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국수필문학관 겨울문학제
일시 : 2024년 12월 12일(목) 18:00
장소 : 한국수필문학관 세미나실
주 관
대구수필창작아카데미, 대구에세이포럼, 수필알바트로스,
한국에세이포럼, 수필세계작가회, 대구수필작은도서관
-----------------------------------------------
2024 한국수필문학관 겨울문학제 순서
1부 / 사회 : 공도현
▪국민의례
▪개회 인사
▪출판기념회
∙동인지 출판회
- 수필창작아카데미 4호 ‘생활문학의 향기’
- 수필알바트로스 5호
- 한국에세이포럼 7호
- 수필세계작가회 ‘오늘의 수필’ 9호
∙ 개인 수필집 발간
- 임윤교, 권춘애, 김인옥, 조정숙, 엄옥례
수상 안내
-차기화 : 등대문학상 우수상
-조이섭 : 대구수필가협회 작품상, 선수필문학상 수필사랑문학상
-엄옥례 : 달서책사랑 전국수필공모전 은상
-오수미 : 팔거백일장 공모전 대상
-김영희 : 대구문학상
ENJOY YOUR ESSAYLIFE
2부 / 사회 : 변미순
▪문학상 시상식
- 2024 수필세계 신인상
∙상반기 / 김민주
- 제4회 수필세계문학상
∙수상 및 소감 / 임윤교
∙수필 낭송/ 김정래 수필가
-한국수필문학관 감사패 수여
∙김영자 이사
3부
■ 친교의 시간
-다 함께 부르는 노래
수필창작아카데미, 수작회
다 함께
■ 문학회별 소식
■ 식사 및 다과
--------------------------------------------
KISS THE ESSAY
■ 수필세계문학상 수상자 작품 낭송
두드림에 관한 소고小考 글 : 임윤교 낭송 : 김정래 문을 두드린다. 두드린다는 것은 소통하려는 표현이다. 대체로 살아보려고 아등바등하다가 두드리는 사람이 많다. 그만큼 절실해서 탈출구를 찾는 것이다. 누구나 낯선 문 앞에 서면 두렵다. 문 뒤의 반응을 모르기에 두려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용기를 내어 두드린다면 찾고자 하는 답에 가까이 가지 않을까. 한 줄기 빛을 찾아가는 일은 희망의 첫걸음을 떼는 일이다. 그 시점이 바로 구원의 두드림일 수 있다. 누구나 굴곡은 있게 마련이다. 돌이켜 보면 참 많은 문을 드나들었다.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설치기도 했고, 광야 같은 세월, 모진 비바람을 온몸으로 맞기도 했다. 한마디로 도전과 실패의 연속이었다. 지금은 삶의 궤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힘든 과정을 거쳐서 여기까지 왔다. 인생은 결단과 부단한 노력으로 자기 십자가를 지고 가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자기와의 싸움이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끊임없이 문을 두드리는 사람은 새로운 세상을 만날 수 있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기에 언젠가 응답처럼 문이 열릴 수밖에 없다. 꿈꾸는 사람은 열정이 있기에 그럴 수 있다. 누구나 지치지 않고 자신이 행복해하는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베토벤 교향곡 제5번을 듣는다. 1악장 첫머리 음은 두드린다는 느낌을 받는다. 베토벤은 ‘운명은 이처럼 문을 두드린다.’라고 했다. 이는 타고난 운명일 수도 있고, 스스로 만들어 가는 운명일 수도 있을 것이다. 각자에게 주어진 운명의 문 앞에서 최선의 경주를 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잡을 필요가 있다. 생의 대열에서 낙오되지 않으려고 인간은 안간힘을 다한다. 애증과 거짓이, 성공과실패가 난무하는 질펀한 이 세상을 살아내야 한다. 탄생과 죽음까지가 한 생애이지만, 어쩌면 날마다 죽고 날마다 태어나는 부활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이 질긴 삶의 문을 두드리고 열며 간다. 두드려라, 열릴 것이다.
|
첫댓글 행사일 기본적으로 받는 책이 8권입니다.
해당 문학회에서 배부하는 정해진 책을 가져 가시려면 꼭 책보나 에코백이 필요합니다.
준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