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상 인간 관계상 및 청년 부문 최종 후보작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2025 Finalists (Human Connection Award and Young) August 22, 2025 Edit By Choon Sorce: oceanographicmagazine.com 올해의 해양 사진작가 대회의 최종 후보작들이 공개되었으며, 출품작 중에는 미술, 야생동물, 모험, 환경보호(영향력), 환경보호(희망), 인간 관계상: 사람과 바다, 청년 부문의 사진들이 선정되었다. 오셔노그래픽 매거진(해양학 잡지) 주최 측에서 올해 선정된 작품들을 아래와 같이 공유하도록 했다. 여기서 나는 2025년 해양 사진작가상 대회에 출품한 인간 관계상: 사람과 바다, 청년 부문의 사진들 중 최종 후보로 선정된 사진들을 보여 주겠다. The finalist entries in the current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competition were just revealed, featuring some of the best Fine Art, Wildlife, Adventure, Conservation (Impact), Conservation (Hope),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Young People photographs selected from submissions. Contest organizers at Oceanographic Magazine were kind enough to share some of this year’s selections below. Here, I'll present the finalists from the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and Young Photographer of the Year categories submitted to the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2025 competition. 1.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Taiwan by Sirachai Arunrugstichai. "Fuji 268, one of Taiwan’s last fire fishing boats, ignites a fireball to startle sardines in the coastal waters of New Taipei," says Arunrugstichai. "By 2023, it was the sole survivor of this national cultural heritage of Taiwan, with the crew working to sustain the tradition by partnering with local guides and launching their own educational program to offset costs and dwindling fish stocks. The effort drew more than 5,000 tourists in 2024 - double the previous year - sparking enough demand for another fire fishing boat to return to operation under this growing business model." © Sirachai Arunrugsticha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시라차이 아룬루그스티차이(태국)가 타이완에서 촬영. 아룬룩스티차이는 타이완(台灣)의 마지막 전통 불낚시배(火燒漁船) 중 하나인 후지 268호가 신베이시(新北市) 연안에서 정어리들을 놀라게 하기 위해 불덩어리(火球)를 점화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2023년까지 이 어선은 타이완(台灣)의 이 국가적 문화유산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며, 선원들은 현지 가이드와 협력하고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비용과 감소하는 어족 자원을 상쇄하는 등 전통(傳統)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두 배인 5,000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성장하는 사업 모델에 따라 운항(運航)을 재개할 수 있는 또 다른 불낚시배(火燒漁船)에 대한 수요가 발생했다." ⛵🔥"전통 불낚시배(Traditional Fire Fishing Boat)"는 불을 이용하여 탄화칼슘을 태워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켜 물고기를 유인하는 대만의 전통 어선을 지칭한다. 이 관습은 현재 거의 사라졌다. 또한 사고로 불이 난 어선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최근 왕등도(王登島) 인근에서 6명의 선원이 실종된 화재(火災)와 같은 사건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어선에는 탄화칼슘이라는 화합물이 포함된 금속 가마솥이 운반된다. 이 가마솥은 물과 혼합되면 가연성 가스를 생성한다. 이 가스는 길고 얇은 파이프로 공급되어 수면에 크고 불타는 횃불을 만든다. 불은 작은 물고기를 표면으로 끌어당겨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제는 거의 완전히 쓸모가 없게 된 수백 년 된 전통이다. 이러한 관행을 되살리기 위한 일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대만에는 그러한 어선이 단 한 척만 남아있다. 2.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China by Jianping Li. "Captured along the tidal flats where the blue sea meets golden sands, this image portrays a group of fishermen transforming their labour into a striking performance," says Li. "Against a minimalist backdrop, their orderly procession, with red nets as props, creates a vivid interplay of warm and cool tones. The scene elevates mundane work into a vibrant tableau, celebrating the resilience and poetry of coastal life." © Jianping L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리 지안핑(李建平, 중국)이 중국에서 촬영. "푸른 바다와 황금빛 모래사장이 만나는 갯벌을 따라 촬영된 이 사진은 어부들이 노동을 인상적인 퍼포먼스로 승화(昇華)시키는 모습을 담고 있다"라고 리 지안핑(李建平)은 말한다. "미니멀한 배경 속에서 붉은 그물을 소품으로 삼은 그들의 질서 있는 행렬(行列)은 따뜻한 색조와 차가운 색조의 생생한 조화(造化)를 만들어낸다. 이 장면은 평범한 작업을 생동감 넘치는 풍경으로 승화시켜 해안 생활의 회복력(回復力)과 시적인 분위기(詩的雰圍氣)를 기념한다." 3.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French Polynesia by Álvaro Herrero. "A whale watching guide observes humpback whales in French Polynesia, maintaining a respectful and prudent distance," says Beltran. "Personally, I have very few photographs with people and wildlife because I prefer to photograph animal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with minimal interference. I believe that responsible imaging and behaviour are crucial to preserving the integrity of wildlife. I share this photograph to promote a message of respect and responsible observation." © Álvaro Herrero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알바로 에레로(스페인)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촬영. "고래 관찰 가이드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혹등고래를 존중하고 신중한 거리를 유지하며 관찰하고 있다."라고 벨트홍이 말한다. "개인적으로 사람과 야생동물이 함께 있는 사진은 거의 없다. 최소한의 간섭으로 자연환경에서 동물을 촬영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책임감 있는 촬영과 행동이 야생동물의 온전함을 보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존중과 책임감 있는 관찰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이 사진을 공유한다." 4.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Vietnam by Natnattcha Chaturapitamorn. "Each morning before sunrise at Tam Tien beach, the shoreline comes alive with a flurry of activity," says Chaturapitamorn. "Clusters of wooden fishing boats anchor offshore, forming a floating fleet. From there, teams of fishermen in round basket boats skillfully navigate through the waves, ferrying barrels of freshly caught seafood to the shore. On the beach, families of fishermen and wholesale traders wait eagerly, ready to sort and purchase the catch. The seafood is quickly loaded into baskets and rushed off to markets throughout the province. This daily ritual reflects the deep connection between the sea and coastal livelihoods." © Natnattcha Chaturapitamorn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나트나차 차투라피타몬(태국)이 베트남에서 촬영. "매일 아침 땀띠엔 해변에서 해가 뜨기 전, 해안선은 활기로 가득 찬다"라고 차투라피타몬은 말한다. "목선(木船)들이 해안가에 정박하여 떠다니는 선단(船團)를 형성한다. 그곳에서 둥근 바구니 배를 탄 어부들이 파도를 능숙하게 헤치며 갓 잡은 해산물이 가득 든 통을 해안으로 나른다. 해변에서는 어부 가족과 도매상들이 어획물을 분류하고 구매할 준비를 하며 초조하게 기다린다. 해산물은 재빨리 바구니에 담겨 주 전역의 시장으로 빠르게 운반된다. 이러한 일상적인 의식은 바다와 해안 생계 사이의 깊은 연관성을 반영(聯關性反映)한다." 5.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USA by Yifan Ling. "On April 1, 2024, more than 20 Bigg’s orcas entered Puget Sound together," says Ling. "At Point No Point, one of my friends was on the beach watching as the pods passed, when T099C “Barakat” - a male orca - suddenly began breaching repeatedly near the beach. At one moment, he leapt from the water just metres away from my friend. Although her lens was too long for the closeness, I happened to be offshore and captured the perfect shot for her, and this shot perfectly refl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ld orcas and land-based whale watchers in Puget Sound." © Yifan Ling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링 이판(凌一凡, 중국)이 미국에서 촬영. "2024년 4월 1일에 20마리가 넘는 빅스 범고래가 퓨젯 사운드에 함께 들어왔다"라고 링(凌)은 말한다. "포인트 노 포인트에서 나의 친구 중 한 명이 해변에서 무리가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수컷 범고래 T099C "배러캣"이 갑자기 해변 근처에서 반복적으로 물 위로 뛰어오르기 시작했다. 어느 순간, 그는 나의 친구로부터 불과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물에서 뛰어내렸다. 친구의 렌즈가 너무 길어서 가까이서 찍기 어려웠지만, 나는 마침 해안가에 있었고 그녀에게 완벽한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 이 사진은 퓨젯 사운드의 야생 범고래와 육지 고래 관찰자 사이의 관계를 완벽하게 반영(反映)했다." 6.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Australia by Craig Parry. "In the early hours of July 1st, we received a call about a stranded humpback whale," says Parry. "Wildlife veterinarian Steve Van Mil quickly assessed the situation and contacted SeaWorld Marine Rescue and other key agencies to coordinate a response. For 15 hours, rescue teams and the local community worked tirelessly in a unified effort to save her. Sadly, despite their dedication, she could not be saved. While the outcome was heartbreaking, witnessing the collaboration and compassion shown by multiple agencies and volunteers was incredibly moving - a powerful reminder of what can be achieved when people come together with a shared purpose." © Craig Parry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크레이그 패리(호주)가 호주에서 촬영. "7월 1일 새벽에 좌초(坐礁)된 혹등고래에 대한 신고를 받았다"라고 패리는 말한다. "야생동물 수의사 스티브 반 밀은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씨월드 해양 구조대와 다른 주요 기관에 연락하여 대응조치(對應措置)를 조율(調律)했다. 15시간 동안 구조대와 지역사회는 고래를 구하기 위해 쉼 없이 노력(努力)했다. 안타깝게도 그들의 헌신(獻身)에도 불구하고 고래는 구조(救助)되지 못했다. 결과는 가슴 아팠지만, 여러 기관과 자원봉사자들이 보여준 협력과 연민(協力과 憐愍)은 매우 감동적이었다.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함께할 때 무엇을 이룰 수 있는지 강력하게 일깨워 주었다." 7.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China by Shi Xiaowen. "Xiapu boasts an extensive coastline where local aquaculture thrives," says Xiaowen. "This photo captures the laver farming scene in Xiapu's coastal waters. Shot on an overcast day, the rhythmic patterns formed by laver cultivation poles intertwine with fishermen labouring at work." © Shi Xiaowen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시샤웬(石曉文, 중국)이 중국에서 촬영. "푸젠성 샤푸현(福建省霞浦縣)은 현지 양식업이 번창하는 광대한 해안선을 자랑한다"라고 시샤웬(石曉文)은 말한다. "이 사진은 샤푸 연안 해역의 김 양식 현장을 포착한 것이다. 흐린 날 촬영한 김 양식 기둥이 형성하는 리드미컬한 패턴과 작업 중인 어부들의 모습이 얽혀 있다." 8.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Indonesia by Wendy Mitchell. "In 2024/25, mass coral bleaching affected 84% of reefs globally," says Mitchell. "Even areas once thought to be climate refuges, like Raja Ampat, were hit for the first time. Elevated water temperatures and nutrient imbalances pushed entire reef’s past a tipping point. Yet some areas proved resilient, like the intricate balance provided by this mangrove system. For Papuan communities, these reefs are part of their cultural identity while providing essential food and livelihood. Global greed and inaction are eroding one of the planet’s greatest ecosystems, casting deep uncertainty over the future for those who depend on coral reefs." © Wendy Mitchell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웬디 미첼(호주)이 인도네시아에서 촬영. 미첼은 "2024/25년에 대규모 산호 백화현상(白化現象)이 전 세계 산호초(珊瑚礁)의 84%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말한다. "라자 암팟처럼 한때 기후 난민으로 여겨졌던 지역조차 처음으로 피해를 입었다. 수온 상승과 영양 불균형으로 산호초 전체가 한계점(限界点)을 넘어섰다. 그러나 맹그로브 숲이 만들어내는 복잡한 균형처럼 일부 지역은 회복력(回復力)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산호초는 필수적인 식량과 생계를 제공하는 동시에 문화적 정체성(文化的正體性)의 일부이다. 전 세계적인 탐욕과 무관심은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생태계(生態界) 중 하나를 침식시키고 있으며, 산호초(珊瑚礁)에 의존하는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깊은 불확실성을 안겨주고 있다." 9.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Vietnam by Natnattcha Chaturapitamorn. "In this coastal region of Vietnam, Sargassum seaweed grows and regenerates naturally," says Chaturapitamorn, "often rising above the water’s surface when fully matured, creating the impression of an underwater forest. Fishermen carry out their work using traditional round basket boats, manually handling the nets with care. The translucent net fans out in all directions, forming the striking illusion of a blooming sea flower. Throughout the process, maintaining harmony with nature is essential, as preserving the delicate balance of the surrounding ecosystem remains a top priority." © Natnattcha Chaturapitamorn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나트나차 차투라피타몬(태국)이 베트남에서 촬영. "베트남의 이 해안 지역에서는 모자반 해초가 자연스럽게 자라고 재생한다"라고 차투라피타몬은 말한다. "완전히 성장하면 수면 위로 솟아올라 마치 수중 숲과 같은 느낌을 준다. 어부들은 전통적인 둥근 바구니 배를 타고 그물을 조심스럽게 다루며 작업을 한다. 반투명한 그물은 사방으로 펼쳐져 마치 활짝 핀 바다꽃처럼 아름다운 환상을 만들어낸다. 이 과정 전반에 걸쳐 주변 생태계(生態界)의 섬세한 균형을 유지(均衡維持)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므로 자연과의 조화(造化)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0.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Indonesia by Max Holba. A handwoven bamboo basket, called “Bubu” in the local language, descends into the depths of Alor’s waters. "The locals of this Indonesian region use this traditional fishing technique as an efficient method to catch fish," says Holba. "The basket stays underwater for some time, and through a funnel-shaped opening, fish find their way in, but not out. After a few days, when sea conditions allow, the locals free dive - without fins and equipped only with handmade wooden goggles - to retrieve their “Bubu” and claim their catch." © Max Holba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맥스 홀바(오스트리아)가 인도네시아에서 촬영. 현지어로 "부부(Bubu)"라고 불리는 손으로 짠 대나무 바구니가 알로르 바닷속 깊은 곳으로 내려간다. 홀바가 "이 인도네시아 지역주민들은 이 전통 어법을 효율적인 물고기 잡이 방법으로 사용한다"라고 말한다. "바구니는 한동안 물속에 잠겨 있다가 깔때기 모양의 구멍을 통해 물고기가 안으로 들어오지만 밖으로 나갈 수는 없다. 며칠 후 바다 상황이 허락하면 현지인들은 오리발 없이 수제 나무 고글만 착용하고 자유롭게 잠수하여 "부부"를 되찾고 잡은 물고기를 수거한다." 11.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Mexico by Kaushiik Subramaniam. "The behaviours exhibited by grey whales in their mating and calving lagoons in Baja California, Mexico, are unlike anything else seen around the world," says Subramaniam. "They have a remarkable curiosity, actively approaching small fishing skiffs to see what is happening. I shot this on an incredible morning, when we had over 20 whales around our boat. The four that you see in this image were the initiators, after which all the others wanted in on a piece of the human action. To this day, this remains the most incredible wildlife interaction I have ever had." © Kaushiik Subramaniam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캬우식 서바매니엄(영국)이 멕시코에서 촬영. "멕시코 바하 캘리포니아의 짝짓기와 새끼 낳는 석호(潟湖)에서 귀신고래가 보이는 행동은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라고 서바매니엄이 말한다. "귀신고래는 놀라운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어선에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한다. 우리 배 주변에 20마리가 넘는 고래가 있는 놀라운 아침에 이 사진을 촬영했다. 이 사진에 보이는 네 마리의 고래가 먼저 다가왔고, 그 후 다른 고래들은 모두 인간의 행동에 동참하고 싶어 했다. 지금까지도 이 사진은 내가 경험한 가장 놀라운 야생동물과의 교감으로 남아있다." 🐳귀신고래(Eschrichtius robustus)는 회색고래(Gray whale)라고도 불리며, 매년 먹이와 번식지를 오가는 수염고래이다. 몸길이는 14.9~15.2m, 무게는 최대 41~45톤(단톤 45~50톤, 장톤 40~44톤)에 달하며, 수명은 55~70년이지만 암컷 한 마리는 75~80세로 추정된다. 이 고래의 일반명은 어두운 피부에 있는 회색 반점과 흰색 얼룩에서 유래했다. 회색고래는 사냥할 때의 싸움 행동 때문에 한때 악마 물고기라고 불렸다. 회색고래는 고래목 귀신고랫과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다. 수염고래과(Eschrichtiidae)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은 속이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수염고래과(Balaenopteridae)에 속하는 종으로 분류한다. 이 포유류는 신제3기에 출현한 여과 섭식 고래의 후손이다. 귀신고래는 북동 태평양(북아메리카)과 멸종 위기에 처한 북서 태평양(아시아)에 분포한다. 북대서양 개체군은 서기 500년 이전에 유럽 해안에서 (아마도 고래잡이에 의해) 절멸되었고,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는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서양 해안에서 절멸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와 2020년대에는 북대서양, 지중해, 심지어 남대서양 연안에서도 귀신고래가 드물게 목격되었다. 12. Finalist, Human Connection Award: People & Planet Ocean. Photographed in Norway by Jianping Li. "In the middle of a Nordic winter, snow-clad mountains and islands frame the Reine fishing village," says Li. "Crimson cabins punctuate the cold blue expanse like beacons of warmth, while gentle waves lap against rocky shores. The image captures the Arctic’s silent romance - a harmony of solitude and the oceanic rhythm." © Jianping L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인간 관계상: 인간과 바다 부문 최종 후보작. 리 지안핑(李建平, 중국)이 노르웨이에서 촬영. "북유럽의 겨울 한복판에 눈 덮인 산과 섬이 레이네 어촌 마을을 이루고 있다"라고 리(李)는 말한다. "진홍빛 선실은 따뜻함의 등대처럼 차갑고 푸른 광활한 공간을 강조하고, 잔잔한 파도는 바위 해안에 부딪친다. 이 이미지는 고독과 바다의 리듬이 조화를 이루는 북극의 조용한 로맨스를 포착한다." 13. Finalist, Young Photographer of the Year. Photographed in United Kingdom by Aaron Sanders. "Under the cover of night, two tiny Bobtail squid engaged in an intimate display, their arms intertwined as they mated on the seabed," says Sanders. "Waves of colour rippled across their bodies as chromatophores pulsed in a mesmerising rhythm, white flickered to gold, gold to red, and back again, transforming them into living, glowing jewels in the dark. These otherworldly creatures performed their courtship, creating the next generation of Bobtail squid. I felt privileged to have witnessed this rare and tender moment. Approaching with care, I documented this encounter without disturbing the pair, capturing their brilliant display in all its intricate detail." © Aaron Sanders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청년 사진작가 부문 최종 후보작. 아론 샌더스(영국)가 영국에서 촬영. "밤의 틈을 타 두 마리의 작은 밥테일오징어(짧은꼬리오징어)가 바닷속에서 팔을 얽고 친밀한 교미를 펼쳤다"라고 샌더스가 말한다. "색소포가 매혹적인 리듬으로 맥박치며 온몸에 물결치는 색의 물결은 마치 흰색에서 금색으로, 금색에서 빨간색으로, 그리고 다시 빨간색으로 바뀌며 어둠 속에서 살아 숨 쉬는 보석처럼 변했다. 마치 다른 세상에서 온 듯한 이 생명체들은 구애를 통해 밥테일오징어(짧은꼬리오징어)의 차세대를 만들어냈다. 이 희귀하고 다정한 순간을 목격하게 되어 영광이었다. 조심스럽게 다가가 두 오징어를 방해하지 않고 이 만남을 기록하며, 그들의 눈부신 교미를 세밀하게 포착했다." 🐙밥테일오징어(짧은꼬리오징어)는 오징어목(Sepiolida)의 단형상과(Sepioloidea)에 속하는 두족류이다. 밥테일오징어는 비슷한 생김새의 갑오징어보다 둥근 외투막을 가지고 있으며, 갑오징어뼈가 없다. 빨판이 있는 팔 8개와 촉수 2개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매우 작다(수컷의 일반적인 외투막 길이는 1~8cm이다). 밥테일오징어는 태평양의 얕은 연안 해역과 인도양 및 대서양 일부 지역, 그리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반도 서해안의 얕은 해역에 서식한다. 갑오징어처럼 외투막의 지느러미를 사용하거나 제트 추진력을 이용하여 헤엄칠 수 있다. 둥근 외투막 때문에 "덤플링 오징어"(dumpling squid), "뭉툭한 오징어"(stubby squid), 또는 "병꼬리오징어"(bottletail squid)라고도 불린다. 14. Finalist, Young Photographer of the Year. Photographed in French Polynesia by Théo Guillaume. "In January 2025, I observed hatchlings navigating the jagged “papa” rocks, where waves pulse against the shore," says Guillaume. "When this individual's tiny head emerged from the water, it released a delicate jet from its nostrils: seawater swallowed in the frantic crawl to the sea. It was a fleeting gesture, easily missed, yet full of meaning. Sea turtles breathe through their mouths, but expel water through their noses, even at this age. This quiet breath, suspended in time - silent tribute to the profound beauty of small moments." © Théo Guillaume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청년 사진작가 부문 최종 후보작. 티오 기욤(프랑스)이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촬영. "2025년 1월에 나는 파도가 해안에 부딪히는 울퉁불퉁한 '파파' 바위를 헤엄치는 거북 새끼들을 관찰했다"라고 기욤은 말한다. "이 새끼 거북의 작은 머리가 물 밖으로 나오자 콧구멍에서 미세한 물줄기가 뿜어져 나왔다. 바다로 향하는 광란의 움직임 속에 바닷물이 삼켜진 것이었다. 찰나의 움직임이었지만, 그 의미는 깊었다. 바다거북은 입으로 숨을 쉬지만, 이 나이에도 코로 물을 내뿜는다. 시간 속에 멈춰 선 이 고요한 숨결은 작은 순간의 심오한 아름다움에 대한 묵묵한 찬사이다." 15. Finalist, Young Photographer of the Year. Photographed in French Polynesia by Yuka Takahashi. A pair of synchronised humpback whales. "Putting myself out in the field has taught me lessons no textbook ever could," says Takahashi. "It has also deepened my understanding of the profound biophilia held by the Tahitian people on the island of Mo’orea. These two humpback whales are always seen together, and I was fortunate to capture this rare moment of synchronicity. To me, this photo reflects the strong bond between them while also revealing their playful and curious personalities." © Yuka Takahashi / Ocean Photographer of the Year 청년 사진작가 부문 최종 후보작. 다카하시 유카(高橋由香, 일본)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촬영. 싱크로나이즈드 혹등고래 한 쌍. "현장에 직접 나가면서 교과서에서는 배울 수 없는 교훈을 얻었다"라고 타카하시는 말한다. "또한 모레아 섬에 사는 타히티 사람들의 깊은 생물애(biophilia, 바이오필리아)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이 두 혹등고래는 항상 함께 있는데, 나는 이 보기 드문 싱크로나이즈드 순간을 포착할 수 있어서 행운이었다. 나에게 이 사진은 두 사람 사이의 강한 유대감을 반영하는 동시에 장난기 넘치고 호기심 많은 성격을 드러낸다." 🐳💖💙🤍바이오필리아(biophilia)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philia'에서 유래되었으며, '사랑하다'를 의미한다. 문자 그대로 생명이나 생명체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 바이오필리아 가설(BET라고도 함)은 인간이 자연과 다른 생명체와의 관계를 추구하는 본능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에드워드 O 윌슨은 그의 저서 『바이오필리아』(1984)에서 이 가설을 소개하고 대중화했다. 그는 바이오필리아를 "생명과 생명과 유사한 과정에 집중하는 본능적인 경향"으로 정의한다. 그는 "생명을 탐구하고 생명과 교감하는 것은 정신 발달 과정에서 심오하고 복잡한 과정이다. 철학과 종교에서는 여전히 과소평가되고 있지만, 우리의 존재는 이러한 성향에 의존하며, 우리의 정신은 이러한 성향으로 구성되어 있고, 희망은 이러한 성향의 흐름 속에서 피어난다"라고 주장했다. 윌슨은 현대 생물학이 생물애(biophilia, 바이오필리아)와 융합하는 것으로 보았다. "현대 생물학은 생물애의 내적 방향과 우연히 일치하는, 세상을 바라보는 진정으로 새로운 방식을 만들어냈다. 다시 말해, 본능이 이성과 조화를 이루는 드문 사례이다. 우리가 다른 유기체를 이해하게 될수록, 우리는 그들과 우리 자신에게 더 큰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다카하시 유카(高橋由香)는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수의학을 전공한 학생으로, 야생동물 보호 의학과 수중사진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 오키나와 여행을 통해 바다와의 인연을 맺게 되었고, 이는 평생 해양생물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유카(由香)는 사진을 통해 사람과 수중 세계 사이의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식이 보존을 향한 첫걸음이라고 믿는다. 그녀는 자신의 사진들이 친환경적인 삶을 향한 작은 변화라도 이끌어내기를 바란다. 유카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학 교육과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여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자연을 보호하는 것이다.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