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상 미술 부문 최종 후보작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2025 Finalists (Fine Art) August 20, 2025 Edit By Choon Sorce: oceanographicmagazine.com 오셔노그래픽 매거진(Oceanographic Magazine; 해양학 잡지) 주최 측은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 대회 최종 후보작을 공개했으며, 수천 장의 출품작 중 미술 사진작가상 사진의 일부가 선정되었다. The finalist selections in this year’s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competition were just revealed by contest organizers at Oceanographic Magazine, and feature some of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photographs chosen from thousands of submissions. 1.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Ysabela Coll Mexico. "With a powerful sweep of its pectoral fins, a stingray vanishes into the blue, leaving behind a swirling cloud of sand," says Coll. "This dramatic burst isn’t just beautiful—it’s a survival tactic. The stingray’s sudden movement disturbs the seafloor, creating a dense visual barrier that confuses predators and conceals its escape. In a single graceful motion, it demonstrates a remarkable adaptation for life on the ocean floor—where defence, camouflage, and movement come together in a fleeting but unforgettable display." © Ysabela Coll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멕시코에서 이사벨라 콜(도미니카). "가오리가 가슴지느러미를 강력하게 휘두르며 푸른 바다 속으로 사라지고, 그 뒤에는 소용돌이치는 모래 구름을 남긴다"라고 콜은 말한다. "이 극적인 폭발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가오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해저를 교란시켜 포식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탈출구를 숨기는 두꺼운 시각적 장벽을 만든다. 단 한 번의 우아한 움직임으로 해저 생활에 대한 놀라운 적응력을 보여준다. 방어, 위장, 그리고 움직임이 어우러져 덧없지만 잊을 수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2.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Rafael Armada South Georgia Island. "My short time on South Georgia Island was intense," says Armada. "On the final morning, just hours before departure to Gough Island, I wandered along the beach with no intention of photographing, only observing. I noticed how the waves left behind ephemeral mirrors on the black sand, disappearing as fast as they appeared. A lone penguin stood still in the calm, and for a moment, the reflection was perfect. The cold air, changing clouds, and fleeting light made everything feel transitive. I raised the camera almost instinctively, knowing that this stillness wouldn’t happen again." © Rafael Armada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상 최종 후보작, 사우스조지아 섬에서 라파엘 아르마다(스페인). 아르마다는 "사우스조지아 섬에서 보낸 짧은 시간은 정말 강렬했다"라고 말한다. "마지막 날 아침에 고프 섬으로 떠나기 몇 시간 전, 사진을 찍을 생각은 전혀 없이 해변을 거닐며 관찰만 했다. 파도가 검은 모래 위에 덧없는 거울을 남기고, 나타난 것만큼 빠르게 사라지는 것을 보았다. 외로운 펭귄 한 마리가 고요함 속에 멈춰 서있었는데, 그 거울에 비친 모습이 잠시 완벽했다. 차가운 공기, 시시각각 변하는 구름, 그리고 덧없이 사라지는 빛은 모든 것을 순간적으로 느끼게 했다. 이런 고요함이 다시는 오지 않을 거라는 것을 알기에 거의 본능적으로 카메라를 들었다." 3.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Marcia Riederer Australia. "Dwarf minke whales are known to visit the northern Great Barrier Reef during the winter, making it the only known predictable aggregation of these whales in the world," says Riederer. "These curious giants approach swimmers with an almost playful curiosity. Floating in the turquoise water, watching a sleek, dark body glide effortlessly towards you, its eye meeting yours in a moment of connection. The whales, seem to acknowledge your presence, circling and interacting with you. It's a humbling experience, reaffirming the wonder of the ocean and its inhabitants, and the urgent need to conserve it." © Marcia Riederer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호주에서 마르시아 리더러(호주). 리더러는 "난쟁이 밍크고래(북방밍크고래)가 겨울에 북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예측 가능한 고래들의 집합체이다"라고 말한다. "이 호기심 많은 거인들은 거의 장난기 어린 호기심으로 수영객에게 다가온다. 청록색 바닷물에 떠 있는 매끈하고 어두운 몸체가 당신을 향해 미끄러지듯 다가오며, 그 눈은 당신과 마주치며 교감하는 순간을 선사한다. 고래들은 당신의 존재를 인지하고, 맴돌며 당신과 소통하는 듯하다. 이는 겸손해지는 경험이며, 바다와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경이로움과 이를 보존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밍크고래 또는 북방밍크고래(Balaenoptera acutorostrata)는 수염고래아목에 속하는 밍크고래의 한 종이다. 이 종은 긴수염고래류 중 가장 작은 종이며, 수염고래 중에서도 두 번째로 작은 종이다. 처음에는 크기가 작고 기름 생산량이 적어 포경선에서 외면당했지만, 20세기 초부터 여러 나라에서 포경하기 시작했다. 다른 종들이 감소함에 따라 북방밍크고래는 주로 고기 목적으로 더 많이 포획되었다. 현재 북방밍크고래는 포경 산업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남반구에는 왜소한 형태가 있다. 이 종은 플리오세부터 제4기까지(연대: 36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화석 기록에 남아있다. 4.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Toni Bertran Regàs Spain. "I've always been fascinated by the resemblance between jellyfish and space rockets," says Bertran Regàs. "I was looking for a photograph that conveyed that connection: a rocket leaving Earth. To do this, I used a fisheye lens and took the photo just as the sun was rising. Snell's Window helped me create the Earth, the particles were the stars, and the sun luckily appeared behind it. I don't think I'll ever be as close to space as I was that day." © Toni Bertran Regà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스페인에서 토니 베르트란 레가스(스페인). "나는 해파리와 우주 로켓의 유사성에 항상 매료되었다." 베르트란 레가스는 말한다. "나는 그 연관성을 전달하는 사진을 찾고 있었다. 지구를 떠나는 로켓의 사진이다. 이를 위해 어안 렌즈를 사용하여 해가 뜨는 순간 사진을 찍었다. 스넬의 창문은 내가 지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고, 그 입자들은 별이었으며 다행히 태양은 그 뒤에 나타났다. 그날처럼 우주에 가까이 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5.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Dylan de Haas Australia." While driving along the beach with my family, I noticed a manta ray just beyond the shoreline," says de Haas. "I launched the drone and discovered five of them cruising no more than five metres from shore. Calm water, soft waves, and pristine clarity made this rare sight possible. Moments like this are a gift, but also a reminder of what’s at stake. These gentle giants face increasing pressure from warming seas and human impact. To witness them so close, undisturbed, was powerful. We swam alongside them later, humbled by their presence. This image captures that still, fleeting connection with the wild." © Dylan de Haa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상 최종 후보작, 호주에서 딜런 드 하스(호주). "가족과 함께 해변을 따라 운전하던 중 해안선 바로 너머에 쥐가오리 한 마리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라고 드 하스는 말한다. "드론을 띄우자 해안에서 5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다섯 마리가 헤엄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잔잔한 물, 부드러운 파도, 그리고 깨끗한 투명함 덕분에 이 보기 드문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이런 순간은 선물과도 같지만, 동시에 무엇이 위태로운지를 일깨워준다. 이 온순한 거인들은 수온이 올라가는 바닷물과 인간의 영향으로 점점 더 큰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을 그렇게 가까이서,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지켜보는 것은 강렬한 경험이었다. 나중에 우리는 쥐가오리 옆에서 수영하며 그들의 존재에 겸허해졌다. 이 사진은 야생과의 고요하고 덧없는 유대감을 포착하고 있다." 6.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Jade Hoksbergen Philiippines. "This image features a tiny juvenile candy crab, measuring a mere centimetre in size and perched on her pink coral mattress, which is also her favourite source of nutrition," says Hoksbergen. "This dinky but stunning crustacean evades predators and spectators alike not only due to its miniature stature, but its camouflage. The candy crab is a true hidden gem beneath the waves of the Tañon Strait in the Philippines, where this image was taken." © Dylan de Haa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상 최종 후보작, 필리핀에서 제이드 혹스버겐(타이완). "이 사진은 크기가 겨우 1cm밖에 되지 않는 아주 작은 어린 캔디 크랩이 분홍색 산호 매트리스 위에 앉아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매트리스는 캔디 크랩(사탕 게)이 가장 좋아하는 영양 공급원이기도 하다"라고 혹스버겐은 말한다. "이 작지만 아름다운 갑각류는 작은 체구뿐만 아니라 그 위장술 덕분에 포식자와 구경꾼 모두를 피한다. 캔디 크랩(사탕 게)은 이 사진이 촬영된 필리핀 타뇬 해협의 파도 아래 숨겨진 진정한 보석이다." 🦀캔디 크랩(Hoplophrys oatesi)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연산호에 서식하는 작지만 아름다운 갑각류이다. 사탕 게, 오츠 연산호 게, 공생 연산호 게 및 덴드로네프티아(Dendronephthya; 수지맨드라미) 게로도 알려졌다. 껍질 색깔을 바꾸고 산호 폴립을 껍질에 부착하여 위장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7.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Joaquin Fregoni French Polynesia. "I took this photo during one of the most special encounters I’ve had in years," says Fregoni. "This curious female whale kept coming back to us, very close, again and again. It was just my group, her, and a male watching quietly from a distance, around 20m deep. He never came closer, but he didn’t leave either." © Joaquin Fregon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호아킨 프레고니(아르헨티나). "수년 만에 가장 특별한 만남 중 하나에서 이 사진을 찍었다"라고 프레고니는 말한다. "이 호기심 많은 암컷 고래는 계속해서 우리에게 다가왔고, 아주 가까이 다가왔다. 우리 무리와 암컷 고래, 그리고 수컷 고래 한 마리가 약 20m 수심에서 멀리서 조용히 지켜보고 있었다. 수컷 고래는 더 가까이 오지도 않았지만, 떠나지도 않았었다." 8.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Luis Arpa Toribio Indonesia. "This is an image of a juvenile Pinnate Batfish captured using a slow shutter speed, snooted light, and deliberate camera panning to create motion and drama," says Arpa Toribio. "Juveniles are known for striking black bodies outlined in vibrant orange - a coloration lost within months. I encountered this restless subject in the tropical waters of Indonesia’s Lembeh Strait. Capturing the image required patience and persistence over two dives, as these active young fish constantly dart into crevices for cover, making the shot particularly challenging to execut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sh’s natural behaviour." © Luis Arpa Toribio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상 최종 후보작, 인도네시아에서 루이스 아르파 토리비오(스페인). "저속 셔터, 코를 내민 빛, 그리고 의도적인 카메라 패닝으로 움직임과 드라마를 연출하여 포착한 어린 제비활치(Pinnate spadefish) 사진이다"라고 아르파 토리비오는 말한다. "어린 물고기는 강렬한 주황색 윤곽이 돋보이는 검은 몸으로 유명하지만, 이 색깔은 몇 달 만에 사라진다. 나는 인도네시아 렘베 해협의 열대 해역에서 이 쉴 새 없는 모습을 발견했다. 이 사진을 포착하려면 두 번의 다이빙을 거치는 동안 인내심과 끈기가 필요했다. 이 활동적인 어린 물고기는 끊임없이 틈새로 뛰어들어 몸을 숨기기 때문에 물고기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촬영하기가 특히 어려웠다." 🐟제비활치(Pinnate spadefish, 플라탁스 피나투스)는 긴지느러미박쥐고기(longfin batfish), 깃꼴스페이드피시(pinnate spadefish), 깃꼴박쥐고기(pinnate batfish), 깃꼴박쥐고기(pinnate batfish), 깃꼴박쥐고기(pinnatus batfish), 더스키박쥐고기(dusky batfish), 그늘박쥐고기(shaded batfish), 또는 붉은얼굴박쥐고기(red-faced batfish)로도 알려져 있으며, 에피피데(Ephippidae)과에 속하는 해양 조기어류이다. 이 종은 서태평양에서 발견되며, 때때로 해양 수족관에서 사육된다. 제비활치(Pinnate spadefish, 플라탁스 피나투스)는 1758년 칼 린네(Carl Linnaeus)가 자연계(Systema Naturae) 제10판에서 채토돈 핀나투스(Chaetodon pinnatus)로 처음 공식적으로 기술했으며 기준표본 지역은 "인도 제도"로 지정되었다. 이 종은 광선지느러미 물고기(모로니목, Moroniformes)목의 활치과(Ephippidae)과에 속하는 제비활치속(Platax)으로 분류된다. 종명인 피나투스(pinnatus)는 "지느러미가 있는"을 의미하며 특히 어린 개체의 매우 긴 등지느러미와 항문지느러미를 암시한다. 9.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Romain Barats Antarctica. "I’ve always been fan of minimalist photography," says Barats. "When I discovered the Antarctic peninsula, I immediately saw the potential for creative pictures. If I were to choose the ultimate photographic cliché to represent this place, it would be penguins on an iceberg. To achieve the minimalist style I was searching for, I framed a small lonely penguin in the corner of the image, with the iceberg filling the frame entirely to highlight the vastness of these pieces of ice." © Romain Barat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남극에서 호만 바하(프랑스). "나는 항상 미니멀리스트 사진의 팬이었다"라고 바하는 말한다. "남극 반도(南極半島)를 발견했을 때, 창의적인 사진의 잠재력을 바로 알아챘다. 이곳을 표현할 최고의 사진적 클리셰(상투적인)를 꼽는다면, 바로 빙산(氷山) 위의 펭귄일 것이다. 내가 추구했던 미니멀리스트 스타일을 구현하기 위해, 작고 외로운 펭귄을 사진 구석에 배치하고, 빙산(氷山)이 프레임 전체를 채워 이 얼음 조각들의 광활함을 더욱 강조했다." 10.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Scott Portelli Antarctica. "Weddell seals thrive in the harshest environment on the planet," says Portelli. "These large mammals, distributed throughout Antarctica, have a thick layer of fur and blubber that act both as a food reserve and insulation. The finely packed fur allows them to survive in temperatures as low as -60 degrees Celsius. This image was taken after this seal had hauled itself out of the water and onto the ice floe to rest. It would later return to the icy depths of Antarctica to hunt." © Scott Portell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상 최종 후보작, 남극에서 스콧 포텔리(호주). 포텔리가 "웨들해물범은 지구상에서 가장 혹독한 환경에서도 잘 살아간다"라고 말한다. "남극 전역에 분포하는 이 대형 포유류는 두꺼운 털과 지방층을 가지고 있어 먹이 저장고이자 단열재 역할을 한다. 촘촘하게 뭉친 털 덕분에 영하 60°C의 추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 사진은 웨들해물범이 물 밖으로 나와 유빙(流氷) 위로 올라와 휴식을 취한 후 촬영되었다. 이후 웨들해물범은 사냥을 위해 남극의 얼음 깊은 곳으로 돌아갔다." 🦭웨들해물범(Leptonychotes weddellii)은 비교적 크고 개체 수가 많은 진물범으로, 남극대륙을 둘러싼 극지방에 분포한다. 웨들해물범은 1820년대 영국의 물개잡이 선장 제임스 웨들(James Weddell)이 이끄는 탐험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당시 탐험대는 현재 웨들해로 알려진 남극해 일대를 탐험했다. 이 종의 생활사는 남극대륙 근처, 그리고 남극 기지와 인접한 급속 빙하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레프토니코테스속(Leptonychotes)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 11.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Tim Burgess Australia. "During the annual whale migration, over 40,000 humpback whales travel along the east coast of Australia," says Burgess. "This is a special time that I love documenting. On this occasion, it was an overcast start to the day with not many whales visible due to the conditions. Then, I noticed this humpback travelling with her calf and began watching their behaviour, slowly rising above the surface, bridging the world between land and sea, before silently disappearing back into the depths of the Pacific." © Tim Burges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 작가 최종 후보작, 호주에서 팀 버지스(호주). 버지스는 "매년 고래 이동 기간 동안 4만 마리가 넘는 혹등고래가 호주 동부 해안을 따라 이동한다"라고 말한다. "내가 기록하는 것을 좋아하는 특별한 시기이다. 이번에는 날씨가 흐려 하루가 시작되었고, 기상조건 때문에 고래를 많이 볼 수 없었다. 그러다 새끼와 함께 이동하는 혹등고래를 발견하고 그들의 행동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천천히 수면 위로 떠오르며 육지와 바다를 잇는 다리를 만든 후, 조용히 태평양 깊은 곳으로 다시 사라졌다." 12. Finalist Fine Art Photographer of the Year, Hitomi Tsuchiya Japan. "This image was taken near Mount Iwo on Satsuma-Iojima Island, where the underwater aurora can be seen," says Tsuchiya. "The volcano spews out iron-rich substances not only from above ground but also from the ocean floor, creating these rich colours. I hope this images pushes people to think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global warming and marine conservation. We must preserve these mysterious and fantastical landscapes, created by land and sea, for future generations." © Hitomi Tsuchiya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올해의 미술 사진작가 최종 후보작, 일본에서 츠치야 히토미(土屋仁美, 일본). "이 사진은 수중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사쓰마 이오지마 섬의 이오산(薩摩硫黄島の硫黄山) 근처에서 촬영되었다"라고 츠치야는 말한다. "이 화산은 지상뿐만 아니라 해저에서도 철분이 풍부한 물질을 분출하여 이처럼 풍부한 색을 만들어낸다. 이 사진들이 사람들에게 지구 온난화와 해양 보호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하게 하기를 바란다. 우리는 육지와 바다가 만들어낸 이 신비롭고 환상적인 풍경을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해야 한다."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