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토요일 오후 1:10~4:00에 국내 경제 신문 기사들을 주제별로 몇개씩 선정하여
미리 준비된 질문으로 한국어로 토론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대역 2번 출구 앞 전용 모임 공간에서 진행됩니다.
초기에는 2012년부터 8년간 경제 신문 토론 진행을 한 운영자 Young이 진행하고
자리가 잡히면 돌아가면서 사회를 보게 됩니다.
토론 주제와 질문은 Young이 준비할 예정입니다.
(아래 질문 예시 참조)
관심있는 분은 운영자 Young에게 카톡주세요~(카톡 아이디 thehonest 친구 추가)
스터디 안정을 위하여 장소비 수준의 참가비를 8주 혹은 16주 단위로 미리 내는 식입니다.
(불참해도 기간 연기는 없습니다)
* 매주 2~3개의 핫 이슈에 대해 참고 기사를 검색해서 미리 읽고 와서
쟁점에 대해 한국어로 토론하는 방식입니다.
* 2025년 11월 29일 토픽 예시
지난 한주는 환율 문제, AI거품론에 따른 주가 하락, 일자리 문제와 자영업 위기 등이 이슈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1. AI 거품론
1-1. 증시 '검은 금요일' ...개인 '빚투' 날벼락
2025. 11. 22 한국경제
1-2. "조정"은 있지만 'AI 거품론'은 시기 상조.. 한 반도체 주는 아직 싸다.
2025. 11. 22 한국경제
2. 고환율 이슈
2-1. 외환 위기때보다 높아졌다... 고착화된 고환율
2025. 11. 18 한국경제
2-2. 국민연금.개미.기업, 해외 투자 폭증.. 최대 경상 흑자에도 '달러가뭄'
2025. 11. 18 한국경제
2-3. 구윤철 "원화 약세 고착화 안돼,, 국민연금 소방수 되나
2025. 11. 15 한국경제
3. 일자리 문제와 자영업 위기
3-1. "그냥 쉴래" '취포;에 알바 지원끝
2025. 11. 22 한국경제
3-2. 미 인플레에 고용냉각까지.. 기업 감원, 1년만에 최대
2025. 11. 18 조선일보
3-3. (산업도시가 무너진다) 해고 공포에 아침 눈뜨기가 무섭다
2025. 11. 18 조선일보
3-4. '스펙' 쌓아도...고학력 2030 장기 실업자 급증
2025. 11. 17 조선 일보
3-5. 개인회생 신청 11만건 '사상최대' 더딘 경기회복에 빚 못갚는다
2025. 11. 20 메트로
3-6. 영끌투자.돌려막기 등 곳곳 펑크 규모에 따른 부채 양극화도 커져
2025. 11. 20 메트로
* 특히 AI 거품론과 환율 문제 중 중요한 시사 이슈에 대해서는
AI 전략 및 정책 토론 게임을 통해 통찰력을 키워보실 수 있습니다.
* 토픽 질문 예시
- 각 토론 이슈에 대해 아래와 예시 같은 토론 질문을 미리 드립니다.
한미 제조 동맹의 미래와 한국의 대응 전략
배경
글로벌 제조 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은 중국과의 오랜 경제적 관계와 동시에 미국과의 제조 동맹을 심화하라는 압력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과제를 안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기술 굴기를 견제하기 위해 한국과의 제조 동맹 강화를 촉구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면서도 이민 노동을 제한하는 모순된 국내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이미 조지아주 한국계 공장에 대한 급습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건들은 미국의 경제·이민 정책 사이의 충돌을 드러내며 동맹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미국은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한국에 무역 협상 양보를 요구하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데, 일부 미국 학자들은 한국이 미국의 요구를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수출업체 지원을 직접 강화하는 것이 낫다고 제안한다. 한국에게 핵심 문제는 전략적 이익을 확보하고, 해외 사업장의 안정성을 보장하며, 변화하는 동맹 구도 속에서 장기적인 경제·안보 미래를 지키기 위해 협상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해도 질문 (Comprehension Questions)
1. 미국이 한국과의 제조 동맹 강화를 촉구하는 주요 이유는 무엇인가?
2. 미국의 이민 정책은 조지아주의 한국계 공장에서 어떤 모순을 드러내는가?
3. 최근 어떤 사건들이 한미 동맹의 신뢰와 안정성을 시험했는가?
4. 미국은 어떤 방식으로 무역 협상에서 한국을 압박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전술을 사용했는가?
5. 일부 미국 학자들이 제안하는 한국의 대안적 전략은 무엇인가?
토론 질문 (Discussion Questions)
1. 한국은 미국과의 제조 동맹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2.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인해 발생한 한국계 공장 급습 사례를 보았을 때, 한국은 어떻게 해외 사업장과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을까?
3. 한국은 독립적인 무역 전략을 채택해야 할까, 아니면 안보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의 요구에 더 긴밀히 부응해야 할까?
4. 한국이 미국의 무역 압박에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협상 전략은 무엇일까?
5. 한국이 미국 중심의 정책에 의존하기보다 수출업체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우선시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까?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참고 기사
美학자 “한국, 트럼프 말대로 할 바엔 수출업체 지원하는 게 낫다”
정다슬 2025. 9. 14. 08:58
https://v.daum.net/v/20250914085847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