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료 길항작용(Antagonism)과 상승작용(Synergism) H-PDC – 1
비료 성분들은 서로 혼합되고, 배지로 관수 후 서로 흡수를 도와 효과를 상승시키거나(상승 작용) 서로 흡수를 방해하는 길항 작용. 작물 재배할 때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양분, 질소, 인, 칼륨 등은 서로 흡수를 방해, 흡수 돕는 관계. 배지가 알카리성이 되면 Mn(망간), B(붕소), Zn(아연), Cu(구리), Fe(철) 흡수가 저하되고 결핍증상이 나타남. Mo(몰리브덴)은 반대로 산성에서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Fe은 습이 과다할 경우 나타나기 쉬움. 각 원소는 특정 환경에서 흡수나 서로 간 길항(억제) 및 상승작용으로 인해서, 많이 공급하였다고 생각을 하지만, 결핍에 드는 경우 있으니, 반드시 작물의 상태를 매일 확인을 하고 조사하고 다녀야 최고의 품질과 최상 생산량 확보. N(질소)는 K(칼륨)과 B(붕소)의 흡수를 억제, Mg(마그네슘)의 흡수 도움. B(붕소) 다른 원소들로부터 영향을 받을 뿐 자체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며 P(인)은 Fe(철), K(칼륨)과 Cu(구리)의 흡수를 방해 Mg(마그네슘)의 흡수 도움. Fe(철)은 P(인)의 흡수 방해, K(칼륨)은 Ca(칼슘), Mg(마그네슘), B(붕소)의 흡수를 억제, Fe(철)과 Mo(몰리브덴)의 흡수 도움. Md은 B(와 마찬가지로 다른 원소로부터 흡수 영향만 받으며, Ca은 Mg, Zn, B, Fe, K, Mn의 흡수를 방해, Cu는 Fe과 Mn의 흡수를 억제. Mg은 Ca, K의 흡수를 억제, P(의 흡수를 돕고, Zn(아연)은 Fe(철)의 흡수를 억제.
길항작용
*K(칼륨) → Ca(칼슘), Mg(마그네슘)
*Ca(칼슘) → Mg(마그네슘), K(칼륨)
*Mg(마그네슘) → K(칼륨), *Si(규산) → Ca(칼슘)
*NH4(요소) → K(칼륨), *Fe(철) → NH4(요소)
*P(인산) → SO4(황), *Ca(칼슘) → Zn(아연)
*Cl(염소) → B(붕소)
* Cu(구리) → Fe(철) * Fe(철) → Mn(망간)
*Fe(철), Mn(망간), NH4, SO4(황산)→Mo(몰리브덴)
상조작용(상승 작용)
* K(칼륨)→Mn(망간), Fe(철)
* P(인) → Mo(몰리브덴) * N (질소)→ Mg(마그네슘)
* Mg(마그네슘)→P(인산) * Si(규산)→ Mg(마그네슘)
* Ca(칼슘) → K(칼륨) * Mg(마그네슘) → Ca(칼슘)
흥농상회식물병원 010-4140-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