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부총리가 탄핵 위협 속에서 갑작스럽게 사임해 한국의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는 미국과의 2+2 회담에서 관세, 경제안보, 투자협력, 환율정책 등 에 대해 폭넓은 합의를 이끌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발생한 최 부총리의 사임은 한국의 국제 신뢰도에 위협이 되며 협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덕수대행은 왜 15분만에 최부총리의 사임을 수락했을까요?
Korea’s global economic outreach at risk as top policymakers quits
최고 정책입안자들이 사임함에 따라 위험에 처한 한국의 글로벌 경제확장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Lee Yeon-woo is a financial journalist at The Korea Times. Her wide range of reporting includes policies, macroeconomics, stock market, companies and even crypto. She is passionate about connecting the dots in Korean finance and making it easier for foreign nationals to understand. Based on her previous experience as a national reporter, she also has a keen interest in social issues within the sector, including gender equality and ESG. Your tips and insights are always appreciated. You can send them to yanu@koreatimes.co.kr.
이연우는 코리아 타임즈의 금융 저널리스트이다. 정책, 거시경제, 주식시장, 기업, 심지어 암호화폐까지 다양한 분야의 보도를 담당하고 있다. 그녀는 한국 금융의 점을 연결하고 외국인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열정적이다. 또한 국내부 기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평등, ESG 등 해당 분야의 사회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여러분의 조언과 인사이트는 언제나 감사드린다. yanu@koreatimes.co.kr 으로 보내주시면 된다.
Published May 2, 2025 2:08 pm KST Updated May 2, 2025 4:51 pm KST
Korae Times
Finance ministry shifts to emergency mode after Choi Sang-mok resigns
최상목장관 사임후 기재부, 비상모드로 전환
Former Economy and Finance Minister Choi Sang-mok had been at the forefront of safeguarding Korea’s external credibility following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s Dec. 3 martial law declaration and has played a key role in ongoing tariff negotiations with the U.S. His abrupt resignation on Thursday amid threats of impeachment from the National Assembly has fueled growing concern among market watchers over Korea's future global economic outreach.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 한국의 대외 신인도를 지키는 데 앞장섰으며, 현재 진행 중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국회의 탄핵 위협 속에서 목요일에 갑작스럽게 사임한 그의 발언은 시장 관찰자들 사이에서 한국의 향후 글로벌 경제 확장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As of 12:00 a.m. Frida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ransitioned to an acting leadership system, with First Vice Minister Kim Beom-seok assuming the role of acting deputy prime minister and finance minister.
금요일 오전 12시부터 기획재정부는 김범석 제1차관이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대행을 맡는 등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했다.
"It is unfortunate that Choi had to step down due to the impeachment motion," Kim said Friday during a meeting with Korea’s top four financial leaders. "We will activate a 24-hour emergency response system to minimize the impact of heightened political uncertainty on the financial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김 대행은 금요일 국내 4대 금융 지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탄핵안 발의로 인해 최 씨가 물러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진 금융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Choi’s departure comes at a particularly vulnerable time, as Korea faces growing pressure over U.S. tariffs.
최 부총리의 퇴임은 특히 취약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한국은 미국 세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He had been leading the ongoing trade negotiations aimed at easing U.S. reciprocal tariff measures. During two-plus-two talks with U.S. Treasury Secretary Scott Bessent, Choi secured broad agreement on key issues — including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economic security, investment cooperation and exchange rate policy.
그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완화를 목표로 진행 중인 무역협상을 이끌고 있었다. 스콧 베슨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2+2 회담에서 최 부총리는 관세 및 비관세 장벽, 경제안보, 투자협력, 환율정책 등 주요 이슈에 대해 폭넓은 합의를 이끌어냈다.
Now, the task of finalizing the so-called “July Package” framework ahead of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 while fending off increasing U.S. pressure for an early deal — falls solely to Trade Minister Ahn Duk-geun. Korea began working-level talks this week. Even more concerning is the issue of currency policy, which had been reserved for direct discussions between Korea’s finance ministry and the U.S. Treasury. The leadership disruption could significantly weaken Korea’s negotiating leverage on the issue.
이제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이른바 '7월 패키지' 프레임워크를 마무리하는 동시에 조기 타결을 위한 미국의 압박을 피하는 과제는 오로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에게 달려 있다. 한국은 이번 주부터 실무 협상을 시작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한국 재무부와 미국 재무부 간의 직접적인 논의를 위해 보류되었던 통화 정책 문제이다. 리더십 붕괴로 인해 이 문제에 대한 한국의 협상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다.
Choi's resignation, reflecting ongoing political instability, is also expected to pose a threat to Korea's international credibility. Since December, Choi has held high-level meetings with finance ministers from major economies, global credit rating agenc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leaders to reassure markets that political unrest was not translating into economic volatility. Those efforts appeared to pay off when global credit rating agencies Fitch and S&P reaffirmed Korea's sovereign credit rating at the same level in February and April, respectively.
최부총리의 사임은 지속적인 정치적 불안정을 반영하며, 한국의 국제적 신뢰도에도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부터 최 부총리는 주요 경제국 재무장관, 글로벌 신용평가사, 국제기구 지도자들과 고위급 회의를 열어 정치적 불안이 경제 변동성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시장에 안심시켰다.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와 S&P가 각각 2월과 4월에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동일한 수준으로 재확인했을 때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However, Choi’s abrupt resignation — and the uncertainty it brings — may now cast doubt on the durability of those reassurances.
그러나 최부총리의 갑작스러운 사임과 그로 인한 불확실성은 이제 이러한 보장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The consecutive resign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cting presidential successors have raised concerns over a leadership vacuum ahead of the early June election, heightening political uncertainty and fueling fears of a weaker won," said Woori Bank economist Min Kyung-won.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1, 2대 대통령 권한대행의 연이은 사퇴로 6월 초 선거를 앞두고 리더십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원화 약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Choi tendered his resignation at 10:28 p.m. Thursday, shortly after the National Assembly, led by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submitted an impeachment motion against him.
최부총리는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이끄는 국회가 탄핵소추안을 제출한 직후인 목요일 오후 10시 28분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Choi had been set to assume the role of acting president, following the resignation of former acting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Han Duck-soo, who stepped down the same day to ru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Han accepted Choi’s resignation just 15 minutes later.
최부총리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같은 날 물러난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사임한 후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맡을 예정이었다. 한 대행은 불과 15분 만에 최 부총리의 사임을 수락했다.
"I sincerely apologize for stepping down at a time when domestic and global economic conditions remain extremely challenging," Choi said in a message to the press issued shortly after his departure.
최부총리는 퇴임 직후 언론에 보낸 메시지에서 "국내 및 글로벌 경제상황이 여전히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물러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Resignation사임 #Politicaluncertainty정치적불확실성 #U.S.tariffs미국관세 #Economiccredibility경제신뢰도 #Actingleadership권한대행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