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의 데생
밤새도록 그려도 완성되지 않을
낭만과 불안의 화폭
ㅡ홍지윤
〚쪽수필 /오정순〛
불안과 거친 낭만을 수반한 비가 쏟아지면 밖으로 나가고 싶어진다. 눅눅하고 찝찝한 것보다 젖는 게 낫다고 조른다.
비는 연인을 만드는 초능력을 가졌고 홀로 카타르시스에 이르도록 돕는 개별적 재능도 있다. 잠시 불빛에 비쳐지는 모습을 보면서 낭만과 불안으로 범벅이 되어 있던 자신이 원위치로 돌아가기도 한다. 언제나 구원투수가 끼어들기 마련, 지나가던 차량의 클랙슨 소리, 경비 초소의 불빛 등이 그것이다.
13살의 중딩, 나는 비만 오면 교복을 가방에 넣고 체육복으로 갈아입고 무작정 비를 맞으며 걸었다. 어떤 감정 때문인지 왜 그러는지도 모르고 빗물에 눈물 섞어 울면서 걸었다.
중년이 다 되어 알아냈다. 나름 사춘기를 거치면서 월요일 조회 때마다 내 앞에 섰던 전교 어린이회장을 가슴 두근거리며 흠모하였던 모양이다. 졸업과 동시에 그 재미가 사라지자 어린 나이에 가슴앓이를 한 거였다. 시인이 말하는 낭만과 불안의 화폭이었던 것, 어찌 한번 일었던 첫 사랑의 느낌이 사그리 사라질 수가 있겠는가. 비만 오면 조건반사가 일어나는 생의 아릿한 감정, 60이 넘어서도 고개를 쭉 빼고 배재중학교 교정을 눈으로 훑고 지나가는 나를 보았다. 그 학교에 진학했다는 말로 끝이었으니까. 두 줄로 이야기를 쏟아내게 만드는 시에 힘 입어 잠시 늙은이 가슴에 태풍이 불고 지나간다.
ㅡ짝사랑이든 잃어버린 사랑이든 사랑은 흔적을 남긴다.
첫댓글 비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지요. 비를 맞는 것이 낭만이기도 하고 알 수 없는 불안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화폭의 불안정처럼 비에 대한 알 수 없는 그리움은 또 무엇일까요.
어딘가에 얽혀 있음으로 하여 피어나는 정서의 가닥이겠지요
내리는 빗속에서 사랑의 흔적
읽어낼수있는 감정
아직 사랑할수 있다는것을
말해주는것 이겠지요
여력이 남아있기도 하고요
지나간 감정이 소환되기도 하겠지요
비에 얽힌 다양한 서정성 말입니다
오늘 엄청난 소나기를 만나서
산사에 갇혀있었어요.
재미있게 빗소리 듣고 사진 찍으며.
낭만과 불안의 화폭은
아직도 계속됩니다.
운전이 너무 힘들 정도로 퍼부었거든요.
정말 쏟아졌더군요
지구가 멸망하기 전에는 계속 될 겁니다
저 긁힘같은 것이 상처라면 얼마나 아플까 싶습니다. 그래도 사랑을 택하겠지요.그시절에는요^^
비를 찍은 거랍니다.
순애보 시절 감성이로군요 ㅎ
부드럽게 긁었을 빗줄기
그래서 아릿하고 그립겠지요
단 두 줄로 비를 그려내신
홍지윤 선생님의 디카시와
오정순 선생님의 맛깔스런 글맛에
흠뻑 젖어듭니다.^^
비는 신묘한 선물입니다
디카시에서 두 줄의 명징한 빗줄기를 만났다면, 쪽수필에선 온 몸 흠뻑 적신 추억의 소나기를 만났습니다.
문장을 빗줄기로 읽으시니 참으로 맛납니다
공감 넘쳐서 행복합니다
어이쿠!!
부족한 글 이렇게
풍성하게 채워주시니
감사합니다
감상해주신 여러
선생님들께도 고마움
전합니다 ^^
홍샘의 고유한 색깔이 잘 드러나는 글이었습니다
짧아도 멀리 가는 감성입니다
저도 고등학교때 비를 쫄딱 맞고
서방시장에서 용봉동(전남대 후문)까지 걸었는데, 왜 그랬는 지... 어렴풋이 ... 첫사랑은 아니었고 인생 어떻세 살아야 하나 ... 그런 고민 때문이였던 것 같아요.
나는 비만 오면 양림동 다리를 울며 건넜지요
의대생은 좋은데 의사 되는게 싫어서
헤어져야 하는 아픔 때문에 요
초원의 빛의 나타리웃의 심정을 이해하던 날도
그렇게 울며 건넜지요
모든 게 아름다워요
낭만과 불안의 화폭에 쪽 수필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마음에 그림을 그립니다^^
어쩌면 그렇게 표현도 잘 하시는가요
누군가 글을 쓸 때는 다른 사람의 마음에 그림을 그리고 싶어서지요
잘 읽어주셔서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