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4.6(주일) 예레미야 21:1~14 ‘생명의 길을 가려면’ 예산수정교회
사람은 누구나 인생의 길을 걸어가면서, 때로는 평탄하고 아름답지만, 때로는 험난하고 예측할 수 없는 고난으로 가득찬 길을 걸어가기도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끝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8절), ‘축복의 길과 저주의 길’(신11:18~32)이 있음을 반복해서 경고합니다. 그리고 그 선택의 순간에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우리를 생명의 길로 초대하십니다. 본문은 남유다 왕국이 위기의 순간에 놓였을 때, 하나님께서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전하신 경고와 권면의 말씀입니다. 당시 예루살렘은 바벨론의 강력한 침공 앞에서 무너질 위기에 처해 있었습니다. 시드기야 왕은 기적을 구하며 예레미야에게 묻지만, 하나님은 철저한 심판을 선언하시며 동시에 유일한 구원의 길을 제시하십니다. 바로 "생명의 길"입니다.
1. 회개의 길을 가야 합니다(1~7절).
생명의 길을 가려면 문제 해결보다 ‘회개의 길’을 가야 합니다.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는 바스훌과 스바냐를 예레미야에게 보냅니다. 평소 예레미야가 선포하는 경고의 말씀을 무시하던 시드기야왕은 바벨론이 쳐들어오자 이제서야 선지자 예레미야를 찾습니다. 그것도 회개가 아니라 예레미야에게 요청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기적을 구합니다(2절). 그러나 예레미야는 기적 대신 하나님께서는 오히려 바벨론 왕의 손에 예루살렘을 넘기겠다고 선언합니다(7절). 하나님께서 시드기야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회개의 기회를 수없이 주셨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끝까지 완악한 마음을 고집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외면한 채 그저 문제만 해결하려고 기적을 구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위기 상황을 해결해주시기를 원하지만, 그것을 회개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은혜입니다. 시드기야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님을 찾았지만, 진정한 회개 없이 단지 눈 앞에 닥친 위기를 모면하기를 원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겉모습이나 형식적인 기도가 아닌 진실한 회개를 원하십니다.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돌이키는 자에게 하나님은 생명의 길을 열어주십니다. 잠언 28:13 “자기의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치 못하나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을 받으리라”고 했습니다. 회개는 단순히 잘못을 후회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길에서 완전히 돌이켜 나와 하나님께 돌아가는 결단입니다. 진정한 회개가 있을 때, 비로소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가 임하게 됩니다. 적용) 나는 회개하기보다 문제가 떠나기만을 구하지는 않습니까? 하나님이 나를 치시는 것이 나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긍휼임을 믿습니까?
2. 말씀에 순종하는 길을 가야 합니다(8~10절).
생명의 길을 가려면 ‘말씀에 순종하는 길’을 택해야 합니다. 8~10절 말씀에서 하나님은 예루살렘 백성에게 ‘생명과 사망의 길’을 제시하며, 그들의 선택에 따라 미래가 결정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여기서 문자적으로 ‘생명의 길’은 바벨론에게 항복하는 것이고, ‘사망의 길’은 예루살렘 성 안에 머무르며 바벨론에 대적하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인간의 생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당시 유다 백성들에게는 더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명령이었을 것입니다. 그들에게 바벨론은 적국이자 무서운 침략자였습니다. 그들에게 항복한다는 것은 굴욕적이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뜻은 분명했습니다. 그들의 죄악으로 인해 심판은 피할 수 없지만, 말씀에 순종하여 항복하는 자에게는 ‘생명의 길’을 열어 주시겠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의 선택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은 때로 이해하기 어렵고 우리의 생각과 다를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이성과 경험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길이 생명의 길임을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은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분의 뜻을 따르는 믿음의 결단입니다. 우리의 판단과 계산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온전히 순종할 때 비로소 ‘생명의 길’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순종이 곧 생명의 길이며, 믿음의 길입니다. 적용) 내가 성읍에서 나와 하나님께 항복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3. 공의를 실천하는 길을 가야 합니다(11~14절).
생명의 길을 가려면 불의를 버리고 공의를 행하는 길을 택해야 합니다. 본문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이 살아가야 할 삶의 기준을 분명하게 제시합니다. 이 말씀은 단순히 바벨론의 침략과 심판을 피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삶을 살 것을 요구합니다. 특히 이 본문은 다윗 왕조의 후손들과 예루살렘 주민들에게 "공의를 행하라"는 강력한 명령을 선포합니다. 하나님은 공의와 정의를 무시하는 자들에게 불같은 심판이 임할 것이라고 경고하십니다(14절). 공의를 행하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 아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명입니다. 이 사명을 감당할 때 우리는 진정한 생명의 길을 걸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공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그분을 따르는 자도 공의로운 삶을 살아야 합니다. 믿음은 행동으로 나타나야 하며,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삶이야말로 참된 믿음의 모습입니다. 적용) 내가 말씀을 따르지 않고 부정하게 행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결 론
바라기는 우리 수정교회 성도님들이 내게 찾아온 사건에서 기적과 문제해결만 구하지 않고 회개의 길, 말씀에 순종하는 길, 공의를 실천하는 길을 택하여 사망의 길을 생명의 길로 바꿔주시는 하나님을 경험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