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암동 제일의 경승지, 석파정 '
|
|
![]() |
![]() |
▲ 석파정 소나무 |
▲ 석파정 정자와 돌다리 |
서울 도심 속의 전원마을이자 자문 밖 경승지인 부암동(付岩洞)에는 상큼한 옛 명소들이 |
♠ 석파정(石坡亭, 서울 유형문화유산) 입문 |
|
서울미술관 남쪽에는
삼계동(三溪洞) 현판을 지닌 기와집 문이 있다. 그가 바로 석파정의 정 |
|
|
|
자하문로와 맞닿은
석파정 동쪽에는 서울미술관이 독특한 건축 스타일을 드러내며 자리해 있 |
|
|
|
|
|
|
|
석파정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별서(別墅, 별장)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허나 원 |
|
![]() |
![]() |
▲ 삼계동계곡 (소수운렴암 서쪽) |
▲ 바위에 구멍을 내어 돌을 뗀 흔적들 |
석파정을 촉촉히
어루만지는 삼계동계곡은 인왕산이 베푼 계곡의 일원이자 인왕산에서 가장 |
|
|
|
안동김씨 세력의
우두머리였던 김흥근은 삼계동에 단단히 군침을 흘리며 이곳을 차지하여 큰 |
|
|
|
석파정에는 안태각(安泰閣), 낙안당(樂安堂), 망원정(望遠亭) 등 7채 이상의 집이 있었다. 허 |
|
|
|
사랑채는 대원군이
머물던 공간으로 평소에는 자택인 운현궁(雲峴宮)에 있다가 종종 이곳으로 |
|
|
|
사랑채 옆구리에는
좌우로 넓게 퍼진 소나무가 있다. 높이 5m, 그늘의 넓이는 67㎡ 정도로 그 |
|
![]() |
![]() |
▲
서쪽에서 바라본 석파정 소나무와 |
▲
소나무 밑에서 그늘 맛을 누리고 있는 |
|
♠ 석파정만의 특별함 ① 별채와 구름길 |
|
안채 뒤쪽에는 별채가
있다. 석파정 건물 중 가장 하늘과 가까운 집으로 보통 별서는
사랑채 |
|
|
|
![]() |
![]() |
▲ 굳게 닫힌 별채 서쪽 협문 |
▲ 뒷쪽에서 바라본 안채의 뒷통수 |
|
|
별채 뒤쪽으로도
상큼하게 산책로가 닦여져 있다. 옥상정원 입구에서 북쪽 길로 가면 돌담이 |
|
|
|
옥상정원 입구에 예사롭지 않은 모습의 큰 석조가 누워있다. 대원군 시절의 것으로
석조에는 |
|
|
|
![]() |
![]() |
▲ 별채 동쪽 부속 건물의 바깥 모습 |
▲ 너럭바위로 이어지는 구름길 |
|
|
석파정에는 '소수운렴암'과
'삼계동' 등 2개의 바위글씨가 전해 이곳의 높은 정취를 보여주고 |
|
|
|
석파정은 크게 사랑채,
안채, 별채가 있는 별서 부분과 서쪽 숲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숲속 |
|
|
♠ 석파정만의 특별함 ② 석파정(관풍루), 너럭바위, 3층석탑 |
|
숲이 무성한 삼계동계곡 상류에 이국적으로 지어진 정자, 석파정이 숨어있다. 지금은 별서 일 |
|
![]() |
![]() |
▲ 가까이서 본 석파정의 위엄 |
▲ 석파정 정자로 인도하는 오솔길 |
석파정 주변 계곡도 약간의 인공이 가해졌다. 멀쩡한 바위를 파서 홈을 내어 대(臺)를 다지고 |
|
![]() |
◀ 너럭바위 방면 구름길
|
|
|
별서 서북쪽에는 마치 교도소 벽이나 군부대 벽처럼 꽤 무겁고 차가운 경계벽이 있다. 그들의 |
|
|
![]() |
▲ 경계벽 벽화들 (오른쪽은 봉황 같음) |
▲ '조용한 증식'이란 이름의 현대작품 |
|
|
석파정 경내 서쪽 끝에는 너럭바위라 불리는 큰 벼랑이 있다. 바위의 모습이 코끼리를
닮았다 |
|
![]() |
![]() |
▲ 너럭바위 돌계단 (통제구역) |
▲ 너럭바위 앞 공터(쉼터) |
|
|
'물을 품은 길'은 석파정 경내 산책로 중 가장 아름다운 길이 아닐까 싶다. 물론 '구름길'도
|
|
|
|
'물을 품은 길'을 거닐면 삼계동계곡 최상류 부분을 만나게 된다. 개울은 작지만 바위들이 거 |
|
|
|
'물을 품은 길'의 동쪽 끝에는 신라시대 3층석탑이 있다. 2중의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 |
|
![]() |
![]() |
▲ 신라시대 3층석탑 |
▲ 계곡에서 바라본 3층석탑(가운데) |
소수운렴암을 거쳐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으나 이곳에 마음이 퐁당퐁당 빠진 탓에 그냥 나가기 |
|
|
* 까페(동호회)에 올린 글은 공개일 기준으로 1주까지만 수정,보완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
집니다. <단 블로그와 원본은 1달까지임>
* 본글의 내용과 사진을 퍼갈 때는 반드시 그 출처와 원작자 모두를 표시해주세요.
*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즉시 댓글이나 쪽지, 연락 등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부링크 문제로 사진이 안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모니터 크기와 컴퓨터 사양에 따라 글이 조금 이상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공개일 - 2025년 4월
19일부터
* 글을 보셨으면 그냥 가지들 마시구 공감이나 추천을 흔쾌히 눌러주시거나 댓글 몇 자라도
달아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Copyright (C) 2025 Pak Yung(박융),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