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2023년 3년 생존율은 53.8%, 5년 생존율은 39.6%를 기록했습니다.
헤어샵과 '펜션' 게스트하우스는 각각 73.4%와 73.1%로 3년 생존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많은 소상공인들이 치솟는 인건비와 빈약한 소비자 수요로 인해 내년 최저임금 동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시급한 것은 최저입금동결보다 얼어붙은 경기를 어떻게 살리느냐가 아닐까요?
1 in 2 self-employed businesses fold within 3 years: tax agency
세무당국: 자영업자 2명 중 1명이 3년 이내에 폐업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Value context and insight. lkm@koreatimes.co.kr
가치있는 맥락과 통찰력
Published May 1, 2025 4:23 pm KST
Korea Times
Only about half of self-employed businesses survive beyond three years and nearly 60 percent close within five amid the deepening economic downturn, government data showed Thursday.
경기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약 절반만이 3년 이상 생존하고 5년 이내에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im figures come at a time when many small business owners are calling for a freeze in next year’s minimum wage, strained by surging labor costs and anemic consumer demand.
이 암울한 수치는 많은 소상공인들이 치솟는 인건비와 빈약한 소비자 수요로 인해 내년 최저임금 동결을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 나온 것이다.
According to National Tax Service data, which shows the survival rates of the top 100 self-employed sectors from 2019 to 2023, the three-year survival rate stood at 53.8 percent in 2023 and the five-year rate came to 39.6 percent.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상위 100대 자영업 부문의 생존율을 보여주는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년 생존율은 53.8%, 5년 생존율은 39.6%를 기록했다.
Those figures are significantly down from the one-year survival rate of 77.9 percent.
이 수치는 1년 생존율인 77.9%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Hair shops and "pension" guest houses had the highest three-year survival rates of 73.4 percent and 73.1, respectively.
헤어샵과 '펜션' 게스트하우스는 각각 73.4%와 73.1%로 3년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However, the rate was below average for online telecommunication shops (45.7 percent), snack shops (46.6 percent) and fast-food businesses, including fried chicken and pizza shops (46.8 percent).
그러나 온라인 통신 상점(45.7%), 스낵상점(46.6%), 그리고 프라이드 치킨과 피자 가게(46.8%)를 포함한 패스트푸드점의 비율은 평균 이하였다.
“Many self-employed fried chicken shop owners are closing their businesses only months after opening — a couple of quarters if they are lucky,” said the owner of an eatery in Seoul.
서울의 한 식당 주인은 "많은 치킨가게 영업자들이 - 운이 좋으면 몇 분기- 개업한 지 몇 달 만에 폐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Stagnant consumer spending in the years after the COVID-19 pandemic have yet to recover. In addition, a rapid increase in postpandemic borrowing costs has significantly curtailed the spending power of most, he said.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몇 년 동안 정체된 소비자 지출은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 또한 팬데믹 이후 차입 비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대부분의 소비력이 크게 감소했다고 그는 말했다.
“Eating out or ordering in has become a luxury. Many are cutting back spending on what they can live without. Businesses that provide such services are going down.”
"외식을 하거나 주문하는 것은 사치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없이 살 수 있는 것에 대한 지출을 줄이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쇠퇴하고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mum Wage Commission of 3,070 business owners and 6,084 workers late last year, 67.2 percent of small business owners said the minimum wage should be frozen for 2026.
한편, 작년 말 최저임금위원회가 3,070명의 사업주와 6,084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67.2%가 2026년 최저임금을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다.
This year’s minimum hourly wage, set last year, is 10,030 won ($6.90), up 1.7 percent from 2024. The commission began discussions on next year’s figure last week.
작년에 책정된 올해 최저시급은 2024년보다 1.7% 인상된 10,030원(6.90달러)이다. 위원회는 지난주 내년도 수치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The survey also showed that nearly half, or 47.4 percent, said the current minimum wage is “very high” or “somewhat high.”
설문조사에 따르면, 거의 절반인 47.4%가 현재 최저임금이 "매우 높다" 또는 "다소 높다"고 답했다.
A separate survey by the Korea Federation of SMEs also showed that 86.7 percent of business owners who recently closed cited soaring labor costs as the main reason.
중소기업중앙회의 별도 조사에 따르면, 최근 폐업한 사업주의 86.7%가 인건비 급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Self-employedbusinesssurvival자영업자생존율 #Economicdownturn경기침체 #Minimumwagefreeze최저임금동결 #Laborcosts인건비 #Consumerspending소비자 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