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요일, 서울에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장남을 만나기위해 우리나라 최고경영자들이 줄을 섰습니다.
네이버 이해진 창업자는 1시간동안 AI,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 등을 협의했습니다.
한화의 김동관/동원/동선 3형제, CJ 이재현회장, 롯데장남 신유열실장,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 등을 만났습니다.
그와의 만남이 해당회사는 물론 우리경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기를 기대합니다.
Korean top biz leaders engage Trump Jr. to navigate trade uncertainties
한국 최고의 비즈니스리더들이 무역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남
By Nam Hyun-woo 남현우 기자
Nam Hyun-woo has worked as a staff writer at The Korea Times since 2013, mostly covering business and politics. He currently belongs to the Business Desk where he covers topics such as emerging tech, AI, ICT and Korea's chaebol community. Prior to joining the team, he was the paper's correspondent for the presidential office of Korea during the Yoon Suk Yeol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남현우는 2013년부터 코리아 타임즈에서 주로 비즈니스와 정치 분야를 담당하는 스태프 기자로 근무하고 있다. 현재 비즈니스 데스크에 소속되어 있으며 신흥 기술, AI, ICT, 한국 재벌커뮤니티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부서에 오기전에는 윤석열과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파원으로 근무했다.
Published Apr 30, 2025 4:46 pm KST Updated Apr 30, 2025 7:51 pm
Korea Times
Officials from Hanwha, Naver, KB among those having meeting with US president's son
한화, 네이버, KB 관계자들이 미국 대통령의 아들을 만남
Korea’s top business leaders lined up to meet Donald Trump Jr., the eldest son of U.S. President Donald Trump, in Seoul on Wednesday, seeking to navigate uncertainties stemming from the Trump administration’s volatile trade policies and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ir U.S. business ties.
한국의 최고 경영자들은 수요일 서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기 위해 줄을 서서 트럼프 행정부의 불안정한 무역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미국과의 비즈니스 관계를 강화할 방법을 모색했다.
Trump arrived in Seoul on Tuesday evening for a two-day stay. His visit follows an invitation from Shinsegae Group Chairman Chung Yong-jin, who is known to have close ties with the younger Trump. He has no official position in the U.S. administration but is known as a key presence in Washington.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간의 일정으로 화요일 저녁 서울에 도착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젊은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에 따른 것이다. 그는 미국 행정부에서 공식적인 직책은 없지만 워싱턴의 핵심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His arrival has drawn significant attention, as the meetings offer Korean firms exporting to the U.S. a rare opportunity to engage directly with someone closely connected to President Trump and potentially establish a reliable communication channel with Washington.
그의 도착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밀접하게 연결된 사람과 직접 소통하고 워싱턴과 신뢰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을 구축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큰 주목을 받았다.
In the morning, Hanwha Group’s owner family — Hanwha Group Vice Chairman Kim Dong-kwan, Hanwha Life Insurance President Kim Dong-won and Hanwha Galleria Vice President Kim Dong-seon — visited the Josun Palace Hotel in southern Seoul, where Trump was staying.
오전에 한화그룹 오너 일가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서울 남부 조선팰리스 호텔을 방문했다.
The brothers reportedly had a 45-minute conversation with Trump. Details of the discussion remain unknown, while Kim Dong-won, who was seen at a nearby coffee shop, told reporters, “We’re just here to grab some coffee.”
형제는 트럼프와 45분간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자세한 논의 내용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인근 커피숍에서 목격된 김동원은 기자들에게 "커피를 마시러 왔을 뿐"이라고 말했다
Given Hanwha Group’s portfolio spanning defense, shipbuilding and energy, talks are presumed to have centered on potential cooperation in those sectors within the U.S.
방위, 조선, 에너지를 아우르는 한화그룹의 포트폴리오를 고려할 때, 미국내 해당 분야에서의 잠재적 협력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Hanwha Group is proactively expanding its presence in the U.S. shipbuilding market following its acquisition of Philly Shipyard in December last year. The shipyard is stoking prospects for business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expressed interest in partnerships with Korean shipbuilders.
한화그룹은 지난해 12월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인수한 데 이어 미국 조선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조선사와의 파트너십에 관심을 표명하면서 조선소는 양국 간 비즈니스 협력전망에 불을 붙이고 있다.
The group is also building a solar power manufacturing complex, dubbed “Solar Hub,” in Georgia. The facility will produce ingots, wafers, cells and solar modules. The complex is expected to create 1 trillion won ($703 million) in additional benefits every year through various incentives from the U.S. government.
이 그룹은 조지아에 '솔라허브'라는 이름의 태양광 발전 제조 단지도 건설하고 있다. 이 시설은 잉곳, 웨이퍼, 셀, 태양광 모듈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미국정부의 다양한 인센티브를 통해 매년 1조 원(7억 3,300만 달러)의 추가 혜택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Naver founder Lee Hae-jin also had a meeting with Trump Jr.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씨도 트럼프 주니어와 미팅을 가졌다.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Lee and Trump held an hour-long conversation at the hotel. A Naver official said they “exchanged view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nd (Naver’s) global expansion” and “had a positive discussion on potential cooperation.”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 의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호텔에서 1시간 동안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네이버 관계자는 "인공지능(AI), 기술,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잠재적 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논의를 나눴다"고 말했다.
Naver has been striving to make forays into overseas markets. In the U.S., the company has been trying to expand its presence by acquiring secondhand trading platform Poshmark and listing Webtoon Entertainment, the parent company of Naver Webtoon, on the Nasdaq market. More recently, it has been seeking a breakthrough in global expansion for its AI model, HyperCLOVA X.
네이버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해 왔다. 미국에서는 중고거래 플랫폼 포쉬마크를 인수하고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를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는 등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최근에는 AI 모델인 HyperCLOVA X의 글로벌 진출에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Trump Jr. has also expressed interest in AI businesses. Before arriving in Seoul, he visited Bulgaria for AI and cryptocurrency investment talks, attending a forum hosted by Nexo Capital.
트럼프 주니어는 AI 비즈니스에도 관심을 표명했다. 서울에 도착하기 전에는 넥소 캐피탈이 주최한 포럼에 참석하여 AI 및 암호화폐 투자 강연을 위해 불가리아를 방문했다.
In February, Trump Jr. and his brother Eric invested in American Data Centers, which aims at “addressing the growing demand for high-performance computing infrastructure” to support AI, cloud computing and cryptocurrency mining.
지난 2월, 트럼프 주니어와 그의 동생 에릭은 AI, 클라우드 컴퓨팅 및 암호화폐 채굴을 지원하기 위해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메리칸 데이터 센터에 투자했다.
In the afternoon, CJ Group Chairman Lee Jay-hyun and Lotte Group Vice President Shin Yoo-yeol also paid a visit to Trump Jr.
오후에는 CJ그룹 이재현 회장과 롯데그룹 신유열 부사장도 트럼프 주니어를 방문했다.
CJ CheilJedang, CJ Group's flagship unit, has invested 700 billion won to build an Asian food manufacturing facility in South Dakota. Chairman Lee reportedly raised the need to ease tariff barriers and regulations related to food exports.
CJ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CJ제일제당이 사우스다코타에 아시아 식품 제조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7천억 원을 투자했다. 이 회장은 식품 수출과 관련된 관세 장벽과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Shin, the eldest son of Lotte Group Chairman Shin Dong-bin, is believed to have discussed the impact of U.S. tariffs on Lotte Group's food exports to the U.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Lotte Biologics' manufacturing capacity in the country.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 실장은 미국 관세가 롯데그룹의 대미 식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국내 생산 능력 확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Lotte Biologics, a biopharmaceutical contract manufacturer, is seeking to expand its presence in the U.S. based on its facility in New York.
바이오 의약품 계약 제조업체인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뉴욕에 위치한 시설을 기반으로 미국 내 입지를 확대하려고 한다.
Along with them, Korean Air Chairman Cho Won-tae and LS Group Chairman Koo Ja-eun also met with Trump Jr. in search of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U.S.
그들과 함께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과 LS그룹 구자은 회장도 미국에서 사업기회를 찾기 위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KB Financial Group Chairman Yang Jong-hee also met with Trump during his visit. A group official said it seems Chung introduced Yang to Trump Jr. as a leading figure in the finance sector, and they talked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finance sectors.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도 이번 방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그룹 관계자는 정 회장이 양 회장을 금융 분야의 대표 인사로 트럼프 주니어에게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며 양국 금융권 간 협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Meanwhile, the heads of Korea's top four conglomerates — Samsung, SK, Hyundai Motor and LG — did not meet with Trump Jr.
한편, 삼성, SK, 현대 자동차, LG 등 한국의 4대 대기업 총수들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지 않았다.
"It seems the leaders of the top four conglomerates chose not to meet Trump Jr. through unofficial channels, given that he does not hold an official position in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Korea’s tariff negotiations with the U.S. are still ongoing," a conglomerate official said.
대기업 관계자는 "트럼프 주니어가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갖고 있지 않고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위 4개 대기업의 지도자들이 비공식 채널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지 않기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radeuncertainties무역불확실성 #Businessleaders비즈니스리더 #Cooperation협력 #ArtificialIntelligence(AI)인공지능 #U.S.marketexpansion미국시장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