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상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2025 Finalists (Wildlife) August 20, 2025 Edit By Choon Sorce: oceanographicmagazine.com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 대회의 최종 후보작들이 공개되었으며, 출품작 중에는 미술, 야생동물, 모험, 환경보호(영향력), 환경보호(희망), 인간 관계상: 사람과 바다, 청소년 부문의 사진들이 선정되었다. 오셔노그래픽 매거진(해양학 잡지) 주최 측에서 올해 선정된 작품들을 아래와 같이 공유하도록 했다. The finalist entries in the current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competition were just revealed, featuring some of the best Fine Art, Wildlife, Adventure, Conservation (Impact), Conservation (Hope),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Young People photographs selected from submissions. Contest organizers at Oceanographic Magazine were kind enough to share some of this year’s selections below. 1.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Japan by Takumi Oyama. "This photo shows the larval dispersal behaviour observed during the hatching of the yellow pigmy goby," says Oyama. "In gobiid fishes, male parental care is common, but unusually, in the yellow pigmy goby, females also participate in parental hatching care. This individual is a female, releasing newly hatched larvae into the water column from her mouth." © Takumi Oyama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일본에서 오야마 타쿠미(大山拓海)가 촬영. "이 사진은 노랑피그미망둑어의 부화 과정에서 관찰된 유생 분산 행동을 보여준다"라고 오야마는 말한다. "망둑어류에서는 수컷이 어미를 돌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노랑피그미망둑어에서는 드물게 암컷도 어미의 부화 돌봄에 참여한다. 이 개체는 암컷으로, 갓 부화한 유생을 입에서 물속으로 방출한다." 🐠노랑 클라운 망둑어(Gobiodon okinawae)는 오키나와 망둑어 또는 노랑 산호 망둑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일본 남부에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남부까지 서태평양에 서식하는 망둑어과의 일종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밝은 노란색을 띠며 양쪽 뺨에 희끄무레한 반점이 있다. 오키나와 망둑어(G. okinawae)는 일반적으로 등가시 7개, 등가시 10개, 항문가시 1개, 항문연조 9개로 구성된 방추형이다. 성숙하면 길이가 3.5cm에 이른다. 또 다른 종인 감귤망둑어(Gobiodon citrinus)는 오키나와 망둑어(Gobiodon okinawae)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키나와 망둑어는 독망둑어(Gobiodon citrinus)의 필수적인 파란색과 흰색 얼굴 무늬가 없다. 이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공격적이지는 않지만, 동족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포식자에 대한 이들의 주요 방어 수단은 피부에 있는 독성이 강하고 쓴 점액으로, 이로 인해 맛이 없다. 2.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United Kingdom by Matthew Watkinson. "I'd definitely have dropped the fish," says Watkinson. "I'd probably have given this Greater Black-backed Gull my money, watch and keys too, such was the loud, determined ferocity of its attack. When puffins are feeding chicks, gulls cruise around nesting sites looking for adults returning with fish to harass and rob." © Matthew Watkinson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영국에서 매튜 왓킨슨(UK)이 촬영. "나는 분명히 물고기를 떨어뜨렸을 것이다"라고 왓킨슨이 말한다. "나는 아마도 이 큰검은등갈매기에게 내 돈, 시계, 열쇠도 주었을 것이다. 그 공격의 시끄럽고 단호한 맹렬함도 마찬가지였다. 바다쇠오리가 새끼에게 먹이를 줄 때, 갈매기는 둥지 주위를 순회하며 괴롭히고 강탈할 물고기를 가지고 온 어미새를 찾고 있다." 3.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Indonesia by Alexis Chappuis. Thousands of Skeleton shrimps have entirely colonised a gorgonian coral in North Sulawesi, Indonesia. "These crustaceans are actually not true shrimps but amphipods of the Genus Caprella," says Chappuis. "As these animals feed on plankton, they should not impact their host. However, in this case, there were so many of them that they may be the reason why the Gorgonian's polyps were all retracted. Could this impact the feeding efficiency of their soft coral host?" © Alexis Chappui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인도네시아에서 알렉시 샤피(프랑스)가 촬영. 수천 마리의 바다대벌레(해골새우)가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의 고르곤 산호초에 완전히 서식했다. 샤피는 “이 갑각류는 실제로 진짜 새우가 아니라 카프렐라속(Caprella, 대형 골격새우속)의 양각류이다”라고 말한다. "이 동물들은 플랑크톤을 먹기 때문에 숙주에게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플랑크톤이 너무 많아서 고르고니안의 폴립이 모두 수축된 이유일 수 있다. 이것이 연산호 숙주의 먹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고르고니안 폴립(gorgonian's polyp)은 군체성 팔산호인 고르고니안(또는 부채꼴 산호)의 깃털 같은 촉수를 가진 개별 개체이다. 이 개별 폴립은 여덟 개의 가지가 갈라진 촉수를 가지고 있으며, 고르고닌이라는 질기고 유연한 내부 단백질 막대에 의해 지탱되고, 수류에서 나오는 입자를 여과 섭취한다. 4.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USA by Yifan Ling. "This photo, taken on July 13, 2024, captures one-year-old Bigg’s orca T065B3 - known as 'Rook' - near Bird Rocks, WA," says Ling. "Against the glowing sunset, Rook proudly displays a harbour seal he found while his family patrolled nearby and later helped him capture. At this age, orcas typically rely on milk and rarely hunt alone, making this moment especially impressive. His emerging skill highlights the ecological richness of the Salish Sea, where both harbour seal and Bigg’s orca populations have rebounded thanks to the Marine Mammal Protection Act of 1972 - a testament to the impact of long-term conservation efforts." © Yifan Ling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미국에서 링 이판(凌一帆, 중국)이 촬영. "2024년 7월 13일에 촬영된 이 사진은 워싱턴주 버드 록스 근처에서 '룩'으로 알려진 한 살배기 빅이란 범고래 T065B3를 포착했다"라고 링(凌)은 말한다. "빛나는 석양을 배경으로 범고래 룩은 가족이 근처를 순찰하던 중 발견하여 나중에 포획을 도운 점박이물범을 자랑스럽게 보여준다. 이 시기의 범고래는 일반적으로 우유에 의존하고 혼자 사냥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이 순간은 특히 인상적이다. 그의 새로운 기술은 1972년 해양 포유류 보호법 덕분에 점박이물범과 빅 범고래 개체 수가 회복된 살리시海의 생태적 풍요로움을 보여준다. 이는 장기적인 보존 노력의 효과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5.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Russia by Andrey Shpatak. "I've been diving in the Rudnaya Bay area for more than 40 years, but I've never seen a pea crab," says Shpatak, "I was lucky. Pea crabs spend most of their lives inside the shells of grey mussels, a symbiotic relationship that only ends when the mussel or crab dies. I can only assume that this pea crab was looking for a home when I managed to photograph it." © Andrey Shpatak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러시아에서 안드레이 슈파탁(러시아)이 촬영. 슈파탁은 "40년 넘게 루드나야灣 지역에서 잠수을 했지만 완두콩 게를 본 적이 없다."라고 말하며, "운이 좋았다. 완두콩 게는 대부분의 삶을 회색 홍합 껍데기 안에서 보내는데, 이 공생관계는 홍합이나 게가 죽으면 끝나기 때문이다. 내가 이 완두콩 게를 촬영했을 당시, 이 완두콩 게는 집을 찾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6.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Galapagos by Arturo de Frias. "Marine iguanas, endemic to the Galapagos, are one of the most iconic species in the archipelago," says de Frias. "They are like miniature dragons, especially in low angle eye-to-eye portraits like this one. This individual was resting on the black rocks of Santa Cruz Island, sunbathing after a foraging dive. By sheer luck, I photographed the split-second in which it was sneezing the excess salt it had absorbed during its dive. Sneezing is not a discomfort signal, it is perfectly natural behaviour. I made sure not to disturb the animal, shooting from a very safe distance, using a 600mm lens." © Arturo de Fria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아르투로 데 프리아스(스페인)가 갈라파고스에서 촬영. "갈라파고스 고유종인 바다이구아나는 이 군도에서 가장 상징적인 종 중 하나이다"라고 데 프리아스는 말한다. "이 사진처럼 낮은 각도에서 눈을 마주치며 찍은 사진에서는 마치 작은 용과 같다. 이 개체는 산타크루즈 섬의 검은 바위 위에서 먹이 활동 잠수 후 일광욕을 즐기고 있었다. 운 좋게도 나는 잠수 중 흡수한 과도한 소금기를 재채기하는 순간을 포착했다. 재채기는 불편함의 신호가 아니라 지극히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600mm 렌즈를 사용하여 매우 안전한 거리에서 촬영하면서 이 동물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했다." 7.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Australia by Daniel Sly. "Each summer, male eastern gobbleguts carry their eggs in their mouths throughout the brooding season," says Sly. "Typically active at night, they remain shy and quick to hide, darting into crevices or kelp at the first sign of disturbance. This portrait was captured during a night dive beneath a busy fishing and ferry wharf in Sydney Harbour. After a long, patient wait, the gobbleguts finally emerged from the shadows. I used a narrow beam of light from above to softly illuminate the fish and its egg clutch helping it stand out from the cluttered background." © Daniel Sly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대니얼 슬라이(호주)가 호주에서 촬영. "매년 여름, 수컷 동부 고블갓(동갈돔과)은 산란기 내내 알을 입에 물고 다닌다"라고 슬라이는 말한다. "보통 밤에 활동하며, 수줍음을 많이 타고 재빨리 숨으며, 방해 조짐이 보이면 틈새나 다시마 속으로 쏜살같이 들어간다. 이 사진은 시드니港의 번화한 어선 및 페리 부두 아래에서 야간 잠수를 하면서 촬영했다. 오랜 기다림 끝에 가블거트들이 마침내 그림자에서 나왔다. 위에서 좁은 광선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알 뭉치를 부드럽게 비추어 어수선한 배경에서 눈에 띄도록 했다." 8.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Tasmania, Australia at by Daniel van Duinkerken. A Rakali, a semi-aquatic rodent native to Australia, runs toward to the ocean in search of food. "I wanted to get a shot of a running Rakali, showcasing the contrasting colours of the orange belly and the blueish wet sand and water," says van Duinkerken. "I planned on panning along with the running Rakali, using a slow shutter speed. The panning along was hopefully going to create some streaking motion blur, and the flashes would freeze the details of the Rakali at the end of the exposure. I waited in silence and dead still at this spot for hours over several nights to get this shot." © Daniel van Duinkerken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대니얼 밴 두인커켄(호주)가 호주 태즈메이니아에서 촬영. 호주에 서식하는 반수생 설치류인 라칼리(호주물쥐)가 먹이를 찾아 바다로 달려간다. 밴 두인커켄이 "주황색 배와 푸른빛이 도는 젖은 모래와 바닷물의 대조적인 색깔을 보여주는 라칼리가 달리는 모습을 촬영하고 싶었다"라고 말한다. "저속 셔터를 사용하여 달리는 라칼리(호주물쥐)를 따라 패닝 촬영을 할 계획이었다. 패닝 촬영을 통해 흐릿한 모션 블러가 만들어지고, 플래시를 사용하면 노출이 끝날 때 라칼리(호주물쥐)의 디테일이 고정될 수 있기를 바랐다. 이 사진을 찍기 위해 며칠 밤 동안 이곳에서 몇 시간 동안 조용히 기다렸다." 9.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USA at by Kat Zhou. An opportunistic pelican swoops in to steal a fish from strand-feeding dolphins. "When dolphins strand-feed, they corral baitballs of fish and rush them onto the shore," says Zhou. "Pelicans usually lurk nearby, hoping to take advantage of an easy meal. Following the pelicans is usually a good indicator of where along the beach the dolphins might strand next. Though there are around 350 dolphins that call South Carolina home, this rare strand feeding behaviour is only performed by a few members of one pod." © Kat Zhou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캣 저우(미국)가 미국에서 촬영. 기회를 노리는 펠리컨이 물고기를 해변으로 몰아 잡는(스트랜드 피딩) 돌고래에게서 물고기를 훔치러 급습한다. 캣 저우는 "돌고래가 물가에서 먹이를 먹을 때는 물고기 떼를 모아 해변으로 몰아넣는다"라고 말한다. "펠리컨은 보통 근처에 숨어 있다가 손쉬운 먹이를 노린다. 펠리컨을 따라가는 것은 돌고래가 해변을 따라 어디에 도착할지 예측하는 좋은 지표이다. 사우스캐롤라이나에는 약 350마리의 돌고래가 서식하지만, 이처럼 드물게 물가에서 먹이를 찾는 행동은 한 무리의 소수 구성원만이 한다." 🐬스트랜드 피딩(Strand feeding, 물고기를 해변으로 몰아 잡기)은 돌고래, 특히 대서양 병코돌고래가 물고기를 해안으로 몰고 간 후 의도적으로 해변으로 이동하거나, 스트랜드(해변)에 올라와 먹이를 잡는 독특한 사냥 행동이다. 이러한 협력적인 행동은 돌고래들이 힘을 합쳐 파도를 만들어 물고기를 해안으로 밀어내고, 물고기는 물 밖으로 뛰어올라 먹이를 잡는다. 10.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USA by Richard Smith. "After years of studying the true pygmy seahorses, I finally encountered this dwarf seahorse during some down time at a Florida conference," says Smith. "Although their conservation status is ‘Least Concern’, few people see them in the wild due to their incredible camouflage. The true pygmies have several adaptations for life in miniature and although Hippocampus zosterae is equally small it doesn’t share these extreme specialisations. Endemic to Florida and Gulf of Mexico waters, these tiny seahorses require a keen eye to locate. I found a pair thriving in 1-2 feet of water. This female was accompanied by her pregnant male partner, but only her colour matched the emerald green Halimeda algae she was clinging to." © Richard Smith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리처드 스미스(미국)가 미국에서 촬영. 스미스는 "진짜 피그미해마를 수년간 연구한 끝에 플로리다주 컨퍼런스에서 잠시 쉬는 시간에 이 난쟁이 해마를 우연히 발견했다."라고 말한다. "이 해마의 보존 상태는 '관심 필요'이지만, 놀라운 위장술 때문에 야생에서 이 해마를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진짜 피그미해마는 작은 환경에서의 삶에 적응하는 데 여러 가지 적응력을 가지고 있으며, 해마(Hippocampus zosterae)도 크기는 작지만 이러한 극단적인 특수성을 공유하지는 않는다. 플로리다와 멕시코灣 해역 고유종인 이 작은 해마는 찾으려면 예리한 눈이 필요하다. 나는 30~60cm 깊이의 물에서 번성하는 한 쌍을 발견했다. 이 암컷은 임신한 수컷 파트너와 함께 있었지만, 암컷의 색깔만 그녀가 매달려 있던 에메랄드 그린 할리메다 해초와 일치했다." 🌊🎠피그미 해마는 해마목(Syngnathid) 또는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여러 종의 작은 해마로 이루어져 있다. 실고기과(Syngnathidae)과는 실고기목(Syngnathiformes)에 속하며, 이 목은 융합된 턱을 가진 어류로, 관 모양의 입으로 먹이를 빨아들인다. 피그미 해마는 동남아시아 산호 삼각지대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해마 종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키가 2cm(0.79인치) 미만이다. 과학계에 알려진 최초의 피그미 해마는 히포캄푸스 바르기반티(Hippocampus bargibanti)였다. 2000년 이후에는 최소 6종이 더 명명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종은 부채산호에서만 서식하며, 부채산호와 색깔과 외관이 일치한다. 피그미 해마의 위장술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실험실에서 숙주 해마를 검사할 때만 발견되었다. 1969년 뉴칼레도니아의 과학자 조르주 바르지반트는 누메아 박물관을 위해 무리셀라속(Muricella spp.) 고르고니아 표본을 수집하던 중, 해부 테이블 위에 작은 해마 한 쌍을 우연히 발견했다. 이듬해 휘틀리는 이 해마들을 바르지반트 피그미 해마(Bargibant's pygmy seahorse)로 공식 명명했다. 다른 종들은 연산호에 서식하거나 해초와 해조류 사이에서 자유롭게 생활한다. 🫧할리메다(Halimeda)는 전 세계 열대 해양에서 발견되는 녹색 석회질 거대조류로, 해양 수족관에 아름다운 장식용 식물이다. 할리메다의 불규칙한 타원형 부분은 여러 개의 작은 녹색 동전이 끝에서 끝까지 붙어 사슬을 형성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할리메다는 "돈이 나는 식물(Money Plant)"이라고도 불린다. 석회질 조류는 조직에 탄산칼슘을 축적하며, 번성하려면 수족관에 충분한 칼슘이 필요하다. 할리메다는 일반적으로 해양 수족관에서 강건하며, 이를 먹이로 삼는 물고기는 거의 없다. 인접한 산호나 무척추동물에 해를 끼치는 침입성 식물이 아니다. 빛 외에도 성장에 충분한 칼슘이 필요하다. 다른 조류에 비해 높은 질산염이나 인산염 농도에 대한 내성이 약하다. 또한 과도한 가지치기도 용납하지 않는다. 11.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Indonesia by Suliman Alatiqi. Suliman Alatiqi began underwater photography at 15 and now works as a photography instructor and marine project consultant. He was the production editor for Kuwait Under the Blue (2025) and has earned top honours in maj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His work has appeared in CNN, BBC, The Guardian, and National Wildlife Magazine, gaining global recognition for its artistry and conservation impact. © Suliman Alatiq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술리만 알라티키(쿠웨이트)가 인도네시아에서 촬영. 술리만 알라티키는 15세에 수중사진촬영을 시작했으며 현재 사진 강사 및 해양 프로젝트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 그는 쿠웨이트 언더 더 블루(Kuwait Under the Blue, 2025년)의 프로덕션 에디터였으며 주요 국제 대회에서 최고의 영예를 얻었다. 그의 작품은 CNN, BBC, 가디언, National Wildlife Magazine에 게재되어 예술성과 보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12. Finalist, Wildlife. Photographed in Antarctica by Romain Barats. "It’s amazing how fast gentoo penguins are able to build a colony during the austral summer in the Antarctic peninsula," says Barats. "Port Charcot is usually a good place for this. This sheltered bay surrounded by mountains and icebergs is a perfect base for gentoos. We anchored our sailboat in this bay for three days, near the colony. We got in the water every day to enjoy the spectacle of these highly curious birds, who came to check on us so many times. Clumsy on land, these birds are fast and agile in the water." © Romain Barat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야생동물 부문 최종 후보작. 호만 바하(프랑스)가 남극대륙에서 촬영. "젠투펭귄이 남극반도의 남반구 여름철에 얼마나 빨리 군락을 형성하는지 놀랍다"라고 바하는 말한다. "부스 섬의 포트 샤르코는 보통 젠투펭귄을 위한 좋은 장소이다. 산과 빙산으로 둘러싸인 이 보호된 灣은 젠투펭귄에게 완벽한 기지이다. 우리는 군락지 근처 이 만에 3일 동안 범선을 정박시켰다. 매일 물속으로 들어가 호기심 많은 이 새들의 모습을 감상했다. 이 새들은 우리를 자주 보러 왔다. 육지에서는 서툴지만, 물속에서는 빠르고 민첩하다." 🌊🐧부스 섬의 포트 샤르코(Port Charcot, Booth Island)는 부스 섬 북쪽 끝에 있는 작은 灣이다. 부스 섬은 그레이엄 랜드의 키예프 반도 앞바다에 있는 바위투성이의 Y자형 섬이다. 1904년 종배티즈 샤코(Jean-Baptise Charcot)가 이끄는 프랑스 남극 탐험대가 이곳에서 겨울을 보내면서 처음으로 지도에 표시되었다. 몇 개의 초보적인 대피소와 언덕 꼭대기에 아직도 남아 있는 돌무더기를 건설한 후, 탐험대는 르메르 해협과 북서반도와 남서반도의 경계에 가까운 포트 샤르코를 기지로 삼아 이 지역을 탐험했다. 이곳에는 천문 관측에 사용되었던 석조 오두막과 거의 120년 전 최초의 탐험대원들의 이름이 새겨진 명판이 있는 나무 기둥이 남아 있다. 퐁세(Français)號가 정박했던 灣(얼음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곳)에는 바위에 'F'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지금도 볼 수 있다. 케언까지 걸어가는 길은 아주 아름답지만, 길을 벗어나면 바위와 크레바스가 있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가 조심스럽게 안내해 준다. 방문객들은 시끄러운 젠투펭귄 서식지가 있는 동쪽으로 걸어갈 수도 있다. 이곳 해변에서는 턱끈펭귄과 아델리펭귄도 볼 수 있다. 운이 좋으면 이 세 마리 펭귄을 모두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아름답다. 특히 남서쪽, 플레노 섬 쪽에서 '빙산의 무덤'이 내려다보이는 풍경이 아름답다. 이 빙산의 무덤은 조디악 크루즈를 타고 탐험할 수 있는데, 르메르 해협 북서쪽, 포르 샤르코에 정박한 배에서 출발하거나, 플레노 섬과 부스 섬에 정박하여 르메르 해협을 통과한 배에서 출발할 수 있다.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