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제부터인가 극우보수들의 집회에는 태극기와함께 미국국기가 등장했습니다.
성조기가 강력한 동맹을 상징하며, 민주주의의 수호자로서 미국의 우상화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그들은 미국이 일본의 식민통치로부터 한국을 해방시키고 한국전쟁 동안 한국을 방어한 것을 지적합니다.
최근 한미 방위비 대폭인상, 관세폭탄 속에서도 계속 성조기를 흔들 수 있을까요?
Why do conservative protesters wave American flags?
왜 보수시위대는 미국국기를 흔들까?
By Jung Da-hyun 정다현 기자
Jung Da-hyun is a reporter at The Korea Times, covering social issues in Korea, including foreign residents, education, environment and politics. Driven by a deep interest in people’s stories, she focuses on investigative and feature reporting through direct interviews and field coverage. She received the Amnesty International Korea Media Award for her “Deepfake Crisis at Schools” series. Reach her at dahyun08@koreatimes.co.kr. Always open to hearing your stories.
정다현은 코리아 타임즈의 기자로 외국인 거주자, 교육, 환경, 정치 등 한국의 사회 문제를 취재하고 있다. 사람들의 이야기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직접 인터뷰와 현장 취재를 통해 수사 및 특집 보도에 집중하고 있다. '학교의 딥페이크 위기' 시리즈로 국제앰네스티 한국미디어상을 수상했다. dahyun08@koreatimes.co.kr 에서 연락할 수 있다.. 항상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어있다.
Published Apr 9, 2025 9:01 pm KST Updated Apr 9, 2025 9:01 pm KST
Korea Times
For far right, Stars and Stripes symbolize strong alliance, idolization of US as guardian of democracy
극우파에게는 성조기가 강력한 동맹을 상징하며, 민주주의의 수호자로서 미국의 우상화를 상징
When Korea was grappling with political turmoil following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s abrupt declaration of martial law and subsequent impeachment, a familiar scene unfolded on the streets — conservative demonstrators waving American flags alongside Korea’s national flag of Taegeukgi.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계엄령 선포와 그에 따른 탄핵으로 한국이 정치적 혼란에 시달리고 있을 때, 거리에서는 보수 시위대가 태극기와 함께 태극기를 흔드는 익숙한 장면이 펼쳐졌다.
This became a symbolic fixture at right-wing rallies, intended to reflect deep-rooted ideological and historical ties between Korea’s conservative factions and the United States.
이는 우익 집회에서 상징적인 고정관념이 되었으며, 한국의 보수 세력과 미국 간의 뿌리 깊은 이념적, 역사적 유대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었다.
For these groups, the U.S. is more than an ally. It represents a symbolic guardian of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they believe is now under threat.
이들 그룹에게 미국은 동맹 이상의 존재입니다. 미국은 현재 위협받고 있다고 믿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상징적 수호자이다.
“We don’t see the current political crisis as a typical clash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said Kim Jin-il, former youth spokesperson for the conservative People Power Party’s South Gyeongsang Provincial Chapter. “This is a full-scale war of systems.”
김진일 전 국민의힘 경남도당 청년대변인은 "현재의 정치적 위기를 보수와 진보의 전형적인 충돌로 보지 않는다"며 "이것은 전면적인 체제 전쟁"이라고 말했다.
Within this framework, the concept of "anti-state forces"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China, reflecting a heightened sense of ideological threat.
이 틀 안에서 "반국가 세력"의 개념은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까지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으며, 이는 이념적 위협의 고조를 반영한다.
“The American flag symbolizes the alliance between Korea and U.S. and it stands for the historic role the U.S. has played in defending Korea’s liberal democracy,” Kim said.
"미국 국기는 한국과 미국 간의 동맹을 상징하며,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데 있어 미국이 해온 역사적인 역할을 상징한다."라고 김 대표는 말했다.
Especially among attendees at right-wing rallies, many belong to the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Cold War or inherited its strong anti-communist values.
특히 우익 집회 참석자들 중 많은 이들이 냉전을 겪거나 강력한 반공 가치를 물려받은 세대에 속한다.
They pointed to the U.S. liberating Korea from Japan's 1910-45 colonial rule and defending the country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portraying the U.S. as a steadfast protector of democracy.
그들은 미국이 1910-45년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한국을 해방시키고 1950-53년 한국 전쟁 동안 한국을 방어한 것을 지적하며, 미국을 민주주의의 굳건한 수호자로 묘사했다.
Their unwavering glorification of the U.S. leaves little room for critical engagement, leading many to overlook or dismiss recent tensions such as U.S. tariff measures that are hitting Korean businesses hard.
미국에 대한 그들의 흔들림 없는 미화는 비판적인 참여의 여지를 거의 남기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한국 기업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미국의 관세 조치와 같은 최근 긴장을 간과하거나 무시하게 만든다.
The conservative evangelical view is also playing a powerful role in pro-Yoon rallies. Far-right pastor Jeon Kwang-hoon of Sarang Jeil Church is a prominent figure at many of these rallies, frequently taking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and mobilizing supporters.
보수적인 복음주의적 시각도 친윤 집회에서 강력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랑제일교회의 극우 목사 전광훈은 이러한 집회에서 자주 지지자들을 조직하고 동원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저명한 인물이다.
He and his followers often frame their protests not simply as part of a political dispute, but as a spiritual battle to defend Korea’s Christian heritage and liberal democratic values.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종종 그들의 시위를 단순히 정치적 분쟁의 일부가 아니라 한국의 기독교 유산과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정신적 싸움으로 묘사한다.
They also look to Syngman Rhee, South Korea's first president, as a national patriarch. They idealize his legacy of pro-American, anti-communist and Christian governance. Rhee, who earned his doctorate in the U.S. and rose to power with American support, is remembered by these groups as a leader whose presidency embodied unwavering pro-U.S. sentiment.
또한 한국의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을 국가 총대주교로 바라본다. 그들은 친미, 반공, 기독교 통치의 유산을 이상화한다.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의 지지를 받아 집권한 이승만은 대통령직을 흔들림 없는 친미 감정을 구현한 지도자로 이들 단체에 의해 기억되고 있다.
The presence of American flags at conservative rallies is not a new phenomenon. During the protests opposing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6 and 2017, demonstrators also marched with both the Taegeukgi and the American Stars and Stripes in hand.
보수 집회에서 성조기가 등장하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2016년과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시위에서도 시위대는 태극기와 성조기를 모두 들고 행진했다.
Experts raise concerns about their growing influence, which was well displayed during the recent unrest at the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where far-right protesters, some of whom were carrying American flags, reacted violently after the court issued an arrest warrant for Yoon.
전문가들은 최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발생한 소요 사태 동안 잘 드러난 영향력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다. 법원이 윤 전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한 후 일부 극우 시위대가 격렬하게 대응했다.
“This shows how the far-right is evolving into a more politically organized force,” political commentator Park Sang-byung said.
정치 평론가 박상병은 "이것은 극우가 어떻게 더 정치적으로 조직된 세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Park emphasized that they may become more vocal and public in their stance, targeting not only perceived domestic enemies, such as progressive strongholds like the Jeolla regions, but also other countries. China could be one of the countries, as Yoon has cited Chinese interference in elections as one of grounds to send martial law troops to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n the night of the martial law imposition.
박씨는 전라권과 같은 진보적 거점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인지되는 국내 적을 겨냥해 보다 목소리를 높이고 공론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령이 발동된 날 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계엄군을 파견할 근거 중 하나로 중국의 선거 개입을 꼽아왔기 때문에 중국이 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They’re likely to grow louder in their anti-China rhetoric and push for the forced expulsion of Southeast Asian and Chinese migrant workers in the country,” he added.
"그들은 반중 수사를 더욱 강화하고 동남아시아 및 중국 이주 노동자들의 강제 추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Americanflag미국국기 #Far-right극우파 #Liberaldemocracy자유민주주의 #Anti-communism반공주의 #Ideologicalthreat이념적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