차: 변화실천과 반복 루틴 – 신념은 시냅스를 강화하는 반복에서
=> K-Healing 삶의 예술구루
12(2026. 5월): 삶을 예술로 완성하기(기억은 늘 현재)
1주차: 기억 통합과 감정 정리 – 연대기는 해마를 자극한다(Here & Now)
2주차: 사명 선언과 전두엽 목표화 – 목표는 뇌를 훈련하는 GPS
3주차: 나눔과 보상 시스템 – 타인 기여는 뇌 보상의 정점
4주차: 감사와 긍정적 회상 – 삶을 마무리하는 치유의 회로
=> K-Healing 삶의 예술구루
추후 혜택.
각 기관 기업체 강의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지도하는 교수진으로 활동하며
한국푸드표현예술치료협회 전문상담사로
수련감독전문가 과정에 임상시간 인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