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절을 짓는다는 것은 꿈에도 생각지 않고 있었는데 상좌들이 많이 생기다 보니 함께 공부할 곳이 마땅치 않아 해인사에 금강굴을 짓게 되었다. 해인사에서 소임을 보고 있던 천제스님과 의논해 금강굴을 짓고 난 후 큰스님이 아실까 두려워 3년 동안 인사를 드리지 못했다. 못난 중으로 숨어서 공부만 하겠다는 약속에 상반되는 일을 했기 때문에 갈 수가 없었다. 금강굴을 짓고 생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큰스님으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았다. 호되게 꾸짖는 경책의 편지를 받은 것이다.
“금생에 마음을 밝히지 못하면 한 방울 물도 소화하기 어려우니라. 今生未明心 滴水也難消
공부에 손해되는 일은 일체 하지 않아야 한다. 만사가 인연 따라 되는 것이니 모든 일은 인연에 맡겨두고 쓸데없는 신경은 필요 없다.
나와 남을 위한 일 착하다 해도 모두 생사윤회의 원인이 되나니 원컨대 소나무 바람 칡넝쿨 달빛 아래에 샘이 없는 조사선을 깊이 관할지어다. 爲他爲己雖微善 皆是輪廻生死因 願入松風蘿月下 長觀無漏祖師禪“
인사를 드리러 갔던 석남사 스님 한 분에게 던져 보낸 이 편지를 받고서야 겨우 인사를 드리러 갈 수 있었다. 큰스님은 지난 일은 묻지 않으시는 성정대로 금강굴에 대해 다시 말씀하지 않으셨다. 어느 날 금강굴을 짓는 데 큰 힘을 보탠 상좌의 부모가 "저희들 스님(딸)이 시주를 받아 얻어먹으면 빚이 되어 공부하기 힘들지 않겠습니까? 부모가 공양한 것으로 살아가면서 수행하면 어떨까요?" 하면서 논 스무 마지기를 시주할 뜻을 비쳤다. 그 일을 큰스님께 의논드리자 "여러 사람에게 복을 짓게 해야지 한 사람에게만 복을 지을 기회를 주어서는 안 된다. 주는 거라고 다 받아서는 안 된다"고 하셨다.
큰스님의 말씀을 듣고 시주를 사양했더니 두 번이나 더 간곡히 권고하기에 정중하게 거절했다. " 더 이상은 안 됩니다. 큰스님 말씀입니다. 여러 사람에게 시주를 받아야 복전(福田)이 심어집니다." 큰스님은 평소 돈은 비상과 같다고 하시면서 "거저 얻게 되는 돈을 뿌리치는 사람이 가장 용기 있고 청정한 사람이다" 라고 하셨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