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들은 6/3일 투표를 앞두고 게임, 인플루언서 마케팅, 바이럴 콘텐츠 등 디지털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국회를 배경으로 한 PC 게임에 캐릭터로 등장해 디지털 문화를 받아들였습니다.
최연소 대선 후보인 이준석 후보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유도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의 김문수 후보는 디지털 콘텐츠가 많지않아 60대 이상 유권자들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입니다.
Presidential campaigns go digital with games, influencers
게임, 인플루언서와 함께하는 대선 캠페인 디지털화
By Baek Byung-yeul 백병열 기자
Baek Byung-yeul is a journalist at The Korea Time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including films and cultural events in South Korea. You can contact him at baekby@koreatimes.co.kr to share your insights.
백병열은 한국의 영화와 문화 행사를 포함한 문화 콘텐츠에 초점을 맞춘 코리아 타임즈의 기자이다. baekby@koreatimes.co.kr 에서 연락하여 인사이트를 공유할 수 있다.
Published May 15, 2025 8:00 am KST Updated May 15, 2025 8:00 am KST
Korea Times
As the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officially began Monday, candidates are moving beyond traditional rallies by adopting creative digital strategies, such as gaming, influencer marketing and viral content, to win over young voters ahead of the June 3 vote.
월요일 대선 캠페인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면서 후보들은 6월 3일 투표를 앞두고 게임, 인플루언서 마케팅, 바이럴 콘텐츠 등 창의적인 디지털 전략을 채택하여 젊은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These new campaign tactics signal a broader shift in Korea’s political marketing, with candidates increasingly highlighting how online engagement is now as crucial as traditional policy debates.
이러한 새로운 캠페인 전략은 한국 정치 마케팅의 광범위한 변화를 알리는 신호이며, 후보자들은 온라인 참여가 전통적인 정책 토론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Lee Jae-myung,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candidate, has embraced digital culture by appearing as a character in a PC game se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game, released on the party’s youth policy platform Blue Quest, references the Dec. 3 martial law declaration issued by now-impeached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국회를 배경으로 한 PC 게임에 캐릭터로 등장해 디지털 문화를 받아들였다. 당 청년 정책 플랫폼 블루 퀘스트에서 출시된 이 게임은 윤섯열전대통령이 12.3 계엄령 선포를 참고한 것이다.
The game clearly reflects Lee’s core campaign theme of ending the insurrection conducted by the impeached president and achieving political reform. The interactive format is designed to engage younger voters by blending political messaging with entertainment, making complex policy issues more accessible and memorable.
이 게임은 탄핵된 대통령이 자행한 반란을 종식시키고 정치개혁을 이뤄낸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선거운동 테마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인터랙티브 형식은 정치 메시지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하여 젊은 유권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복잡한 정책 이슈에 대한 접근성과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Recognizing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young generation, Lee’s campaign has also recruited popular online influencers to boost visibility and encourage voter turnout.
젊은 세대에게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을 인식한 이 후보의 캠페인은 가시성을 높이고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인기 있는 온라인 인플루언서들도 모집했다.
His campaign team is actively utilizing short video content, known as shorts, to spread campaign slogans and messages rapidly across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Instagram, which are among the most popular online platforms. This approach leverages the country’s high social media penetration and taps into the trend-driven inclinations of the younger demographic.
그의 캠페인 팀은 짧은 동영상 콘텐츠인 숏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플랫폼 중 하나인 YouTube와 Instagram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캠페인 슬로건과 메시지를 빠르게 전파하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미국의 높은 소셜 미디어 보급률을 활용하여 젊은 인구층의 트렌드에 기반한 성향을 활용한다.
Lee Jun-seok, the youngest presidential candidate from the Reform Party, is also employing a fresh approach by using digital technology to engage voters.
개혁신당의 최연소 대선 후보인 이준석 후보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유권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The candidate appears as a penguin mascot in a web game developed by his supporters and has launched a dedicated communication app, Juns Talk. The app introduces his policies in a playful, interactive way, further blurring the line between politics and entertainment. By incorporating gamification and direct digital communication, Lee aims to foster active participation and dialogue with voters.
이 후보는 지지자들이 개발한 웹게임에 펭귄 마스코트로 등장해 전용 커뮤니케이션 앱인 '준스톡'을 출시했다. 이 앱은 자신의 정책을 장난기 넘치고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소개하여 정치와 엔터테인먼트의 경계를 더욱 모호하게 만든다. 이 후보는 게이미피케이션과 직접적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접목하여 유권자와의 적극적인 참여와 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Unlike the other two candidates, Kim Moon-soo of the People Power Party (PPP) adopted a relatively less tech-savvy campaign approach, which aligns with his focus on targeting voters in their 60s and older.
다른 두 후보와 달리, 국민의힘(PPP)의 김문수 후보는 상대적으로 덜 기술적인 선거 전략을 채택했으며, 이는 60대 이상 유권자들을 겨냥하는 데 중점을 둔 것과 일치한다.
The candidate has chosen a more traditional route by adapting popular songs into campaign jingles. His campaign teams perform at bustling markets, combining familiar melodies with Kim's campaign slogans.
이 후보는 대중가요를 캠페인 징글에 맞춰 보다 전통적인 노선을 선택했다. 그의 캠페인 팀은 번화한 시장에서 친숙한 멜로디와 김 후보의 캠페인 슬로건을 결합하여 공연한다.
He has centered his campaign on policies targeting older voters. Notably, he pledged to provide free bus rides for those aged 65 and older during off-peak hours, in addition to existing free subway fares, and promised that 25 percent of new public housing will include older adult-friendly facilities.
그는 노년층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정책에 집중해왔다. 특히 그는 기존 무료 지하철 요금 외에도 비혼잡 시간대에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무료버스 승차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신규 공공주택의 25%에 노인 친화적인 시설을 포함시키겠다고 약속했다.
#Digitalcampaignstrategies디지털캠페인전략 #Influencermarketing인플루언서마케팅 #Gamification게이미피케이션 #Youthvoterengagement청년유권자참여 #Socialmediacontent소셜미디어콘텐츠