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1. 의의
삐아제는 어린이의 지능측정이 너무 기계적인 방법으로 실시되고 처리되는 임상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2. 지적 구조이론
- 기본 가정
1) 인성은 지적 기능과 정적 기능의 통합이다.
2) 지적 과정은 인성의 기능들을 조직 통합한다.
3) 인간의 제 기능의 목표는 고차적인 평형에 있다.
- 지적 발단개념의 일반적 원리
1) 발달 과정의 계속적인 과정이다.
2) 발달은 일반화와 분화의 과정이다.
3) schema 의 차이가 행위와 경험의 차이를 낳게한다.
- 내용
1) 지능의 개념:
환경의 여러변화하는 조건과 대응하면서 사고와 행위를 재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2) 지적 기능과 지적 구조:
지적 기능은 행위의 일반적 특성이며 지적 구조는 연령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다.
3) 동화와 조절:
*동화: 새로운 대상이나 사물을 인지할때 기존 인지구조에 맞추어 인식하는 것이다.
*조절: 인간의 인지작용은 그와 같은 동화작용으로만 불가능한데 조절 가능한 종류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4)Schema: 내부적 도식또는 반사적 행동의 체제이다.
3. 인지발단단계
- 감각적 동작기(0~2)
1)감각동작에 의한 학습을 한다.
2)행동을 통하여 일차적 학습을 한다.
3)목적 성취에 대한 의식이 발달한다.
- 전개념기(2~4)
1)사물을 단일차원에서 분류한다.
2)상징적 기능이 나타난다.
3)언어가 출현한다
4)정신적 대치가 형성된다.
- 직관적 사고기(4~7)
1)보존개념에 대한 점차적 인식이 이루어 진다.
2)언어의 사용빈도가 증가한다.
3)사고는 자아중심적에서 벗어난다.
- 구체적 조작기(7~12)
1)추상적 개념을 이해한다.
2)구체적 사물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사고가 발달한다.
- 형식적 조작기(12세이상)
1)추상적 개념을 이해한다.
2)가설의 설정, 검증,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기본 개념
스키마타(Schemata, 도식) - 인간의 정신적 구조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피아제에 의하여 구체화되었다. 스키마타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의 자극에 대하여 적응하게 된다. 주변의 사건을 조직화하고, 공통된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동화(assimilation) -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지식에 통합하는 과정. 식물의 탄소동화 작용과 같이 인간의 인지적 과정도 일정한 동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한다. 동화의 과정은 단순히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지식에 쌓여가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과정을 거친다
조절(Accommodation) - 새로운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을 때 기존의 지식을 변형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조절이라고 부른다.
탐구훈련(Inquiry Training) -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형성된 교수 모형 중의 하나로써 문제 상황으로부터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수립하며 평가를 하는 일련의 탐구 과정을 가르치는 교수 모형
1. 피아제 이론의 기본 전제
• 기본적 질문– 인간의 지식(knowledge)이란 무엇인가?– 아동의 인지 발달(cognitive development)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지적, 인지적 발달 과정– 외부 환경의 요구에 대한 인간의 정신적인 적응과정(adaptation to environmental demands)– 아동은 성인의 사고 수준이 되기까지 사물과 사건에 대한 적극적인 성찰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끊임없이 재구성 -->행동주의에서는 지식을 알수 없기에 블랙박스라고 한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 주요 개념– 스키마타(schemata, 도식, 圖式)– 동화(assimilation; 외부 정보가 인지 정보에 자연스럽게 들어오는 것), 조절(accommodation), 평형화(equilibrium)– 인지적 조작(cognitive operation) -->인지발달 과정으로 발전함
2. 스키마타
• 스키마타의 정의– 인간의 정신적 구조(mental structure)로서, 이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의 유형(pattern)에 적응함– 주변의 사건들을 조직화하고 공통된 특성에 따라서 구분하는 기능을 담당– 사례: 개의 도식을 가진 아동
• 공통된 유형(pattern): 네 개의 다리, 긴 귀, 꼬리
• 이러한 상황에서 소를 처음 보는 경우, 개와 혼동을 일으켜 소를 개라고 도식화
• 이후 개와 소의 소리나 크기 등이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개와 구분하여 소의 도식을 형성
• 도식이 일반화되거나, 분화되거나, 연관성 있게 됨
• 스키마타의 발달– 정교화(refinement): 환경의 경험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재구조화– 추가(addition): 새로운 연결(link)이 생기는 것
• 스키마타의 의미– 어떤 것을 읽거나 들을 때, 마음 속에 나타나는 이미지 같은 것들– 스키마타의 유형
• 대상에 관한 스키마타: 의자, 배, 야구
• 추상적 사고나 감정: 사랑, 증오, 희망
• 행위: 춤, 구매행위
• 사건: 선거, 공연
• 개념을 포함하는 그 이상의 것
• 나무의 스키마타: 나무의 일반적 개념 이외에도 나무하면생각나고, 연상되는 것을 포함
3. 동화, 조절, 평형
• 문제 의식– 환경의 패턴과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아동의 인지 구조에 나타나는가?– 생물학의 적응(adaption), 소화의 개념을 원용
• 예: 인간의 신체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려고 함. 운동할 때 체온이 증가하면 어떻게 신체가 대응하는가?– 땀을 흘리거나, 피를 피부 근처로 보다 많이 보냄
– 인간의 인지 작용
• 새로운 사건을 볼 때, 비평형화 상태 발생. 이를 다시 평형화하기 위한 노력 실시– 동화, 조절, 평형의 과정 발생
• 동화(Assimilation)–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지식에 통합시키는 과정
• 참고: 식물의 탄소동화작용– 예: 개의 도식을 가지고 새로운 사례를 개의 유형으로 파악하는 것
• 단순히 새로운 지식이 쌓여지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통합됨
• 조절(Accomodation)– 새로운 학습 상황에 직면할 때, 기존 지식을 활용하게 됨– 이 때, 기존의 지식이 변형됨
• 예: 개의 도식에서 개와 늑대나 여우를 구분하는 형태로 변형, 발전되는 것
<교육적 시사점>
1. 피아제 이론의 교육적 의의
• ‘아동’의 학습 과정에 관한 유용한 설명의 틀 제공– 지식의 구성 관점에서 학습 과정을 설명 -->능동적
• 교육 이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 없었음– 학습 이론, 발달 이론에 대한 설명– 교육 이론은 향후 학자들의 몫
• 피아제 이론의 영향– 개별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한다(constructivism)는 전제를 바탕– 구성주의 학습 환경 설계에 영향을 줌 -->Learning environment design
• 교사의 역할: 직접적으로 지시하기 보다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 구성주의적 영향: 탐구 훈련, 발견 학습
• 일반적인 교육적 시사점(Schunk, 2004)– 인지 발달을 이해한다. * 학습자들마다 다른 인지적 수준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교수법 제공– 학습자들의 능동성을 유지한다. *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탐색과 실제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부조화를 유발한다. * 너무 쉽지도, 너무 어렵지도 않은 문제 제시– 사회적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 사회 환경은 인지 발달의 핵심적인 원천 -->부모, 엄마 등 * 사회적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활동의 계획 * 다른 관점이 있다는 것을 제시
2. 탐구 훈련(Inquiry Training)(Gillani, 2003)
• Suchman(1962)의 탐구 훈련– 독립적인 탐구 방법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 * 탐구 방법의 예: 가설 연역적 추론(hypothetical deductive reasoning)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설을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
• 탐구 훈련의 단계
• 단계 1: 학습자에게 문제를 제시하여 비평형 상태의 유발
• 단계 2: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설정
• 단계 3: 가설과 관련된 자료와 정보의 수집. 정보를 유용한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로 구분하고, 새롭게 조직화
• 단계 4: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설 검증
• 단계 5: 문제와 관련된 개념을 획득하였는지 평가
• 탐구 훈련의 교육적 의의– 문제 상황의 제시: 학습자를 혼란스럽게 함. 비평형 상태의 유발– 정보의 제공: 문제 해결과 관련된 자원을 제공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토하게 됨– 실험의 실시: 불필요한 정보의 제거 등– 가설 관련 최종 결론의 도출
• 탐구 훈련의 효과– Schrenker(1976): 과학 이해의 증가, 창의적 사고의 생산성 증가, 정보 획득과 분석력 증가– Voss(1982):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효과
3. 발견 학습(Discovery Learning)
• 발견 학습의 의미– 탐색, 실험, 연구, 질문을 추구– 전제: 적절한 자료와 개념의 획득은 학습 활동 과정 중에 발생한다.– Bruner(1962): 발견 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지니게 함, 고차원적 사고를 강조, 외적 동기보다는 내적동기를 강조, 중요한 사실을 기억하게 도와 줌
• 발견 학습의 구성– 일정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음– 다양한 형태의 시도 중 한 가지 모형
• 문제의 확인
• 가설의 설정
• 자료의 수집
• 자료의 분석 및 결론의 도출
1. 일반적 시사점
• 피아제 이론은 구성주의 학습 환경 설계에 큰 영향을 끼침– 구성주의 운동에 영향을 준 1960년대의 두 학자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인지적 발달이 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 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의 인지 과정은 인지구조로서 스키마타(Schemata)가 외부 환경의 자극에 대하여 끊임없이 동화와 조절의 과정을 거치면서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아동의 인지는 일정한 발단 단계를 거치는데 출생하여 2세 전까지의 감각운동기, 2세에서 7세 정도까지의 전조작기, 7세에서 12세 전후의 구체적 조작기 그리고 13세 이후의 형식적 조작기를 거치게 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능동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의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학습자에게 부조화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교수 모형이 제안되었다. 대표적으로는 탐구 과정을 훈련시키는 탐구훈련(Inquiry Training) 모형이 있으며,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발견하는 발견 학습(Discovery Learning)이 있다.
1)주요개념: 인지발달과정의 이해
모든 종은 두개의 기본적 경향, 또는 불변의 기능을 물려받는다. 그 두가지는 조직화와 적응이다.
1.조직화: 행동과 사고를 조리있는 체계로 결합->배열->재결합->재배열 하는것.
:사고과정을 심리학적 구조로 조직화한다.(높은 구조로 조직화)
분리된 행동구조->결합->배열->재결합->재배열
이러한 구조 자체가 도식이다.
`도식(schema): 사고의 기본단위. 우리가 세상에서 사물과 사건에 대해 정신적으로 표상하거나 '생각해보도록'하는 조직화된 행동 또는 사고의 체계
`도식의 발전과정: 감각운동적 도식-> 상징적 도식-> 조작적 도식
2. 적응: 기본적 과정- 동화와 조절
(1)동화: 자기의 인지구조에 따라서 환경에 반응하는 과정, 즉 이전에 이미 확립된 도식 혹은 인지구조의 틀에 의거하여 현재의 대상이나 사건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
즉, 도식의 성장에 영향을 끼쳐주는것. 사고의 큰 틀에는 변화가 없고, 그 틀을 깨지않는 범위 내에서 양적 성장만이 이루어진다.
(2)조절: 자신이 가진 기존의 도식이나 인지구조가 새로운 대상이나 사건을 동화하는데 적합하지 않을때 그 새로운 대상에 맞도록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이나 구조를 바꾸어 나가는 것
=>동화는 기존 도식을 사용함으로써 성장(양적변화)을, 조절은 새로운 어떤 것이 필요할 때 그들의 도식을 수정하고 첨가함으로써 발달(질적변화)를 각각 담당, 이둘은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며 환경에 적응.
3. 평형화: 환경에서 들어 온 정보와 인지적 도식간의 정신적 균형을 추구하는 것
즉. 동화와 조절의 통합과정을 말함
- 삐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 인간이 일생동안 가지는 네 개의 상이한 통합구조, 평형화 과정을 통한 인지구조의 질적 변화 단계
(1) 감각운동기:0-2세, 문제해결기술의 발달,모방의 시작, 대상 영속성의 발달
(2) 전조작기:2-7세. 전개념적사고의 단계(2-4세), 직관적사고의 단계(4-7세)
(3) 구체적 조작기:6,7-11,12세, 가역성 개념의 획득을 통한 보존성 과제의 성공적 수행, 유목화 또는 유목포함 조작의 분류가 가능함, 서열화 조작이 가능, 탈중심화
(4) 형식적 조작기:11,12-성인기초기, 가설적-연역적사고, 조합적 사고, 명제를 통해서 사고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