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6기 광주토종학교 교육과정 소개
1. 특징 - 도시농부, 귀농귀촌준비 등 토종씨앗∙토종농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배우는 기초과정입니다. - 토종씨앗으로 경작하고 채종하며 몸으로 하는 농사활동으로 나의 변화를 체험합니다. -1-5기 동문들이 스텝으로 함께 농사활동을 하여 편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교육목표 : ‘씨앗 받는 토종농사’+‘씨앗에서 밥상까지’ - ‘토종씨앗 토종농사’ 책의 내용으로 농사를 합니다. 필요시 이론교육도 병행합니다. - 최대한 씨앗 파종하고 화학농자재 사용 없이 소비하지 않는 경작을 합니다. 경작한 작물을 모두 밥상에 올려 자급하여 먹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 내가 사람의 씨앗 되어 “어떻게 살 것인가?” 자신의 답을 찾습니다.
3. 농사활동 : 공동 경작지 면적 약 70여 평 - 교육생들이 공동으로 함께 경작합니다. 교육기간중 개인 경작지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 경작지를 봄, 여름, 가을, 겨울작물로 일정 면적 구획하고 섞어짓기, 이어짓기, 돌려짓기를 합니다. -일정 면적에 심어진 작물은 씨앗을 받을 때까지 돌보기를 합니다. 식용하지 않습니다(자급용 별도 운영) -봄 채소작물과 열매채소, 호박 및 참외,콩,수수와 조 그리고 가을 김장작물을 심고 가꿉니다. 작물 공부와 재배법을 공부하고 실습합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다년생 산채 및 작물 연구를 위한 기후텃밭도 조성합니다. -겨울작물(양파, 마늘)도 농사합니다. 다음해 봄에 수확하여 씨앗을 나눕니다. -수확한 작물과 채종씨앗은 함께 나누고 씨앗 일부는 다음 교육생과 시민들에게 나눕니다. -증식용 씨앗을 관찰하면서, 채종하여 토종씨드림 등에 기부하고 시민 나눔 등 토종작물 종 다양성 활동에 기여합니다. -교육생들이 분과를 조직하여 살림살이를 합니다.(음식, 관찰기록, 씨앗관리, 환경정비 등) -교육생은 1달에 1번 농인문학강좌에 참여하며 보자기장에 셀러로 참여합니다. -매 교육 시장 전 몸풀기 및 텃밭요가를 진행합니다. -월1회 토종작물 식재료 활용을 위한 요리강좌 <전통지식의 재기능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4. 수강기간 - 입학: 2024년 3월 23(일) / 여름방학: 8월 3일(일) ~ 8월 10일(일) / 졸업: 2024년 12월 7일(일) - 매주 일요일 오전 9시30분 ~ 오후 2시(개인경작 활동은 편한 시간에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 상황에 따라 수업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5. 모집인원 - 선착순 15명 (부부는 할인합니다)
6. 수강료 및 입금계좌 -35만원/ 농협 301-0005-4905-11 광주전남귀농운동본부 -입학식 이후에는 수강료를 환불하지 않습니다. 입학식 이전에는 환불됩니다. -부부가 동시에 신청하면 20만원 할인하여 50만원입니다. -청년(20대)은 수강료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입학식 후 후원회원으로 등록하시기 바랍니다.
7. 신청기간 2025년 2월 15일부터 ~ 선착순 마감
8. 수강신청서 접수 및 문의 광주전남귀농운동본부 062)373-6183/농부운곡 010-3649-0952 수강료 입급 하시고 신청서 접수 soooshin@hanmail.net (수강신청서는 하단 첨부 참조)
9. 교육 장소:이론 및 텃밭 실습 : 유덕동텃밭정원/귀농동문 농가 (광주광역시 서구 유촌동 820-8번지) (교육 장소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10.교재 등 제공 - 교재 : "토종씨앗, 토종농사“ 제공 (저자 : 변현단, 출판사 : 이담북스) - 토종씨앗과 호미와 낫 등 농자재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