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훈정의 작업단상-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예술가는 자신이 속해있는 시대의 대변자로서 자기가 속해 있는 사회적 정서와 가치관을 서로 주고받게 되며, 매력적인 미적 가치대상을 포착하여 대상물에 깃들여 있는 예술적인 우아함을 표현하려 한다.
현대미술가가 목표로 하는 것은 작가가 꿰뚫어본 인간의 본질 및 현실세계에 깃들여 있는 영혼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인데, 시대가 바뀔 때마다 예술의 자유는 획기적으로 그 범위를 달리하여 그 시대가 부여하는 자유를 뛰어넘는 새로운 표현방식은 상상을 불허할 정도로 다양하게 화면을 장식하여 왔다.
대상의 실체를 그려내지 않아도, 누구나 보는 이러 하여금 공기의 흐름을 느끼면서 머리를 맑게하는 표현이고 싶다.
나는 매번 작품에서 러시아의 철학자 빅토르 쉬클브스키가 주장하는 “예술은 창조가 아니라 낮설게 하기”라는 화두에, 감정이입의 문을 자유롭게 개방하여 개방된 마음의 문을 통해 자유자재로 주제와 색채와 표현형식을 스스로 다스림에 순응하고자 노력했다.
나는 가능한 자연현상의 가벼운 힌트만을 주고 굳이 대상의 실체를 그려내지 않아도, 누구나 보는 이러 하여금 그 심연의 표현에 공기의 흐름을 느끼면서 머리를 맑게하는 표현이고 싶다.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대상들은 수많은 색면대비로 표현된 작품들은 원경과 중경 근경에 공기의 흐름이 마치 연마된 음악의 선율을 타듯 경괘하며 자연스런 균형감을 유지하며 표현하려 노력하고 있다. 아마, 이 무언의 표정에서 이 시대를 사는 가장 느림으로 살기 원하는 나 자신의 정신적 유연성 때문일 것이다.
자연과 인간의 삶의 긍정적 환상과 감성어린 인간미를 극대화함으로,
나의 작품에 나타난 색채표현은 마치 단순한 블루와 옐로우, 오커색으로 발색되어 마치 무소유의 화면을 대하는 듯 편안하고 서정적이고 싶다. 화려한 듯, 하면서도 야하지 않은 색채의 부드러운 중첩은 이른 초여름의 실록의 파노라마 향연이 눈앞에 펼쳐진 듯 평화롭고 몽환적이길 바라기 때문이디.
이렇게 화폭을 마주하고 돌아서는 감상자의 발걸음은 결국 화면에 표현된 간결한 색면대비에 숨어 있는 무언의 메시지를 담기 위해서이다. 이해할 수 없어가 아니라, 감상자는 자연스레 화면에 점점 몰입되어 나의 작품 속에 깊이 빠져들게 하기 위함이다. 그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삶의 긍정적 환상과 감성어린 인간미를 극대화함으로, 너무 익숙해서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그냥 지나쳤던 작가가 의도한 공기의 흐름의 평범과 미학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는 가능한 자연현상의 가벼운 힌트만을 주고 굳이 대상의 실체를 그려내지 않아도,
누구나 보는 이러 하여금 그 심연의 표현에 공기의 흐름을 느끼면서 머리를 맑게하는 표현이고 싶다.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대상들은 수많은 색면대비로 표현된 작품들은
원경과 중경 근경에 공기의 흐름이 마치 연마된 음악의 선율을 타듯 경괘하며
자연스런 균형감을 유지하며 표현하려 노력하고 있다.
아마,
이 무언의 표정에서 이 시대를 사는 가장 느림으로 살기 원하는 나 자신의 정신적 유연성 때문일 것이다.
개인 AI 어시스턴트인 Gemini를 만나, 이훈정화가 1호당 그림을 콜렉션입장에서 문의 내용,
수집가 입장에서 이훈정 화가 작품의 1호당 가격을 책정하는 것은 단순히 2015년의 감정가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 이상의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컬렉션의 가치와 투자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입니다.
1. 2015년 감정가 (150만원/호)의 의미와 한계
2015년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미술작품심의회에서 발부한 감정가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공신력 있는 기준점: 한국미술협회는 국내 미술계에서 공신력을 인정받는 단체입니다. 따라서 이 감정가는 작가 경력과 작품성,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객관적인 기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작 가격의 역할: 이 가격은 당시 이훈정 화가 작품의 공식적인 최소 가격을 제시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수집가에게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작가 스스로도 이 가격을 기준으로 작품을 판매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계점: 감정가는 발행 시점의 시장 상황을 반영합니다. 2015년 이후 현재까지 약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고, 이 기간 동안 작가의 경력, 작품 활동, 시장의 변화 등이 작품 가치에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감정가를 현재의 절대적인 가격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2. 작품 가치 상승 요인 분석
컬렉터 입장에서 이훈정 화가 작품의 현재 가치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력 50년의 '원로 작가'로서의 위상:
미술 경력 50년은 작가로서의 숙련도, 고유한 화풍의 완성도, 그리고 끊임없는 창작 활동의 증거입니다.
'공기원근법'이라는 독창적인 화풍을 오랜 시간 유지하고 발전시켜왔다는 점은 작가만의 고유한 브랜드 가치를 형성합니다.
원로 작가 반열에 오르면서 희소성이 증가하고, 새로운 작품의 공급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이 74세의 '작고 작가' 가능성:
미술 시장에서 작고한 작가의 작품은 희소성이 극대화되어 가격이 폭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생전에 작가가 얼마나 활발하게 활동하고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74세라는 나이는 작가로서의 왕성한 활동과 더불어 미래에 작고할 가능성을 고려하게 하는 중요한 지점입니다. 이는 작품을 단순히 감상하는 것을 넘어 투자 가치로 인식하는 컬렉터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미술 시장의 전반적인 성장:
2015년 이후 국내외 미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특히 유명 작가들의 작품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했으며, 미술품 재테크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이훈정 화가와 같은 중견, 원로 작가들의 작품도 이러한 시장의 흐름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컬렉터 입장에서의 가격 책정 제안
위에서 언급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컬렉터 입장에서 이훈정 화가 작품의 1호당 가격은 다음과 같이 책정될 수 있습니다.
최소 가격: 2015년 감정가 150만원은 최소한의 기준선입니다. 10년간의 물가 상승률과 작가의 경력 가치를 고려하여, 최소 2배 이상의 가격 상승은 충분히 합리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적정 가격 (보수적 접근): 2015년 감정가에 물가 상승률과 작가 경력 가치를 더해 250만 원 ~ 300만 원 선에서 가격을 책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가격은 비교적 안전하게 작품을 수집하려는 컬렉터에게 적절합니다.
적극적인 투자 가격 (미래 가치 포함): '원로 작가'로서의 희소성, 그리고 잠재적인 '작고 작가' 프리미엄을 기대하는 컬렉터라면 300만 원 ~ 500만 원 이상까지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품의 제작 시기(초기작 vs 만년작), 작품의 완성도, 전시 이력(개인전/단체전/수상작), 소장 이력(유명 컬렉터 소장 여부) 등에 따라 개별 작품의 가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작품별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컬렉터 입장에서 이훈정 화가의 1호당 가격은 2015년 감정가(150만원)를 크게 웃도는 최소 250만원에서 500만원 이상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작가의 경력, 나이, 시장의 흐름 등을 고려했을 때, 작품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므로, 현재 시점은 작품을 수집하기에 좋은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Hello Gemini, I'm a professional curator and I'd like to discuss the artistic practice of painter Lee Hun-jeong, specifically his concept of "Atmospheric Perspective."
I've been introduced to Lee Hun-jeong, an artist who has built his own unique artistic world by deepl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ity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s that emerge within it. A key element that runs through his work is his unique painterly language, articulated through the concept of "Atmospheric Perspective."
1. The Core Element of Lee Hun-jeong's Art: "Atmospheric Perspective" In contrast to traditional perspective, which focuses on expressing the integrity of forms, Lee Hun-jeong's "Atmospheric Perspective" expresses the flow of air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color inherent in the sky. This is the artist's own visual language that goes beyond simply representing distance, capturing the movement of air and the emotional atmosphere imbued within it. He uses a knife to pick up and apply paint in a single stroke, imbuing the canvas with the ever-changing nature of the air. This approach is intended to allow the viewer to feel fresh air and to provide aesthetic rest for modern people living in a polluted urban environment.
2.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piritual Depth Lee Hun-jeong's artistic world is based on deep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spiritual faith. Based on his belief that nature originates from the power of the Creator, he has the artistic goal of explor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nature and returning them to nature. As he mentioned in his work notes, "the brush is the providence of God," he says that his work is completed through his faith, following where the brush leads him subconsciously rather than by his own will. This spiritual insight creates a serene and lyrical atmosphere throughout his work, encouraging the viewer to engage in inner contemplation.
3.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Composition Lee Hun-jeong primarily uses primary colors, especially yellows, blues, and greens, to create a simple yet serene and lyrical atmosphere. These colors evoke natural landscapes and seasonal changes, conveying the harmonious beauty of nature. In terms of composition, he uses a simple planar technique with atmospheric perspective and an abridged approach to represent long mountain ridges, rocks, trees, and rivers. In particular, he uses a unique technique of smearing the mountain foothills with a knife and bringing them to the foreground to make the viewer feel the flow of air. This emphasizes the presence of air rather than the integrity of concrete forms, and the blank space provides an incomplete space that stimulates the viewer's imagination.
4. The Art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Lee Hun-jeong hopes that his work will not only express emotions, but also work in a way that empathizes with them and evokes empathy. He hopes that viewers will discover their own emotions and experiences in his work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ommunicating with the real world and bringing about change. His work does not provide answers, but constantly asks questions, encouraging an active dialogue through each viewer's interpretation and attribution of meaning. This communicative approach shows the artist's desire for his work to remain a timeless and living entity.
5. Exhibition History and Activities Lee Hun-jeong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ine Arts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as held more than 40 solo exhibitions (at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Lotte Museum, etc.). 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at home and abroad, consistently contributing to the Korean art scene. He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the Korean Christian Fine Arts Association, the Korean Professional Artists Association, and the Jeonmihoe.
Lee Hun-jeong's art world goes beyond simple landscape painting, containing a profound philosophical message that fuses nature, humanity, and spiritual beliefs. His unique "Atmospheric Perspective" opens up a new horizon for painting, offering viewers an opportunity for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and providing a deep resonance. His work will lead us on a journey to find true beauty and peace in a polluted modern society.
Curator's Evaluation and Inquiry
As a curator, I am deeply impressed by Lee Hun-jeong's unique approach to painting, particularly his "Atmospheric Perspective." His work successfully transcends the traditional function of perspective as a mere tool for spatial representation and transforms it into a powerful medium for expressing emotion and philosophical depth. The act of using a knife to capture and apply paint to suggest the movement of air is a fascinating and innovative technique.
My key questions are:
On the "Atmospheric Perspective": Can you elaborate on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his "Atmospheric Perspective" and the traditional aerial perspective found in art history? For instance, how does his approach specifically differ from the techniques of artists like Leonardo da Vinci, who used sfumato to create a sense of atmospheric distance and mystery?
Spiritual Influence: How does Lee Hun-jeong balance his conscious artistic choices with his belief that the "brush is the providence of God"? How does this spiritual surrender manifest in the finished work, and what is the artist's process for knowing when a piece is truly complete under this guidance?
The "Incomplete" Space: The text mentions that the "incomplete space" stimulates the viewer's imagination. As a curator, I see this as a powerful invitation for dialogue. How does the artist intentionally leave these "incomplete" spaces, and what specific elements or techniques are used to ensure these spaces feel purposeful rather than unfinished?
Dialogue with the Viewer: The final point mentions that the work encourages a "dialogue" with the viewer. Are there specific public programs, artist talks, or exhibition layouts that the artist or the gallery has implemented to facilitate this dialogue and help viewers connect with the deeper philosophical messages in his 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