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의 '7월패키지' 무역협상에 예상치못한 환율정책이 포함되었습니다.
지속적인 대미 무역 흑자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협상 카드로 달러대비 원화의 약세를 활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원화약세는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의 글로벌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제공해왔습니다.
따라서, 환율은 관세, 경제 안보 및 투자 협력에 관한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구실이 될 수 있습니다.
Is Korea's weak currency emerging as bargaining chip in trade talks?
원화약세가 무역협상에서 협상 카드로 떠오르고 있을까?
By Lee Kyung-min이경민 기자
Value context and insight. lkm@koreatimes.co.kr
가치있는 맥락과 통찰력
Published Apr 27, 2025 8:01 pm KST Updated Apr 27, 2025 8:01 pm KST
Korea Times
BOK head hopeful about ‘depoliticized’ won depreciation discussion between Korea, US FX authorities
한국은행, 한국과 미국 외환당국 간의 '비정치화'에 대한 희망적 전망, 원화절하논의에서 승리
Speculation is mounting over the unexpected, last-minute inclusion of exchange rate policy in the upcoming "July Package" trade negotiations, which are aimed at mitigating the impact of U.S. tariff shocks, market watchers said Sunday.
미국 관세 충격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7월 패키지' 무역협상에 예상치 못한 막판 환율정책이 포함된 것에 대한 추측이 커지고 있다고 시장관계자들이 일요일 밝혔다.
Many say the U.S. is seeking the Korean won's appreciation ahead of the release of the U.S. Treasury Department’s semiannual currency report in the first half.
많은 사람들이 미국이 상반기에 발표될 미국 재무부의 반기 통화 보고서를 앞두고 원화의 절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한다.
This move leverages months of a weak Korean currency relative to the U.S. dollar, the global reserve currency, as a key bargaining chip for Korea to address its sustained trade surplus with the U.S.
이번 조치는 한국이 지속적인 대미 무역 흑자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협상 카드로 글로벌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 대비 한국 통화의 약세를 활용한 것이다.
Others say the won's loss of ground against the dollar was driven by political uncertainties, amplified by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s Dec. 3 martial law declaration and the ensuing impeachment proceedings.
다른 사람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월 3일 계엄령 선포와 그에 따른 탄핵 절차로 증폭된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원화가 달러 대비 하락했다고 말한다.
This bolsters the argument against intentional market intervention by the Korean foreign exchange (FX) authorities.
이는 한국 외환당국의 의도적인 시장 개입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Bank of Korea Gov. Rhee Chang-yong said in Washington, Friday (local time), that the inclusion suggested by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has “a positive aspect,” since the Treasury has a deep understanding of exchange rate dynamics and is aware of Korea’s efforts to limit further won depreciation.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요일(현지 시간) 워싱턴에서 스콧 베슨트 재무장관이 제안한 환율변동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한국의 추가 원화 가치하락 제한 노력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Rhee is on a trip to Washington for a meeting of G20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heads as well a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World Bank spring meetings.
이총재는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 춘계 회의를 위해 워싱턴을 방문 중이다.
One U.S. dollar is currently worth more than 1,400 won, a far more extreme level than September 2023 when it was around 1,307 won.
미국 달러 1달러의 가치는 현재 1,400원 이상으로, 약 1,307원이었던 2023년 9월보다 훨씬 극단적인 수준이다.
According to economic policy and FX authorities, the inclusion could serve as a pretext for gaining the upper hand in negotiations over tariffs, economic security and investment cooperation.
경제 정책과 외환당국에 따르면, 이 포함은 관세, 경제 안보 및 투자 협력에 관한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구실이 될 수 있다.
A weak currency provides a significant price advantage for Korea, as it allows the country to sell its goods more cheaply in the global market, where it has long thrived as an export-dependent economy.
통화 약세는 한국이 오랫동안 수출 의존형 경제로 번영해 온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을 더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한국에게 상당한 가격우위를 제공한다.
The U.S. may revisit the issue of the weak currency yet again amid the ongoing tariff threats.
미국은 계속되는 관세위협 속에서 통화약세 문제를 다시 검토할 수 있다.
Korea was added to the U.S. monitoring list in November 2023 for meeting two of the three criteria.
한국은 2023년 11월에 세가지 기준 중 두가지를 충족하여 미국 모니터링 목록에 추가되었다.
Countries are placed on the list if they have a current account surplus of over $15 billion with the U.S., or if their current account surplus exceeds 3 percent of the country’s GDP.
국가들은 미국과의 경상수지 흑자가 150억 달러를 넘거나, 경상수지 흑자가 국가 GDP의 3%를 초과하는 경우 목록에 포함된다.
These countries will also be on the list if their FX authority net buys U.S. dollars for at least eight out of 12 months, with the total amount purchased exceeding 2 percent of GDP.
이들 국가는 또한 외환 당국이 12개월 중 최소 8개월 동안 미국 달러를 순매수하고 총 매입 금액이 GDP의 2%를 초과하는 경우 목록에 포함된다.
Korea is almost certain to remain on the list in the upcoming report, set to be released around June.
한국은 6월경에 발표될 예정인 이번 보고서에서 거의 확실한 목록에 남을 것으로 보인다.
Its trade surplus with the U.S. stood at around $66 billion as of the end of 2024.
2024년 말 기준 대미 무역 흑자는 약 660억 달러에 달했다.
Korea’s current account surplus is expected to be about 5.3 percent of GDP.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GDP의 약 5.3%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Concerns linger that the U.S. might designate China as a currency manipulator again, as it did in 2019.
미국이 2019년과 마찬가지로 중국을 다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다.
This could cause a spillover effect in Korea, manifesting as a drop in the value of its currency, which typically moves in sync with the Chinese yuan. A deeper economic downturn in the Korean economy, influenced by China’s slowdown, is also likely.
이는 한국에서 파급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국 위안화와 동조하여 움직이는 자국 통화 가치 하락으로 나타날 수 있다. 중국의 경기 둔화에 영향을 받아 한국 경제가 더 깊은 경기 침체를 겪을 가능성도 있다.
Meanwhile, Rhee said that U.S. Treasury officials will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cent months of sharper won depreciation in the context of Korea’s political turmoil.
한편, 이총재는 미국 재무부 관리들이 최근 몇 달간 한국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급격한 원화가치 하락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he simple level of the won is far lower than what politics and other factors can explain,” he told reporters in the U.S. capital.
그는 미국 수도에서 기자들에게 "원화의 단순한 수준은 정치와 다른 요인들이 설명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낮다"고 말했다.
“The Treasury officials understand this technically, and will have a discussion with their Korean peers, with political overtones removed."
"재무부 관리들은 이를 기술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정치적 오버톤을 제거한 채 한국 동료들과 논의할 것이다."
#ExchangeRatePolicy환율정책 #WeakKoreanWon원화약세 #TradeNegotiations무역협상 #U.S. TreasuryCurrencyReport미국재무부통화보고서 #TradeSurplus무역 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