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정 작가의 독특한 회화 세계를 탐구하는 큐레이터로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푸마토' 기법과 이훈정 작가가 제시하는 **'공기 원근법'**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합니다. 제공해주신 글을 바탕으로 두 기법의 핵심적인 차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푸마토 기법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용한 '스푸마토(sfumato)' 기법은 이탈리아어로 '연기처럼 사라지는'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합니다. 이는 멀리 있는 대상이 공기층으로 인해 흐릿하고 부드럽게 보이는 현상을 회화로 구현한 것입니다.
-.주요 목적: 대상의 윤곽선을 명확히 그리지 않고, 색과 색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흐려 신비롭고 입체적인 효과를 창출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기법적 특징: 붓을 사용하여 물감을 여러 번 덧칠함으로써 색상과 명도의 미묘한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이를 통해 형태가 뚜렷하지 않은 안개 낀 듯한 분위기 속에서 인물이나 풍경에 깊이감을 부여합니다.
-.철학적 관점: 자연 현상의 관찰을 기반으로 한 재현적 기법입니다. 공기 중의 습도나 먼지로 인해 물체가 멀어질수록 희미해지는 과학적 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2.이훈정 작가의 공기 원근법
이훈정 작가가 주장하는 '공기 원근법'은 전통적인 공기 원근법의 개념을 넘어서 감정과 철학을 담아내는 독자적인 표현 방식입니다. 제공해주신 글에 따르면, 그의 기법은 재현보다는 주관적 감정과 색채에 방점을 둡니다.
-.주요 목적: 단순한 공간 재현을 넘어, 작가의 내면적 감정과 철학을 색채로 표현하는 데 있습니다. '공기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작품에 영적인 서광과 생동감을 불어넣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법적 특징: 붓 대신 나이프를 사용하여 물감을 충분히 혼합한 후, 하늘에서 근경까지 듬직한 색면으로 빠르게 끌어내립니다. 이는 대상의 세밀한 묘사를 배제하고, 작가가 매료된 색채를 주관적으로 변형하여 형태감을 강조하는 방식입니다.
-.철학적 관점: '색채'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며,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강한 대비를 통해 작품에 담긴 영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하늘의 밝은 '서광'과 근경, 중경의 어두운 톤을 대비시켜 기독교적 상징성을 부각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자연의 근본 이치와 영적 깨달음을 회화로 환원시키려는 작가의 시도입니다.
3.두 기법의 논리적 차이점
구 분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푸마토(sfumato) | 이훈정 작가의 공기 원근법 |
목 적 | 재현적 관찰 (과학적 원리에 기반한 현실적 깊이 표현) | 관적 표현 (감정과 철학, 영적 메시지 전달) |
주요 요소 | 명암의 부드러운 전환 (색과 색의 경계를 흐려 신비감 연출) | 강렬한 색채 대비 (밝은색과 어두운색의 대비로 의미 강조) |
도구/기법 | 붓을 사용한 덧칠 (미묘한 그라데이션) | 나이프를 사용한 빠른 색면 처리 (거친 질감과 역동성) |
핵심 개념 | 신비로운 분위기와 입체감 (자연현상 재현) | 색채를 통한 영적 메시지 (내면의 감정 표출) |
Sheets로 내보내기
결론적으로, 다빈치의 스푸마토 기법이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재현하는 데 초점을 둔 서양 미술사의 전통적 원근법이라면, 이훈정 작가의 공기 원근법은 색채와 나이프 기법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영적 신념을 표현하는 독창적이고 주관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훈정 작가는 단순히 공기층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 공기 속에 담긴 '영적인 서광'을 색채로 표현하며 자연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이훈정 #공기원근법 #공기원근법화가 #이훈정 풍경화 #풍경화 # 성화#작가 #유명화가 #원로화가 #인기화가 #아트페인팅 #art #art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