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년 동안 니까야를 읽는 사람들 <니까야독송회>
니까야’는 빨리어로 ‘아함’을 뜻하는 말로 부처님의 원음을 모아놓은 경장이다. 즉 초기불교 경전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디까니까야」, 「맛지마니까야」, 「쌍윷다니까야」, 「앙굿따라니까야」, 「굿따까니까야」 등, 내용의 길고 짧음에 따라 5부로 구성돼 있다.
2006년 12월 시작한 ‘니까야독송회’는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동산반야회 법당에서 전재성 박사가 번역한 「쌍윷다니까야」를 교재로 공부모임을 열고 있다. 지도 법사인 이미령 역경위원이 먼저 읽을 경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나오는 인물과 설해진 계기, 기억해야 할 부분 등을 소개한 다음 함께 1시간여 동안 큰 소리를 내어 경전을 읽는다. 그러고 나서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대답하는 시간을 갖는다.
2013년까지 7년 동안 니까야를 꾸준히 읽겠다는 원력을 세운 니까야독송회는 단순한 경전읽기 모임에서 벗어난 신행결사로 주목받고 있다. 니까야를 공부하면서, 불교에 대해 내가 뭘 알고 싶은지를 스스로 깨달아 더 공부하겠다는 발심을 하고 부처님 말씀을 실천에 옮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였기 때문이다. 단순히 교리를 배우는 차원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연결시키고, 경전에 나오는 단어들을 사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단어가 상징하는 정신세계까지 파악해 내 것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피상적이고 현학적으로 불교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깊은 세계에 자신의 발자국을 남기면서 걸어가고 싶다는 것이 최종 목표다.
이미령 법사는 “불교 강의 하면 강사가 요약해 입에 넣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자신의 진정한 자양분이 될 수 없다. 단어 하나하나를 함께 소리 내 읽으며 그 뜻을 음미하고 스스로 느끼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해나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경전에서는 같은 내용이 수없이 반복되는데 단어의 뜻 하나하나가 바뀌어가는 것을 설명 들어 그 배경을 이해하다 보면 어느새 그 미묘한 차이가 스스로 느껴지게 된다는 의미다.
안순자 불자(69·마포구 성산2동)는 “비슷한 내용이 자꾸 되풀이되는 것이 처음에는 짜증났으나 이제는 그 법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마음으로 알 것 같다”면서 “되풀이해서 읽을수록 의미가 다가오고, 다른 책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겨 아들에게 가끔 불서를 사오라고 한다”고 밝혔다.
이미령 법사는 “수행 하면 절이나 참선, 염불만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경을 읽는 것도 훌륭한 수행으로, 부처님 당시 스님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집중해서 받아 지녔고 그 가르침의 내용을 끊임없이 생각했다는 것을 유념해야 된다”고 말한다.
단지 읽는 것에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왜 이런 질문을 던졌을까?’, ‘왜 이렇게 대답했을까?’ 등등을 자꾸 생각해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렇게 하다보면 경전 보는 눈이 밝아지고 경전의 구조를 파악하게 되며 자연적으로 불교만의 특징을 알게 되고 불교 공부에의 신심이 배가된다.
이미령 법사는 “경전을 되풀이하여 읽다보면 처음에는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도 다시 읽으면 뭔가 느껴지는 것이 있을 것”이라며 ”일과 삼아 꾸준히 읽는 것이 중요하고 스스로 느끼고 답을 찾는 그것이 바로 수행’ 이라고 강조한다.
독송회에 참여하는 것이 “마치 부처님의 생생한 육성을 듣는 것 같아 좋다”는 박영철 거사(54·서초구 반포동)는 “7년 후 『아함경』을 끝내면 『대승경전』도 읽어볼 계획”이라고 의욕을 보였다.
니까야독송회 회장 김영수 거사(37·경기도 덕양구 화정동)는 “읽다보니 아난이나 가섭 존자가 마치 할아버지처럼 생각돼 친근하면서도 진한 감동이 느껴진다”면서 “니까야 공부를 하다보니 나의 전공인 불교미술 제작에도 새로운 눈이 떠진다”고 밝혔다. ● 니까야독송회 (02)732-1206, 010-2209-9550(김영수) 취재·글_이정은(불교와 문화 2008년 1월호)
|
첫댓글 3월 6일 목요일 오후 7:00 3권을 시작합니다. 전재성 선생님 특강도 함께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