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1~1996 출생 밀레니얼 세대와 1997~2012 출생 Z세대가 공무원직을 떠나고 있습니다.
사직이유는 저임금, 연금안정성에 대한 우려, 경직된 업무 문화, 비효율적인 제도 등입니다.
올해 9급 국가공무원 시험의 경쟁률은 21.8대 1로 199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제 공무원사회도 급여및 복지의 대폭개선, 유휴인력감축 등 획기적인 개혁이 필요해 보입니다.
Why Gen Zers are leaving public servant jobs
젠지세대가 공무원 일자리를 떠나는 이유
By Anna J. Park 박안나 기자
Posted : 2024-11-30 11:52 Updated : 2024-11-30 11:52
Korea Times
Municipal administrations rush to offer incentive programs to retain young employees
지방자치단체, 젊은 직원을 유지하기 위해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서둘러 제공
Low wages, rigid work culture and ineffective systems in Korea's public service sector are driving away young public servants, encompassing millennials, born between 1981 and 1996, and Gen Zers, born between 1997 and 2012 — leading an increasing number of them to ditch their jobs.
한국의 공공 서비스 부문에서 저임금, 경직된 업무 문화, 비효율적인 제도로 인해 1981년부터 1996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1997년부터 2012년 사이에 태어난 Z세대를 포함한 젊은 공무원들이 일자리를 떠나고 있다.
While job security and a stable pension system were once considered the public service's greatest advantages, this appeal has diminished for younger generations, as low pay and a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fail to meet their expectations.
한때 고용안정과 안정적인 연금 시스템이 공공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으로 여겨졌지만, 저임금과 경직된 조직 문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젊은 세대에게는 이러한 매력이 줄어들고 있다.
It's now common to see YouTube videos or blog posts where former young civil servants share their reasons for leaving the job and pursuing new careers.
전직 젊은 공무원들이 퇴사하고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하는 이유를 공유하는 유튜브 동영상이나 블로그 게시물을 보는 것이 이제 일반적이다.
Numbers back this trend.
숫자는 이러한 추세를 되돌린다.
According to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28,934 civil servant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service resigned between 2018 and 2022.
공무원연금공단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근속 5년 미만 공무원 28,934명이 사직했다.
In 2022 alone, 13,032 public officials left their jobs, which is a whopping 72.6 percent jump from 7,548 in 2019. Among these, 3,020 civil servants resigned within just a year of their job assignment.
2022년에만 13,032명의 공무원이 직장을 떠났는데, 이는 2019년의 7,548명에서 무려 72.6%나 급증한 수치이다. 이 중 3,020명의 공무원이 직장에 부임한 지 1년 만에 사직했다.
A report by the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published earlier this year also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newly appointed civil servants among those resigning increased to 23 percent in 2023 from 17 percent in 2019. The report identified key factors behind these resignations: low wages, concerns over pension stability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 rigid culture of public service.
올해 초 발표된 국회조사처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임하는 공무원 중 새로 임명된 공무원의 비율은 2019년 17%에서 2023년 23%로 증가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사임의 주요요인을 저임금, 연금 안정성에 대한 우려, 젊은 세대의 가치관과 경직된 공직 문화 간의 불일치 등으로 파악했다.
The declining appeal of public service is also evident in recruitment.
공공 서비스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채용에서도 잘 드러난다.
The competition rate for the grade 9 national civil service exam this year dropped to 21.8 to 1, the lowest since 1992. For the grade 7 exam, a more advanced national civil servant test than the grade 9, the rate also fell to 40.6 to 1 this year, from 76.7 to 1 in 2016.
올해 9급 국가공무원 시험의 경쟁률은 21.8대 1로 199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9급보다 고급 국가공무원 시험인 7급 시험의 경우 2016년 76.7대 1에서 올해 40.6대 1로 떨어졌다.
In an effort to retain young public officials who are leaving their posts, the country's public servant salary committee, which negotiates with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recommended a wage increase of 2.5 percent to 3.3 percent for 2025. The government ultimately settled on a 3 percent raise.
퇴사하는 젊은 공무원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교섭 중인 공무원 급여위원회는 2025년 임금을 2.5%에서 3.3%로 인상할 것을 권고했다. 결국 정부는 3% 인상에 합의했다.
While this figure may seem modest, it is actually not on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1.7 percent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for the next year but also marks the highest wage increase rate for public officials since 2017.
이 수치는 완만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률인 1.7%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2017년 이후 공무원 임금 인상률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In the past four years, wage increases for public officials have remained at low levels: 0.9 percent in 2021, 1.4 percent in 2022, 1.7 percent in 2023 and 2.5 percent in 2024. As annual inflation rates during the period stood at 2.5 percent in 2021, 5.1 percent in 2022 and 3.6 percent in 2023, public officials' real wages, adjusted for inflation, have declined consistently.
지난 4년 동안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은 2021년 0.9%, 2022년 1.4%, 2023년 1.7%, 2024년 2.5% 등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 기간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공무원의 실질 임금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Besides the wage issue, improving the outdated organizational culture is just as crucial.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taining young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the government formed a committee in late October composed of 100 young public officials from across the country, aiming to develop measures to transform the rigid work culture within public service.
임금문제 외에도 시대에 뒤떨어진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공공 부문에서 젊은 근로자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10월 말 전국의 젊은 공무원 10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직 내 경직된 업무 문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The committee members came up with 10 key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culture reforms gathered through discussions. The 10 recommendations include: 1) no forced overtime work; 2) systemic handovers; 3) refraining from unnecessary contact outside of working hours; 4) considerate and respectful communication; 5) task allocation based on rank and experience; 6) listening to lower-level employees’ opinions in decision-making; 7) prohibiting the delegation of undesirable tasks to young officials; 8) avoiding discouragement when submitting vacation plans; 9) adjusting existing tasks when new responsibilities are added; and 10) strengthening practical training during probation periods.
위원들은 토론을 통해 수렴한 조직문화 개혁을 위한 10가지 주요 권고안을 제시했다. 10가지 권고안은 다음과 같다: 1) 강제 초과 근무 금지, 2) 체계적인 인계, 3) 근무 시간 외 불필요한 접촉 자제, 4) 배려하고 존중하는 소통, 5) 직급과 경력에 따른 업무 배분, 6) 의사 결정 시 하급 직원들의 의견 청취, 7) 청년 공무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업무 위임 금지, 8) 휴가계획서 제출 시 낙담 방지, 9) 신규업무 추가 시 기존업무 조정, 10) 수습 기간 동안 실무 교육 강화 등이다.
“The government is committed to continuously engaging with young officials and supporting their smooth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public service,” said Ko Ki-dong, vice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정부는 청년 공무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이들의 원활한 공직 적응과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Some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new employment benefit programs, such as long-term service leave for junior public officials, to boost the morale of young public servants.
일부 지방정부는 젊은 공무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후배 공무원의 장기 근속 휴가와 같은 새로운 고용 혜택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Daegu Metropolitan City introduced a long-term service leave system for junior public officials, aiming to prevent the departure of civil servants of the young generation. The system, which was previously only available to officials with over 10 years of service, is now available to public servants with five to 10 years of experience.
대구광역시는 젊은 세대 공무원의 이탈을 막기 위해 후배 공무원 장기 근속 휴직 제도를 도입했다. 기존에는 근속 10년 이상 공무원만 이용할 수 있던 이 제도는 이제 5~10년 경력의 공무원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city is working o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flexible use of annual leave and parental leave, as well as fostering a lunch-focused company meal culture.
또한 시는 연가 및 육아휴직의 유연한 사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성과 점심 중심의 회식문화 조성에 힘쓰고 있다.
Yongin in Gyeonggi Province also introduced a special leave for newcomers. According to the city's recently revised ordinance, civil servants with at least one to less than five years of service will now be granted three days of newcomer leave, which was not previously available.
경기 용인시도 신규임용자 특별휴가를 도입했다. 최근 개정된 시 조례에 따르면 근속기간이 1년 이상 5년 미만인 공무원은 기존에 사용할 수 없었던 3일의 신규임용자 휴가를 부여받게 된다.
A city official stated that such incentive programs designed for junior public servants are expected to help retain young public officials.
시 관계자는 후배 공무원을 위해 마련된 이러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젊은 공무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ublicservice공공서비스 #Rigidworkculture경직된업무문화 #Incentiveprograms인센티브프로그램 #Resignationtrend퇴사추세 #Organizationalculturereform조직문화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