厭
語源
형성자이다. 猒(물릴 염)이 의미부이고 厂 (기슭 엄)이 소리부로, ‘맛있는’개고기를 ‘싫증날’ 정도로 먹다는 뜻에서 싫증나다, 염증을 느끼다, 싫어하다의 뜻이 나왔다. 猒에서 犬 은 개를, 肉은 고기를 口는 고깃덩어리를 뜻한다. 간화자에서는 犬이 의미부이고 厂이 소리부인 厌으로 줄여 쓴다. [1]
한자수에서는 개가 감미로운 고기를 입에 물고 물가로 가는 모습으로 풀이한다. 여기에서 파생된 의미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배부르다"로 관련용어로 탐득무염(욕심이 끝이 없다.)있으며, 다른 하나는 嫌弃(싫어하다)로 관련용어로는 厌倦(싫증내다), 讨厌(싫어하다)등이 있다. 금문은 개가 입에 고기 한 조각을 물고 있음을 나타낸다. 전서체에서는 “口”을 “甘”으로 바꾸었고 厂(기슭 엄)을 추가하였다 “厂(기슭 엄)”은 절벽 혹은 강기슭을 가리킨다. “厭”의 간체자는 “厌”이다. [2]
시라카와 시즈카는 염을 개 희생물을 받아서 신의 뜻이 만족함을 나타낸다고 한다. [3]
文化
<<소학(小學)>> 가언(嘉言)편에는 厭자가 쓰인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柳玭嘗著書 戒其子弟曰 壞名災己 辱先喪家 其失尤大者五 宜深誌之 ..중략.. 其三 勝己者厭之 佞己者悅之
유변이 일찍이 글을 지어 그의 자제들을 훈계하여 이르기를 명성을 무너뜨리고 몸을 재난되게 하며 조상을 욕되게 하고 가문을 잃는 것이 그 과실 중에서 큰 것이 다섯 가지가 있는데 마땅히 깊이 기억해야 할 것이다 ...(중략) 셋째는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싫어하고 자기에게 아첨하는 사람을 기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