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전문가인 앤틱스의 CEO겸 창업자 로만 시가노프와 한국의 AI시장에 대한 인터뷰입니다.
한국이 글로벌 인공지능 경쟁에서 주요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규제는 기술 발전을 저해하기보다는 촉진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책임 있는 혁신을 지원하면서 블록체인과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AI expertise, gaming leadership, blockchain innovation makes Korea strategic market: AI expert
AI 전문가: AI 전문성, 게임 리더십, 블록체인혁신이 한국을 전략적 시장으로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Value context and insight. lkm@koreatimes.co.kr
가치있는 맥락과 통찰력. lkm@koreatimes.co.kr
Published Apr 15, 2025 4:03 pm KST
Korea Times
'Regulation must be designed to foster, rather than hinder, technological progress'
'규제는 기술발전을 저해하기보다는 촉진하도록 설계되어야'
Korea is rapidly emerging as a major player in the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Al) race as it fiercely competes with regional heavyweights such as China — where companies like DeepSeek are advancing AI innovation — and India, an AI expert said Tuesday.
한국이 딥시크와 같은 기업들이 AI 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와 같은 지역 강대국들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글로벌 인공지능(Al) 경쟁에서 주요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한 AI 전문가가 화요일 밝혔다.
The government’s decision to secure 10,000 high-performance graphics processing units (GPUs) to strengthen national AI infrastructure signals the country’s commitment to maintaining a competitive edge in AI-driven innovation, according to Roman Cyganov, CEO and founder of Antix, a Web3 platform driven by Al. Web3 is a next-generation, blockchain-backed internet.
AI웹3.0이 주도하는 웹3.0 플랫폼 Antix의 CEO이자 설립자인 로만 시가노프에 따르면, 정부가 국가 AI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고성능 그래픽 처리 장치(GPU) 10,000대를 확보하기로 한 결정은 AI 기반 혁신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겠다는 국가의 의지를 알리는 신호이다. AI. 웹3.0은 차세대 블록체인 지원 인터넷이다.
This investment, alongside Korea’s existing expertise in gaming, media and digital technology, enables the country to solidify its position as a frontrunner in AI-powered content creation and synthetic media development.
이번 투자는 게임, 미디어,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기존 전문성과 함께 AI 기반 콘텐츠 제작 및 합성 미디어 개발의 선두주자 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게 해준다.
"To sustain its leadership, Korea must continue foster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advancing regulatory clarity and incentivizing AI research to match the aggressive AI advancements seen in its neighboring markets," he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그는 코리아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은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규제의 명확성을 높이며 주변 시장에서 볼 수 있는 공격적인 AI 발전에 발맞춰 AI 연구를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The country is well-positioned, he added, to integrate AI-generated media into entertainment, gaming and advertising, creating immersive and personalized digital experiences at scale.
그는 AI로 생성된 미디어를 엔터테인먼트, 게임, 광고에 통합하여 몰입감 있고 개인화된 디지털 경험을 대규모로 창출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덧붙였다.
That is why he seeks partnerships with companies such as Nexon, NCSoft, Krafton and Netmarble – leaders in gaming innovation. AI-generated content can further enhance player engagement, storytelling and in-game interactivity, he said.
그렇기 때문에 그는 게임 혁신의 선두주자인 넥슨,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넷마블과 같은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으려고 한다. AI로 생성된 콘텐츠는 플레이어의 참여도, 스토리텔링, 게임 내 상호작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Korea’s technological landscape provides a fertile ground for strategic partnerships in AI, gaming and blockchain," he said. "We have followed these entities and their developments in Korea, and their approach to adopting AI to boost efficiency will undoubtedly speak volumes in the games they create, as seen on numerous occasions."
"한국의 기술 환경은 AI, 게임, 블록체인 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비옥한 기반을 제공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우리는 이러한 기업들과 그들의 한국에서의 발전을 따라왔으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를 채택하는 접근 방식은 여러 차례 보아온 것처럼 그들이 만든 게임에서 많은 것을 말해줄 것이다."
On the blockchain, platforms such as Kaia and Lambda256 are pioneering decentralized infrastructure solutions, Cyganov said.
사이가노프는 블록체인에서 카이아와 람다256과 같은 플랫폼이 탈중앙화 인프라 솔루션을 개척하고 있다고 말했다.
"Collaborating with these firms pres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blockchain-based verification systems for AI-generated content, ensuring greater security,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digital media," he said. "Furthermore, partnerships with leading AI research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Korea would provide access to cutting-edge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particularly in deepfake detection and real-time AI video generation."
"이러한 기업들과 협력하면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검증 시스템을 개발하여 디지털 미디어에서 더 큰 보안, 투명성 및 추적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라고 그는 말했다. "또한 국내 주요 AI 연구 기관 및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특히 딥페이크 탐지 및 실시간 AI 비디오 생성 분야에서 최첨단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By forging partnerships with key industry players, the firm seeks to push the boundaries of AI-driven content creation while ensuring the integrity and security of AI-generated media.
주요 업계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AI 기반 콘텐츠 제작의 경계를 허물고 AI 생성 미디어의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하고자 한다.
사진 삭제
Getty Images
Korea’s strengths
한국의 강점
Korea i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and crypto-savvy markets globally.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암호화폐에 능통한 시장 중 하나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Its strong digital infrastructure, high adoption rates and government-backed blockchain initiatives solidify its position as a leader in the Web3 economy, he said.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 높은 채택률, 정부 지원 블록체인 이니셔티브는 웹3.0 경제의 리더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The country has demonstrated a remarkable ability to integrate emerging technologies, particularly in decentralized finance, AI-enhanced blockchain solutions and digital asset tokenization, making it a key player in the evolving digital asset landscape," he said.
"이 나라는 특히 탈중앙화 금융, AI 강화 블록체인 솔루션, 디지털 자산 토큰화 등 신흥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입증하여 진화하는 디지털 자산 환경의 핵심 플레이어가 되었다."라고 그는 말했다.
One of Korea’s primary strengths is its engaged investor base, which includes both retail and institutional participants.
한국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소매업과 기관 참여자를 모두 포함하는 참여형 투자자 기반이다.
The country has also cultivated a strong ecosystem of blockchain startups, gaming enterpris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driving innovation in decentralized applications.
또한 블록체인 스타트업, 게임 기업 및 금융기관의 강력한 생태계를 조성하여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However, equally prevalent are structural challenges.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도 마찬가지로 흔하다.
"The crypto market remains highly centralized, with a few dominant exchanges, such as Upbit and Bithumb, controll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rading activity. This centralization limits competition and restricts the potential for more decentralized financial solutions to emerge at scale," he said.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고도로 중앙 집중화되어 있으며, 업비트와 빗썸과 같은 몇몇 지배적인 거래소가 거래 활동의 상당 부분을 통제하고 있다.
Still, he viewed Korea’s regulatory landscape favorably for evolving to keep pace with the rapid advancements in blockchain and digital assets.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급속한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 진화하는 한국의 규제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The government has taken significant steps to enhance investor protection and ensure compliance, which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rust in the market. As regulations continue to develop, there is an opportunity to create a framework that balances consumer protection with an environment that fosters innovation and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blockchain ecosystem," he said.
그는 "정부는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고 규정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상당한 조치를 취했다. 규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블록체인 생태계의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 환경과 소비자 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프레임워크를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말했다.
Regulation must foster progress
규제는 진보를 촉진해야 한다
Cyganov said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significant strides in creating a structured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crypto and blockchain sectors.
시가노프는 한국정부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부문에 대한 체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However, regulation must be designed to foster, rather than hinder, technological progress.
그러나 규제는 기술 발전을 저해하기보다는 촉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Korea should continue building upon its progressive regulatory stance to enable more individuals and businesses to participate in the crypto and blockchain sectors, fostering an inclusive and dynamic digital economy," he said.
"한국은 더 많은 개인과 기업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분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진보적인 규제 기조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포용적이고 역동적인 디지털 경제를 육성해야 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Korea should also position itself as a global destination for blockchain investment by adopting internationally aligned policies that encourage cross-border collaborations, particularly in emerging sectors such as AI-generated media.
한국은 특히 AI 생성 미디어와 같은 신흥 분야에서 국경 간 협력을 장려하는 국제적으로 정렬된 정책을 채택하여 블록체인 투자의 글로벌 목적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Given Korea’s commitment to advancing AI and blockchain, regulatory frameworks must evolve alongside these technologies to ensure the country maintains its competitive edge.," he said. "A flexible, forward-looking approach will allow Korea to continue driving blockchain and AI adoption while supporting responsible innovation."
"한국이 AI와 블록체인을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감안할 때, 규제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기술들과 함께 발전하여 한국의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유연하고 미래지향적인 접근방식은 한국이 책임 있는 혁신을 지원하면서 블록체인과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AIinnovationAI혁신 #Blockchaininfrastructure블록체인인프라 #Gamingleadership 게임리더십 #Regulatoryclarity규제의명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