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 #네덜란드 #틸부르흐, #델프트, #헤이그, #브레다, #암스테른담에서 개최된 ISO/TC 194 229 #국제표준화 회의에 참석하였다.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전문가들이 모여, 나노식품(#nanofood),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독성평가, #안전성, 유효성, #임상 등 한국 제안 국제표준의 제안 및 논의(ISO 10993-23, 한국 제품들 모델을 이용한 의료기기 피부자극모델 개정에 따른 의견 수렴), DIS ISO 10993-1, 4, 6, 7, 12, 17, ISO 14155(임상시험)에 대한 comment 및 독성평가 자문( ISO 10993-1 개정으로 인한 발열성시험의 제외, BER/TRA 개정사항 등, ISO 10993-6 개정으로 인한 대조물질의 선정 및 사용방법, ISO 10993-11 개정으로 인한 토끼 사용 마리 수 변경 등, WG1, WG5, WG8, WG12, WG14, WG18 회의 참석 및 한국제안 국제표준의 초안 제안 및 논의, 관련 해외 동향 파악, 분과위원회 및 작업반 회의 참석 후 한국 측 제안 국제표준 및 논의(#안트라퀴논 안전성 등과 해외 규제 없는 식품, 화장품 국내 규제 수입 완화 등 제안)), CD_ISO 10993-3(#유전독성), ISO/NP TS 25364(#화학적 특성화 근거자료) 에 대한 #국제동향 확인 등을 진행하였다.
특히 틸부르흐 AI 공대가 적극적으로 제안한 #AI 가능한 나노기술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등이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한국 대표단은 #나노기슬 활용 다양한 표준 초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고, 신기술 적용 사례를 공유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다음 회의 개최지로 한국이 유력하게 논의되었으며, 이에 대한 준비도 함께 병행할 예정이다.
각 WG의 수석전문위원들이 제안발표를 각 주제별로 준비하여 발표하였고, #Dongmyong Kim 등은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 Part 7: Ethylene oxide disinfectant residues) Final vote", "Natural products (e.g. Aloe vera skin) #anthraquinone, nanomaterials, unified export and import regulations for products with different global regulations, human residual toxicity of anthraquinone, etc., export and import regulated items" 주제로 발표도 하였다.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평가 - Part 7: 에틸렌 옥사이드 살균 잔류물)을 최종 투표 제안, 천연물(알로에 베라 껍질 등) 안트라퀴논, 나노물질, 글로벌 규제가 상이한 제품들에 대한 수출입 규제통일 방안, 안트라퀴논 등 인체 잔류독성, 수출입규제 품목 등)을 최종 투표하고 검토하였다.
회의 전반은 체계적으로 운영되었고, 다양한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국제 표준화 과정에서 한국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네덜란드 틸브르흐/TUe대학, Delft 공과대학, #Amgen, #Abott, Brugel Food Products BV, GoodLife Foods (IZICO), The Protein Brewery, Private Label Cosmetics/Girasol Natural Products Bv, RevitalTrax Cosmetics, Biomedics 등 산학연 네트워크와 현장투어, 이벤트 및 장기자랑도 흥미로웠다.
한국 대표단에서는 내가 K-Food 라면스파게티 퐁듀요리로 서양인들 입맛에 딱 맞게 요리하여 베스트 #요리상을 수상 받았다. 노래와 춤 등은 다른 나라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
다시 14시간 비행을 위해 #스코필드공항에 도착하였고 출국 전 시간이 많이 남아서 7시간의 시차 적응을 위해 공항 출국 수속 전후로 페이스북에 틈틈히 포스팅 한다...
#나노식품 #영양전달체 #창시자 #김동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